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장애아 어머니의 긍정적 의미부여와 심리적 안녕감․돌봄 만족과의 관계

Relations of Positive Meaning-Mak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are Satisfactions in Mothers with Disabled Child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장애아 어머니의 거시적 의미, 장애자녀 양육과 관련되어 부여하는 상황적 의미 및 대처방식이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돌봄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부산과 창원 지역의 장애아 어머니 180명을 대상으로 장애아 어머니의 거시적 의미와 상황적 의미, 대처방식, 심리적 안녕감과 돌봄 만족도를 측정하여 변인간의 상관관계 분석과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아 어머니의 세상에 대한 일반적 신념인 거시적 의미가 긍정적일수록 장애자녀의 출산과 양육에 관한 상황을 더 긍정적으로 해석하며, 장애상황에 대해 긍정적으로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의미중심대처는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돌봄 만족에 공통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거시적 의미 중 자기가치감과 일부 상황적 의미가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돌봄 만족에는 상황에 부여하는 긍정적 의미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분석 결과, 어머니가 장애상황에 부여하는 상황적 의미는 의미중심대처를 통해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돌봄 만족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돌봄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mother with disabled child, global meaning, situational meaning, positive meaning-making, psychological well-being, care satisfaction, 장애아 어머니, 거시적 의미, 상황적 의미, 긍정적 의미부여, 심리적 안녕감, 돌봄 만족도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 of mothers’ global and situational meaning about their disabled child and coping strategies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are satisfaction.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80 mothers caring disabled chil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Current study showed that mothers’ positive global meaning had a direct effect on mothers’ positive situational meaning and meaning-focused coping strategies. Secondly, this study found that mothers’ positive situational meaning about their disabled child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global meaning and coping strategies. Additionally, mothers’ positive situational meaning about their disabled child exhibited a direct effect on their care satisfactions but not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implies that it is very important for mothers who care a disabled child to have positive meanings about caring their child to cope actively the situation they meet.

keywords
mother with disabled child, global meaning, situational meaning, positive meaning-making, psychological well-being, care satisfaction, 장애아 어머니, 거시적 의미, 상황적 의미, 긍정적 의미부여, 심리적 안녕감, 돌봄 만족도

참고문헌

1.

강선경 (2002). 장애자녀 부모의 태도, 스트레스 대처 및 사회적 지원이 그들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4. 7-35.

2.

고일영 (2010). 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 척도 개발 및 타당화.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곽윤영 (2009). 부모의 양육태도 및 대학생의 경제적 자립도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권석만 (2008). 긍정심리학. 서울: 학지사.

5.

김관주 (2008). 발달장애아동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부부적응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권일 (2006). 장애아동의 신체활동 참여과정과 부모의 양육 태도 및 스트레스,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39.

8.

김미옥 (2001). 장애아동가족의 적응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관한 연구: 가족탄력성의 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미혜 (2006). 장애아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및 대처행동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상용 (2007). 발달장애 아동을 둔 어머니의 심리적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유아특수교육연구, 7, 53-71.

11.

김소희 (2004). 스트레스 사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윈논문.

12.

김애란 (2008). 발달장애 청소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연수 (2006). 정신 장애인을 돌보는 부모의 긍정적 돌봄 경험 평가와 긍정적 정서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2, 91-124.

14.

김연수 (2009). 정신장애인을 돌보는 어머니의 돌봄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은숙 (1985). 자폐아 어머니와 정상아 어머니의 불안․좌절에 대한 비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은숙 (1990).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일 연구: 자폐아 어머니와 정상아 어머니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김정아 (2003). 장애아동의 발달 연령에 따른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김정환 (2009). 발달장애학생 어머니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양육스트레스 정도 및 대처방식 연구. 아세아연합신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김혜영 (2006). 발달장애 아동 어머니가 지각하는 자녀의 문제 행동. 부모자녀건강학회지, 9(2), 161-169.

20.

박내천 (2007). 청각장애아 어머니의 사회적지지, 양육스트레스,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박덕희 (2004). 자녀의 장애정도에 따른 정신지체아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식 분석. 한국 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박미정 (1983). 자폐아동 어머니의 결혼 만족도에 따른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사회복지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박신정 (2008). 발달시기와 장애정도에 따른 지적장애아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대처행동 분석.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배광응, 송상천 (1986). 장애아동 부모와 일반아동 부모의 스트레스 비교연구. 성지재활연구, 13-35.

25.

서명옥 (2008). 한 자녀 이상의 지적장애아를 둔 어머니의 양육 경험 및 삶의 질에 대한 질적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서혜영 (1991). 장애아 어머니의 적응과 사회적 지원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성종숙 (2000). 발달장애아 가족의 스트레스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산정논총, 1, 93-120.

28.

손재익 (2010). 장애아동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가족탄력성의 구조적 관계: 비장애아동 가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송주연 (2010). 소아암 환아 어머니의 희망과 삶의 의미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송현정 (1998). 부모관계 및 부모-자녀 관계가 장애아 형제관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신선영 (2009).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성장적 반추를 매개변인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신선희 (2007). 장애아동 어머니의 돌봄 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심미성 (2006). 스트레스 완충자원으로서 삶의 의미의 역할.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4.

오정란 (2007). 장애아동특성, 사회적지지 및 아동과의 관계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오정희 (2007). 장애형제관련 스트레스 요인, 비장애형제의 자아개념수준, 부모의 양육태도가 형제관계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유병숙 (2006). 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기존중감과 삶의 의미 수준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유희정 (2002). 아동의 장애유형과 어머니의 애착유형에 따른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 한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이민주 (2006). 자녀의 발달쟁애와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아버지의 지원.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이영주 (1998). 장애아동 어머니와 정상아동 어머니의 자녀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 및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이영호 (2002). 장애아동 어머니의 자기존중감과 대처방식 증진을 위한 집단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0, 67-97.

41.

이현지 (2006). 장애청소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관련변인이 삶의 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3(5).

42.

이효신 (1997). 자폐유아 출현에 따른 가족문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3.

임은경 (2009).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성격특성, 대처방식 및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장청자 (1989). 장애아 가정의 긴장과 적응에 관한 일연구: 어머니의 대처자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전혜성 (2007). 정신장애인 배우자 스트레스가 부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부신념체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6.

정창곤 (1991). 장애아에 대한 부모의 심리적 태도변화 과정. 중복ㆍ지체부자유아동교육, 18(1), 18-32.

47.

정추영 (2004). 사회적 지지가 정신지체아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최혜림 (2009). 장애자녀의 평생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하해영 (2010). 언어장애아 부모들의 양육태도, 양육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한성희 (2010). 장애자녀 양육에 대한 아버지와 어머니를 중심으로 살편 본 가족의 성숙과 변화.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6(4).

51.

한은정 (2010). 중증 지체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지지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2.

황경자 (2002). 중복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황소영 (2007). 아동의 장애유형과 정도,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 및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4.

허효순 (2006). 지체부자유아 어머니의 자존감, 양육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Baumeister, R. F., & Vohs, K. D. (2002). The pursuit of meaningfulness in life. In C. R. Snyder, & S. J. Lopez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pp.608-618). Oxford, England: Oxford University Press.

56.

Battista, J., & Almond, R. (1973). The development of meaning in life. Psychiatry, 36(4), 409-427.

57.

Bristol, M. M., Gallagher, J. J., & Schopler, E. (1988). Mothers and fathers of young developmentally disabled and nondisabled boys: Adaptation and spousal support. Develpomental Psychology, 24(3), 441-451.

58.

Bulman, R., & Wortman, C. B. (1977). Attributions of blame and coping in the “real world”: Severe accident vicims react the their lo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5(5), 351-363.

59.

Chinn, P. C., Winn, J,, & Walters, R. H. (1978). Two-way talking with parents of special children: a process of positive communication. Saint Louis: Mosby.

60.

Collie, K., & Long, B. C. (2005). Considering “meaning” in the context of breast cancer,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0(6), 843-853.

61.

Collins, R. L., Taylor, S. E., & Skokan, L. A. (1990). A better world or a shattered vision? Changes in life perspectives following victimization. Social Cognition, 8(3), 263-285.

62.

Crumbaugh, J. C., & Maholick, L. T. (1964). An experimental study in existentialism: The psychometric approach to Frankl’s concept of noogenicneurosi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2), 200-207.

63.

Dollinger, S. J. (1986). The need for meaning following disaster: Atributions and emotional upset.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12(3), 300-310.

64.

Folkman, S. (1997). Positiv e psychological states and coping with sever stress. Soc Sci Med, 45(8), 1207-1221.

65.

Folkman, S., & Greer, S. (2000). Promoting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face of serious illness: Whe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inform each other. Psycho-Oncology, 9(1), 11-19.

66.

Folkman, S. & Lazarus, R. S. (1986). Stress processes and depressive symptomatology.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5(2), 107-113.

67.

Frazier, P. A., & Schauben, L. J. (1994). Causal attributions and recovery from rape and other stressful life events.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13(1), 1-14.

68.

Gillies, J., G., & Neimeyer, R. A. (2006). Loss, grief, and the search for significance: Toward a model of meaning reconstruction in bereavement. Journal of Constructivist Psychology, 19(1), 31-65.

69.

Greenberge, M. A. (1995). Cognitive processing of traumas: The role of intrusive thoughts and reappraisal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5(14), 1262-1295.

70.

Janoff-Bulman, R. (1989). Assumptive worlds and the stress of traumatic events: Applications of the schema construct. Social Cognition, 7(2), 113-136.

71.

Kahneman, D., Krueger, A. B., Schkade, D., Schwarz, N., & Stone A. (2004). Toward National Well-Being Accounts. American Economic Association, 94(2), 429-434.

72.

Kearney, P. M., & Grinffin, T. (2001). Between joy and sorrow: Being a parent of a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4(5), 582-592.

73.

Kazak, A. E., & Brian L. W. (1984).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social support networks in families with handicapped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2(6), 645-661.

74.

Kazak, A. E., & Clark, M. W. (1986). Stress in families of children with myelomeningocele.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28(2), 220-228.

75.

King, L. A., & Napa, C. (1998). What makes a Life Goo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1), 156-165.

76.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NY: Springer.

77.

Martin, R. C., & Dahlen, E. R. (2005).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the prediction of depression, anwiety, stress, and anger.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9(7), 1249-1260.

78.

McIntosh, D. N., Silver, R., & Wortman, C. B. (1993). Religion's role in adjustment to a negative life event: Coping with the lossof a chil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5(4), 812-821.

79.

Naschen, J. S., Woodford, L, & Minnes, P. (2003). The Family Stress and Coping Interview for Familie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Lifespan Perspective on Family Adjustment.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47(4-5) 285-290.

80.

Noh, S., Wolf, L. C., Fisman, S. N., & Speechley, M. (1989). Brief report: Psychological effects of parenting stress on parents of autistic children.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19(1), 157-166.

81.

O'Connor, M. (2002). Making meaning of life events: Theory, evidence, and research directions for an alternative model. Omega: Journal of Death and Dying, 46(1), 51-75.

82.

Orbell, S., Hopkins, N., and Gillies, B. (1993). “Measuring the impact of informal caring”, Journal of Community & Social Psychology, 3(2), 149-163.

83.

Park, C. L., & Folkman, S. (1997). The role of meaning in the context of stress and coping. General Review of Psychology, 1(2), 115-144.

84.

Peterson, C., Park, N., Seligman, A. E. (2005). Orientations to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The full life versus The empty life.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6(!), 25-41.

85.

Reker, G. T., Peacock, E. J., & Wong. P. T. P. (1987). Meaning and purpose in life and well-being: a Life-span perspective. Journal of Gerontology, 42(1), 44-49.

86.

Reker, G. T., & Wong. P. T. P. (1988). Aging as an individual process: Toward a theory of personal meaning. In J. E. Birren & V. L. Bengston (Eds.), Emergent theories of aging (pp. 214-246). New York: Springer.

87.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88.

Ryff, C. D., & Singer, B. (1998). The contours of positive human health. Psychological Inquiry, 9(1), 1-28.

89.

Samios, C., Pakenham, K. I., & Sofronoff, K. (2007). The nature of sense making in parenting a child with Asperger syndrome. Research in Autism Spectrum Disorder, 2(3), 516-532.

90.

Schwartz, C., & Gidron, R. (2002). “Parents of mentally ill adult children living at home: rewards of Careging”. Health & Social Work, 27(2), 145-154.

91.

Scollon, C. N., & King, L. A. (2004). Is the Good Life the Easy Life? Social Indiators Research, 68(2), 1127-162.

92.

Seligman, M. E. P. (1998). Positive social science. APA Monitor, 29(4), 2-5.

93.

Silver, R. L., & Boon, C., & Stones, M. H. (1983). Searching for meaning in misfortune: Making sense of incest. Journal of Social Issue, 39(2), 81-102.

94.

Singer, L., & Farkas, K. J. (1989). The impact of infant disability on maternal perception of stress. Family Relations, 38(4), 444-449.

95.

Skaggs, B. G., & Barron, C. R. (2006). Searching for meaning in negative events: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3(5), 559-570.

96.

Szmukler, G. I., Burgees, P., Herrman, H., Benson, A., Colusa, S., & Bloch, S. (1996). “Caring for relatives with serious mental illness: the development of the Experience of Careging Inventory”.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31(3-4), 137-148.

97.

Taylor, S. E. (1983). Adjustment to threatening events: A theory of cognitive adaption. American Psychologist, 38(11), 1161-1173.

98.

Tedeschi, R. G., Park, C. L., & Calhoun, I. G. (1998). Posttraumatic growth: Positive changes in the aftermath of crisis. Mahwah, NJ: Lawrence Erlbaum.

99.

Thompson, S. C. (1985). Finding positive meaning in a stressful event and coping. Basic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 6(4), 279-295.

100.

Turnbull, A, & Turnbull, R. (2001). Families, professionals, and exceptionality: Collaborating for empowerment. Upper Saddler River, NJ: Merrill.

101.

Walsh, F. (1998).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New York: Guilford Press.

102.

Wikler L., Wasow, M., & Hatfield, E. (1981). Chronic srrow Revisited: Parent vs. Professional Depiction of the Adjustment of Parents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American Juornal of Orthopsychiatry, 51(1), 63-70.

103.

Zika, S., & Chamberlain, K. (1992). On the relation between meaning in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83(1), 133-145.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