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도시지역 다문화가정 부부관계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분석

A Qualitative Study on Development and the Effects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Multicultural Couples in Urban Areas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 다문화가정 부부의 관계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도시지역 다문화가정 부부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조사를 바탕으로 여러 문헌들의 검토를 거쳐 예비 프로그램을 구성, 4쌍의 부부에게 실시한 후 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참가자는 도시지역 다문화가정 부부 5쌍이었고, 프로그램은 2주에 걸쳐 총 8회기 동안 진행되었다. 각 회기의 요소들은 부부 친밀감 증진, 의사소통 증진, 분노 조절, 갈등 관리, 부부 신체적 활동, 문화적 차이의 이해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이 끝난 후 약 3주 후에 참여자들 각자에게 1시간가량의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합의적 질적 분석 방법(CQR)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질적 분석 결과 프로그램 참가 후 참여자들은 부부간 이해의 증가, 의사소통 방식의 개선과 분노 조절 면에서 도움을 받았으며, 부부관계 만족도의 증진을 보고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갈등이 심각하지 않은 부부와 한국어 소통이 원활한 결혼 중기 이후 부부들에게 특히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부부의 갈등을 줄이고 관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전문적인 상담 개입 방안으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keywords
다문화가정, 국제결혼, 결혼이민자 가족, 부부상담 프로그램, 질적 분석, multicultural family, international marriage, marriage-based immigrant family, couple's group therapy, qualitative analysi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which can improve multicultural couples' relationships an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Participants were five coupl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f foreign women and Korean men living in urban areas. They attended eight sessions for a couple of weeks and the components of the sessions were improvement in marital intimacy, communication skills, anger control, conflicts management, couple yoga, and understanding cultural differences. After 3 weeks th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and the interview data of 10 respondents were analyzed by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improved in understanding their spouses and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and anger control and reported improvement in marital satisfaction. Findings in this study demonstrate implications for availability of a professional counseling intervention for multicultural couples.

keywords
다문화가정, 국제결혼, 결혼이민자 가족, 부부상담 프로그램, 질적 분석, multicultural family, international marriage, marriage-based immigrant family, couple's group therapy, qualitative analysis

참고문헌

1.

고희숙 (2003). 부부관계강화 프로그램의 적응과 효과. 보건과 복지, 6, 77-96.

2.

공성숙 (2005). 부부관계증진 집단 프로그램이부부의 결혼만족도, 긍정적 감정, 갈등조정방식, 의사소통 악화요인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5(6), 991-1003.

3.

권구영, 박근우 (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전라남도거주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사회연구, 14(2), 187-219.

4.

권정혜, 채규만 (2000). 부부적응 프로그램의개발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2), 208-218.

5.

김숙경 (2008). 농촌지역 국제결혼이주 가정의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관계성 이론을 중심으로. 사회복지개발연구,14(4), 229-247.

6.

김연수 (2008). 다문화가족을 대상으로 한 탄력적 부모 되기 프로그램 적용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4, 189-222.

7.

김연수 (2010). 가족 탄력성 접근을 활용한 여성결혼 이민자 대상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14(4), 59-90.

8.

김영희, 정선영 (2007).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 - 갈등대처방식의 조절 효과. 한국가정관리 학회지, 25(5), 65-82.

9.

김오남 (2006). 여성 결혼이민자의 부부갈등및 학대에 관한 연구-사회문화적 요인을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8, 33-76.

10.

김오남, 김경신, 이정화 (2008). 결혼이민자 남편의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 효과성에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1), 69-84.

11.

김진희, 박옥임 (2008). 농촌과 도시지역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가족갈등과 생활만족도비교: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農村社會, 18(1), 127-160.

12.

김창대 (2002). 청소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 청소년 집단상담의 운영, 75-108,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13.

김창대, 김형수, 신을진, 이상희, 최한나 (2011).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서울: 학지사.

14.

김현실 (2008). 결혼 이주 여성의 현황과 문제:새로운 여성 간호 대상자의 출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4(4). 248-256.

15.

김희진 (2005). 결혼초기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긍정주의 심리치료접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17(4), 877-906.

16.

박재규 (2007). 농촌지역 국제결혼 이민자여성의 이혼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農村社會. 17(2), 75-105.

17.

방현주, 이기숙 (2002).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을 통한 결혼초기 부부의 의사소통 능력 증진에 관한 연구-유아기 가족의 부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0(11). 39-54.

18.

보건복지가족부 (2008). 다문화 가족상담 가이드북. 서울: 명성문화사.

19.

보건복지가족부 (2009).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20.

손진이, 백경임 (2008). 경주시 결혼이민자가족부부프로그램의 효과. 경주연구, 17(2), 5-34.

21.

송미경, 지승희, 조은경, 임영선 (2008). 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 부모경험에 관한 연구.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2),497-517.

22.

신경희, 양성은 (2006). 국제결혼가족의 부부갈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5),1-8.

23.

신희천, 최진아, 김혜숙, 이주연 (2011). 도시지역 다문화 가정의 부부관계 고찰을 위한 질적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2). 299-322.

24.

안현주 (2006). 한국남성과 국제결혼한 이주여성의 가정폭력경험과 대응-여성주의적 관점을중심으로.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양계민 (2009). 다문화사회에서의 인간이해의 틀과 상담심리학의 과제. 한국상담심리학회심포지움 및 학술대회 자료집.

26.

양순미 (2006). 농촌 국제결혼부부의 적응 및생활실태에 대한 비교 분석: 중국, 일본,필리핀 이주여성 부부 중심. 農村社會,16(2), 151-179.

27.

양승민, 연문희 (2009). 농촌지역 결혼이민여성의 스트레스 요인과 반응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21(4), 943-966.

28.

유명숙 (2010). 임파워먼트 모델에 근거한 다문화 부부옹호 프로그램이 다문화부부의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대처방식 및 가족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모자보건학회지, 14(2), 145-160.

29.

유은희, 김득성 (2005). 결혼초기 부부관계향상프로그램의 효과 검증-PREP(Prevention and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1), 1-18.

30.

윤성숙 (1996). 도시부부의 커뮤니케이션과 의사결정 참여도에 따른 결혼만족도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윤연숙 (2002). 부부관계향상프로그램이 부부의사소통과 결혼만족에 미치는 효과: 국제가정을중심으로. 선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윤형숙 (2003). 외국인 출신 농촌주부들의 갈등과 적응-필리핀 여성을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 8(2), 299-339.

33.

이무영, 강기정 (2007).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 및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한 현실요법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가족복지학, 12(2), 29-44.

34.

이은주 (2007). 결혼이민여성 부부집단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에 관한 시론적 연구-필리핀 여성 부부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19(1), 29-60.

35.

이정미, 김정옥 (2006). 부부관계향상을 위한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맞벌이 부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1).103-132.

36.

이창숙 (1998). 부부갈등해결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Baucon과 Epstein의 인지행동적 치료모델에 기초하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7.

이창숙, 유영주 (1998). 부부갈등해결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Baucon과 Epstein의 인지행동적 치료모델에 기초하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3(1), 46-71.

38.

임경혜 (2004). 국제결혼 사례별로 나타난 가족문제에 따른 사회복지적 대책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장인실, 김경근, 모경환, 민병곤, 박성혁, 박철희, 성상환, 오은순, 이윤정, 정문성, 차경희, 차윤경, 최일선, 함승환, 허창수, 황매향 (2012). 다문화교육의 이해와 실천. 서울:학지사.

40.

최규련 (1995). 가족체계의 기능성, 부부간 갈등 및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2), 140-152.

41.

최규련 (2009). 부부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부부갈등 해결을 위한 통합적접근 적용.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3), 181-200.

42.

최윤화 (2000). 부부관계증진 프로그램이 부부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兒童敎育, 9(2), 13-25.

43.

통계청 (2011). 혼인이혼통계. 인구동태통계연보.

44.

홍달아기, 채옥희 (2007). 국제결혼부부의 가치관 및 의사소통유형과 갈등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6(4), 733-744.

45.

Blanchard, V. L., Hawkins, A. J., Baldwin, S. A., & Fawcett, E. B. (2009).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marriage and relationship education on couples’ communication skills: A metaanalytic study.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3(2), 203-214.

46.

Brown, J. H., & Brown, C. S. (2005). 부부치료-효과적 임상을 위한 개념과 기술{Maritaltherapy: Concept and skills for effective practice}.(김영희․최규련․홍숙자 역). 서울: 학지사(원저 2002 발행).

47.

Elliott, R., & James, E. (1989). Varieties of client experience in psychotherapy: An analysis of the literature. Clinical psychology Review, 9(4), 443-467.

48.

Gottman, J. M. & Krokoff, L. J. (1989). Marital interaction and satisfaction: A longitudinal view, Journal of Consulting & Clinical Psychology, 57(1), 47-52.

49.

Gottman, J. M. & Declare, J. (1999). The Seven Principles for Making Marrige Work. Three Rivers Press: New York.

50.

Hahlweg, K. & Markman, H. J. (1998). Prevention of marital distress: results of a German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2(4), 543-556.

51.

Hendrix, H. (1988). Getting the love you want: A guide for couple. New York Henry Holt & Co.

52.

Gottman, J. M. & Krokoff, L. J. (1989). Marital interation and satisfaction: A longitudinal view, Journal of Consulting & Clinical Psychology, 57(1), 47-52.

53.

Hill, C. E., Thompson, B. J., & Williams, E. N. (1997).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5(4), 517-572.

54.

Hill, C. E., Knox, S., Thompson, B. J., Williams, E. N., Hess, S. A., & Ladany, N. (2005).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n updat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2), 196-205.

55.

Hill, C. E. (2012).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Washingt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6.

Ibrahim, F., & Schroeder, D (1990). Cross-cultural couples counseling: a developmental, psychoeducational intervention.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11(2), 193-205.

57.

Jacobson, N. S., & Margolin, G. (1979). Marital therapy: Strategies based on social learning and behavior exchange principles. N. Y.: Bruner/ Mazel.

58.

Knudson, R. M., Sommers, A. A., & Golding, S. I. (1980). Interpersonal perception and modes of resolution on marital on matiral confli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8(5), 751-763.

59.

Lee, H. K. (2008). International marriage and the state in South Korea: focusing on governmental policy. Citizenship Studies, 12(1), 107-123.

60.

Negy, C., & Synder, D. (2000).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Mexican American and non- Hispanic White American inter-ethnic couples: Issues of Acculturation and clinical intervention. Journal of Marital Therapy, 26(3), 293-305.

61.

Nichols, W. C. (1988). Matital therapy: An integrative approach. N. Y.: Guilford Press.

62.

Sussman, P. (2001). Handbook of program development for health behavior: Rresearch and Practice. New York: Sage.

63.

Vincent, J. P., Weiss, R. L. & Birchler, G. R. (1975). A behavioral analysis of problem solving in distressed and nondistressed married and stranger dyads. Behavior Therapy, 6(4), 475-487.

64.

Young, M. E., & Long, L. L. (2003). 부부상담과치료{Counseling and therapy for couples}. (이정연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원저 1998발행).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