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88
본 연구에서는 상담 관련 국내학술지(상담 및 심리치료, 상담학연구), 석․박사학위논문, 해외학술지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JCP)에 2002년부터 2011년까지 10년간 게재된 질적연구 논문 총 173편에 대하여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에 관한 사항들을 분석하여 상담 분야의 동향을 파악하고, 질적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검토를 하였다. 상담 분야의 질적연구에 대한 동향분석 결과, 국내학술지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 연구주제로는 성격특성과 적응(16.8%), 연구대상으로는 성인(29.6%), 연구방법으로는 합의적 질적연구(CQR)(28.3%)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JCP의 경우 연구주제로는 다문화상담(25.5%), 연구대상으로는 성인(31.9%)이 가장 많이 차지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는 본 연구에서 검토한 7가지의 연구방법을 비교적 고르게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관심 있게 진행한 질적연구 수행과정에 대한 검토 결과, 연구 초점, 연구 환경, 연구자 역할, 연구결과 제시에서 국내학술지와 JCP가 유사한 결과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금까지 살펴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분야에서 질적연구에 대한 학문적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a total of 173 papers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master’s/doctoral dissertations, and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over a 10-year period(2002-2011) to analyze the trends of the qualitative researches from those papers and to review research procedures. Results showed that research topic, subject, and methodology which were the most frequently employed by majority of papers were personality /adjustment(16.8%) for topic, adults(29.6%) as research subject, and CQR(28.3%) for methodology. In particular, JCP showed high concentration on multi-culture(25.5%) for topic, adults(31.9%) as research subject but all seven research methodologies were evenly used. Evaluation of qualitative research procedures including research focus, setting, a researcher role, and reporting findings revealed that the majority of studies and the papers at JCP shared similar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thus far, this study suggests academic recommendations and follow-up studies regarding qualitative research for counseling.
김계원, 정종진, 권희영, 이윤주, 김춘경 (2011).상담심리학의 최근 연구 동향: 상담 및심리 치료 학회지 게재 논문 분석(2000~200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23(3), 521-542
김영신, 박지은 (2011). 국내 음악치료 질적연구 동향 분석. 한국음악치료학회지, 13(2),1-30.
박성희 (2001). 상담의 새로운 패러다임. 서울:학지사.
손은정 (2010). 수퍼비전에 대한 질적 연구의동향과 과제.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3(3),1-21.
연문희, 박남숙 (2001). 교육과 상담에서의 질적 연구. 연세교육연구, 14(1), 243-263
조성호 (2003). 상담심리학 연구동향: 상담 및심리치료학회지 게재논문 분석(1988∼2003).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15(4), 811-832.
조남정, 최은미, 최희진, 장선철 (2010). 상담학의 연구동향 분석:「상담학 연구」학회지 게재논문(창간년도∼2009). 상담학연구,11(2), 507-524.
조병주 (2010). 내담자가 체험한 상담자의 자기개방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Buboltz, W. Jr. Deemer, E, & Hoffmann, R., (2010). Content Analysis of th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Buboltz, Miller, & Williams (1999) 11 Years Later,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7(3), 368-375.
Creswell, J. W., 조흥식 외 역 (2010).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Heppner, P. P., Carter, J. A., Claiborn, C. D., Brooks, L., Gelso, C. J., Fassinger, R. E., et al. (1992). A proposal to integrate science and practice in counseling psychology. Counseling Psychologist, 20(1), 107-122.
Hoyt, W. T. and Bhati, K. S., (2007). Principles and Practices: An Empirical Examination of Qualitative Research in th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4(2), 201-210.
Morrow, S.L., & Smith, M. L. (2000). Qualitative research for counseling psychology. In S.D. Brown & R. W. Lent(Eds.), Handbook of counseling psychology (3rd ed., 199-230), New York: Wiley.
Ponterotto, J. G. (2005). Qualitative Research in Counseling Psychology: A Primer on Research; Paradigms and Philosophy of Science. 52(2), 126-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