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마음공부 상담

Mind Practice Counseling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인의 특성에 적합한 상담 모형으로 마음공부 상담을 제시하였다. 마음원리는 “심지는 원래 요란함(어리석음, 그름)이 없건마는 경계를 따라 있어지나니, 그 요란함(어리석음, 그름)을 없게 하는 것으로써 자성의 정(혜, 계)을 세우자.”이다. 마음공부 상담은 마음일기를 기재하여 자기탐색, 자기정화, 자기통찰의 심리적 효과를 얻고, 상담자와의 문답감정을 통해 공감, 명료화, 직면의 치료적 기제로 상담효과를 얻는다. 한국문화의 특성에 적합한 상담모형의 근거는 마음일기 기재를 통하여 스스로 탐색하고 통찰하는 과정에서 긍정적 존중과 개별성을 인정하고, 상담자와 문답감정을 통하여 당면한 문제 해결과 현실관계 속에서 더불어 잘살 수 있도록 인도함으로써 수평적이면서 개인주의인 문화 뿐 아니라 수직적이면서 집단주의인 문화를 수용했다는 점이다. 마음공부 상담과정은 경계발견하기, 마음 관찰하기, 통찰하기, 바르게 판단하기, 은혜롭게 행동하기, 문답감정하기이다. 따라서 마음공부 상담은 마음일기 기재와 상담자와 문답감정을 통하여 심리적 문제 해결과 성숙한 인격으로 성장하게 하는 상담활동이다.

keywords
korean culture, Mind Practice, Mind principle, Mind Daily, Mind Practice Counseling, korean culture, Mind Practice, Mind principle, Mind Daily, Mind Practice Counseling, 한국문화, 마음공부, 마음원리, 마음일기, 마음공부 상담

Abstract

This study is to suggest a Mind Practice Counseling with a suitable counseling model to korean culture. Mind principle is “Although the mind is not originally disturbed, it becomes so due to trying situations; let us keep the tranquility(wisdom, precepts) of its Original Nature by removing the disturbance (foolishness, evil).” Mind Practice Counseling gain psychological effect of self-exploration, self-catharsis, self-insight as recoding Mind Daily and gain counseling effect from crisis factor of empathy, clearness, confrontation through questions-answers and appraisal with counselor. Therefore, Mind Practice Counseling is counseling activity to be grown as psychological problem solving and growth character through recoding Mind Daily and questions-answers and appraisal

keywords
korean culture, Mind Practice, Mind principle, Mind Daily, Mind Practice Counseling, korean culture, Mind Practice, Mind principle, Mind Daily, Mind Practice Counseling, 한국문화, 마음공부, 마음원리, 마음일기, 마음공부 상담

참고문헌

1.

원불교전서

2.

강선영 (2001). 무시선 중의 경험내용에 관한 질적 분석-마음일기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김순임 (1980). 대종사의 인간관 연구. 원불교사상, 4, 5-39.

4.

김성장 (2005). 원불교 마음 공부 개념에 대한 연구.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29, 117- 149. 원불교사상연구원.

5.

김성철 (2001). 종교학 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6.

김인소 (2005). 원불교 마음공부 방법론 연구. 원기 90년도 원불교 마음공부 세미나, 원불교교화연구소․원불교 사상연구원〮〮.

7.

김의철, 박영신 (1997). 스트레스 경험. 대처와 적응 결과: 토착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 96-126.

8.

권도갑 (2000). 행복을 여는 마음공부. 익산: 도서출판 동남풍.

9.

권도갑 (2007). 우리시대의 마음공부. 서울: 열음사

10.

권석만 (1997). 인지치료의 관점에서 본 불교. 심리학의 연구문제, 4, 279-321.

11.

권석만 (1998). 불교수행법에 대한 심리학적 고찰: 삼학을 중심으로. 심리학의 연구문제, 5, 99-142.

12.

박정훈 (1982). 한울안 한이치에. 익산: 원불교 출판사

13.

백준흠 (2004). 원불교 마음공부에 관한 연구.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28, 109-138. 원불교사상연구원.

14.

손정윤 (2000). 원불교 대계. 중앙문화원.

15.

서종호 (2000). 대안학교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효과성에 관한 연구-마음대조공부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안신호 (1999). 한국적 집단주의에 관한 동기-자아개념-행동 모형의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3(1), 121-164.

17.

이규호 (1975). 인간의 본질, 인간과 국가. 서울: 삼화출판사.

18.

이경열 (2000). 정기일기. 마음공부 잘하여 새세상 주인되라(하). 영광: 영산선학대학교출판국.

19.

이경열 (2006). 원불교 마음공부. 한국종교간대화학회 종교학보, 2, 111-142.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

이동식 (1969). 카운슬링의 철학적 접근, 학생연구, 7(1), 20-26, 서울대학교.

21.

이상운 (1992). 국어대사전(상). 삼성문화사

22.

이어령 (1999). 새천년 한국문화를 위한 서장. 새 천년의 한국문화, 다른 것이 아름답다.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3.

이장호 (1982). 상담심리학 입문. 서울: 박영사

24.

이장호 (1995). 상담심리학. 제3판. 서울: 박영사

25.

이장호, 김정희 (1989). 동양적 상담이론 모형의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2(1), 5.

26.

이죽내 (1981). 선과 분석심리학적 정신치료에 있어서 기본전제와 태도의 비교. 소암 이동식선생 회갑기념사업회 (편), 도와 인간과학: 소암 이동식 선생 회갑기념 논문집. 서울: 삼일당.

27.

이형득 (2003). 본성실현상담. 서울: 학지사

28.

이형득 (1992). 인간관계훈련의 실제.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29.

윤호균 (2001). 공상, 집착 그리고 상담: 상담접근의 한 모형.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13(3), 1-18.

30.

윤호균 (2005). 심리 상담의 치료적 기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1-13.

31.

장성숙 (1998). 한국인 정서에 적합한 상담 접근의 모색. 서산 강석헌 교수 퇴임 기념 논문집 간행위원회, 177-192.

32.

장성숙 (1999). 한국적 상담의 필요성: 현실역동 상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11(2), 19-33.

33.

장성숙 (2000). 현실역동 상담 - 한국인의 특성에 적합한 상담 접근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12(2), 17-32.

34.

장성숙 (2003). 한국문화와 현실역동상담의 상담자-내담자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15(2), 147-160.

35.

조연현 (2001). 나를 찾아 떠나는 17일간의 여행. 서울: 한겨레신문사.

36.

조우종 (2002). 원불교 ‘마음공부’의 교육학적 해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조원향 (2000). 무시선 경험을 통한 심리적 요인의 변화 - 마음일기를 중심으로 -.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조윤경 (2003). 한국인의 나의식-우리의식과 개별성-관계성, 심리사회적 성숙도 및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15(1), 91-109.

39.

최봉영 (1994).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Ⅰ, Ⅱ. 서울: 느티나무.

40.

최상진 (1997). 당사자 심리학과 제3자 심리학: 인간관계 조망의 두 가지 틀. 한국상담학회 추계심포지엄 발표 논문집. 131-143.

41.

최상진 (2000). 한국인 심리학. 중앙대학교출판부.

42.

최상진, 김기범 (1999). 한국문화적 심리치료 접근으로서의 심정치료.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11(2), 1-17.

43.

최상진, 최인재, 김기범 (1999). 정, 체면민감성과 스트레스, 문제대응방식간의 관계. 사회 및 성격심리학회 동계학술발표대회.

44.

최해림․장성숙 (역). 집단정신치료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하나의학사.

45.

최희공 (2004). 원불교 마음공부의 정론. 원기 89년도 원불교 마음공부 세미나, 1-12. 원불교교화연구소, 원불교사상연구원.

46.

한규석 (2006). 한국인의 문화심리학이 던지는 도전: 심리학에서 토착심리학의 가치. 한국심리학회논문집, 16-17.

47.

한규석, 신수진 (1999). 한국인의 선호가치 변화-수직적 집단주의에서 수평적 개인주의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3(2), 293-310.

48.

한내창 (2005). 원불교 마음공부 정의의 한 시도.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29, 151-183. 원불교사상연구원.

49.

한덕웅 (2002). 한국문화는 유교에서 어떤 영향을 받았는가?,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논문집, 254-260.

50.

홍정순 (2001). 무시선이 아동의 메타기분, 사회적 적응력 및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마음일기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1.

Egan, G. (1990). The skilled helper: A systematic approach to effective helping(4th ed.) Pacific, Grove, CA: Brooks/Cole.

52.

Gelse, C. J., Kivlighan, D. M., Wine, B., Jones, A., & Friedman, S. C. (1997). Transference, insight, and the course of time-limited therap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4, 209-217.

53.

Mei, Y. P. (1974). "The basis of social, ethical, and spiritual values in Chinese philosophy" IN Charles A. Moore(ed.), The Chinese mind: Essentials of Chinese philosophy and culture, The University Press of Hawaii, pp. 149-166.

54.

Pennebaker & James(1997). Writing about emotional experiences as a therapeutic process. Psychological Science, 8(3), 162-166.

55.

Rogers (1961). On Becoming a person. Boston, Houghton Mifflin.

56.

Shertzer, B., & Stone, S. (1980). Fundamentals of counseling(3rd ed.). Boston: Houghton Mifflin.

57.

Suzuki, D. T. (1970). Zen Buddhism(W. Barrett. ed.), Garden city, N.Y.: Doubleday Anchor Books.

58.

Watts, A. (1957). The way of Zen, N.Y.: Random House, Vintage Books.

59.

Yalom, I. D. (1995).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psychotherapy. United States: Basic Book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