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청년구직자들이 진로결정과정에서 겪는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사례분석

A Study about the Experiences of Job-Seeking Young Adults during the Career Determination Process on the Ground Theor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상담을 통해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게 된 청년구직자들이 진로결정과정에서 겪는 경험을 이해하고, 이에 관한 이론적 틀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고용센터에서 직업상담을 받았던 24~35세의 남녀 청년 중, 자신의 진로를 결정한 10인이었으며, 상담회기는 평균 5.9회 이내였다. 연구방법은 근거이론적 방법(Strauss & Corbin, 1998)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10개의 상위범주, 19개의 하위범주, 62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둘째, 청년구직자들의 진로결정과정에 대하여 도출된 패러다임은 진로방향의 상실을 중심현상으로 하며, 반복되는 취업노력실패를 인과적 상황으로, 구직과정에서의 4가지 어려움을 맥락적 상황으로 하였다. 연구의 중심현상은 직업상담을 통한 인식변화경험을 중재조건으로 하고, 개인내적 변화와 구직행동변화를 작용/상호작용으로 하여, 진로결정이라는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청년구직자들의 진로결정에 대한 과정모형은 혼란과 유예, 인식과 수용, 유지와 저항, 시도와 도전, 선택과 실행의 다섯 단계로 나타났다. 넷째, 이야기윤곽을 통한 핵심범주는 진로인식의 변화와 새로운 도전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청년구직자들이 실제로 구직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제시하고, 진로결정시에 직업상담을 통한 인식의 전환경험과 새로운 구직활동을 통해 진로결정을 이루어지는 과정을 밝혔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keywords
청년구직자, 진로결정과정, 진로장벽, 직업상담, 근거이론, job-seeking young adult, career determination process, barriers of their career, career counseling, grounded theory, job-seeking young adult, career determination process, barriers of their career, career counseling, grounded theory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job-seeking young adults’ experiences about career determination processes during career counseling. Ten young adults were interviewed, who were in a job searching and received 4 to 7 (M=5.9) sessions of career counseling. The grounded theory (Strauss & Corbin, 1998) was employed to analyzed their interview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10 categories, 19 subcategories, and 62 conceptions. As a result, the central phenomenon was drawn a disorientation on career path in the paradigm. Given the paradigm model, interviewees were assumed to experience the five stages in a career determination process: more specifically, confusion & delay, realization & accept, upkeep & resistance, attempt & challenge, and choice & action. The current study contributed in understanding job-seeking young adults and their career determination process through career counseling.

keywords
청년구직자, 진로결정과정, 진로장벽, 직업상담, 근거이론, job-seeking young adult, career determination process, barriers of their career, career counseling, grounded theory, job-seeking young adult, career determination process, barriers of their career, career counseling, grounded theory

참고문헌

1.

고향자 (2000).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 및 진로탐색효능감과 진로미결정간의 관계. 상담학연구, 1(1), 109-124.

2.

권기남, 임수원, 이정래 (2008). 체육교육과 학생들의 진로 결정 과정에 관한 근거 이론적 접근. 한국스포츠 사회학회지, 21(2), 327-342.

3.

김봉환, 정철영, 김병석 (2006). 학교진로상담(2판). 서울: 학지사.

4.

남재량 (2011). 체감 청년 실업률, 몇%나 될까?. 월간 노동리뷰 2011. 4, 73, 46-58.

5.

노동부 중앙고용정보관리소 (2000). 성취프로그램. 노동부 중앙고용정보관리소.

6.

노연희 (2008). 재취업자의 불완전고용: 선행요인 및 그 효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네이버 지식사전 (2011). http://terms.naver.com.

8.

류수영 (2000). 실업자의 정신건강에 관한 실증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박정란 (2006). 여성 새터민의 직업가치와 진로의사결정과정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신동균 (1999). 실업의 장기화와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

11.

오현경 (2009). 실업자의 우울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유은정(2003). 청년실업 장기화에 따른 고학력자의 진로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윤창호. (2005). 직업훈련자가 지각하는 취업장벽 요인의 반응분석. 경기대 석사학위논문.

14.

이동혁, 유성경 (2000). 상담연구의 주제 및 연구대상 분석. 청소년상담연구, 8(1), 37-58.

15.

이동희 (2010). 청년실업자의 반복적 구직실패귀인과 진로신화의 관계분석.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이지혜, 정철영 (2010).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취업장벽과 관련변인.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5(1), 25-47.

17.

조항, 김계현, 이자명 (2009). 국내 진로 및 직업상담 연구 동향 분석. 상담학연구, 10(4), 2099-2113.

18.

최병훈 (2008). 실업대책의 고용지원서비스 정책분석 및 핵심고객집단 선정기준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통계청 (2011). 2011년 4월 고용동향 보도자료. http://www.kostat.go.kr.

20.

하정 (2007). 학업우수 여자고등학생의 직업결정과정: 근거이론 접근.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한선옥 (2004). 대졸미취업자의 불합리한 신념이 취업전략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Cavanagh & Michael E. (1982). The counseling experience: A theoretical and practical approach, Belmont, CA: Brooks/Cole.

23.

Creswell, J. W. (2010). 질적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조흥식, 정선욱, 진진숙, 권지성 역). 서울: 학지사. (원전 2007년 출판)

24.

Fitzgerald, L. F. & Rounds, J. B. (1989). Vocational behavior, 1988: A critical analysi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5(2), 105-163.

25.

Gysbers, N. C., Hepper, M. J., Joseph A. & Johnston (2003). 진로상담의 실제(김봉환 역). 서울: 학지사. (원전 1998년 출판)

26.

Harren, V. A. (1979). A model of career decision making f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4(2), 119-133.

27.

Herr, E. L. & Cramer, S. H. (1996).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through the lifespan, 5thed. New York: Harper Collins College Publishers Inc.

28.

Meier, S. T. (1991). Vocational behavior, 1988-1990: Vovational choice, decision making, career development interventions, and assessmen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9(1), 317-320.

29.

Mihal, W. L, Sorce, P. A., Comte, T. E. (1984). A process model of individual career decision making.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9(1), 95-103.

30.

Phillips, S. D., & Pazienza, N. J. (1988). History and theory of assessment of career development and decision making. In Walsh, W. B., & Osipow, S. H. (Eds.), Career decision making(pp.1-31). Hillsdale, NJ: Erlbaum.

31.

Rodriguez, E., Allen, J. A., Fron, Jr, E. A. & Gillo, P. C. (1999). Unemployment, depression, and health: a look at the African-American community. Journal of Epidemiol Community Health, 53(6), 335-342.

32.

Spokane, A. R. (1991). Career intervention. Englewood Cliffs, NJ: Allen & Bacon.

33.

Strauss, A. & Corbin, J. (2001). 근거이론의 단계. (신경림 역). 서울: 현문사. (원전 1998년 출판)

34.

Super, D. E. (1990). A life-span, life-space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In D. Brown, & L. Brookks (Eds.),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applying contemporary theories to practice (2nd ed., pp.197-261). San Francisco: Jossey-Bass.

35.

Swanson, J. L. & Woitke, M. B. (1997). Theory into practice in career assessment for women: Assessment and interventions regarding perceived career barrier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5(4), 431-450.

36.

Walsh, W. B. & Osipow, S. H. (2005). 직업심리학 핸드북. (김병숙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전 1995년 출판)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