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한국상담심리학회 현황 및 발전방안에 대한 학회원들의 인식 Ⅰ: 학회 제반 활동에 대한 학회원들의 만족도 및 요구

Members’ Perceptions of the Korean Counseling Psychological Association’s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Plan I: Members’ Satisfaction and Needs for the Association’s Various Activities

초록

한국상담심리학회는 지난 반세기의 역사를 통해 상담의 학문적 발전과 학회원들의 전문성 증진을 위해 노력해왔다. 본 연구는 한국상담심리학회가 사회환경 변화 속에서 효율적으로 조직을 운영하고 보다 건강하게 성장하기 위해 미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유사 학회들과 다른 학문 분야의 학회에서 실시한 학회 현황 및 발전방안 연구와 한국상담심리학회의 주요 활동 내용을 참고해서 총 9개 영역에 걸친 설문 문항을 제작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전문가 자격증(상담심리사 1급, 2급)을 보유한 학회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자격 소지자 5,779명 중 15.82%에 해당하는 926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과학자-실무자-옹호자 모델을 토대로 세 개의 범주(‘과학을 지향하는 전문 학회로서의 학술 활동’, ‘상담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및 수련 활동’, ‘사회적 책무 수행을 위한 사회정의/옹호 활동’)로 구분하고 ‘학회 조직 운영’을 추가하여 총 네 개의 범주로 기술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드러난 학회원들의 문제의식을 토대로 학회의 단기 및 중장기 발전방안을 논하였다.

keywords
Korean Counseling Psychological Association, current status, development plan, satisfaction, needs, 한국상담심리학회, 현황, 발전방안, 만족도, 요구

Abstract

The Korean Counseling Psychological Association (KCPA) has strived to the promote academic development and professionalism of its members throughout the past half century. This study explored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for the KCPA to promote efficient operation and growth amid social and environmental changes. To this end, a survey questionnaire encompassing nine areas was developed, following examination of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of academic societies within and outside of counseling, and to the current major activities of the KCPA. The survey was provided to members with KCPA certificates, with data collected from 926 individuals, representing 15.82 percent of the 5,779 eligible members. Using the Scientist-Practitioner-Advocate model, the finding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academic activities as scientific societies, education and training activities, social justice/advocacy 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operation). Based on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the members revealed through the results, short-term and mid- to long-term development measures are discussed.

keywords
Korean Counseling Psychological Association, current status, development plan, satisfaction, needs, 한국상담심리학회, 현황, 발전방안, 만족도, 요구

참고문헌

1.

곽미용, 이영순 (2010). 상담자 자격의 윤리적 문제. 인문학논총, 15(1), 235-253.

2.

권수영, 이신형, 황진태, 손재구 (2016). 전문상담사의 국가자격화 논의를 위한 연구: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7(4), 9-29.

3.

김문철, 전영순, 황문호 (2014). 창립 40 주년에 즈음한 한국회계학회의 발전방안. 회계저널, 23(2), 1-38.

4.

김영근, 김현령, 이정인, 신재훈, 신동미, 이상민 (2012). 한국 상담사법 제정에 관한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3), 641-670.

5.

김인규 (2018). 국내 상담자격의 현황과 발전방안.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0(3), 475-493.

6.

김종래, 한동운, 홍용석 (2009). 병동에서의 전문인력간 업무협력에 대한 의사 및 간호사의 인식. 한국보건행정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19-220.

7.

김창대, 이은경, 김인규, 김영근, 조민지, 조민경, 손요한 (2013). 청소년상담사 인력현황 조사 연구. 서울: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8.

박애선, 황미구 (2008). 한국 상담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발전과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4), 903-929.

9.

손진희 (2004). 수퍼바이저 행동 분석을 통한 효과적인 수퍼비전 요소 연구. 상담학연구, 5(2), 243-261.

10.

안하얀, 서영석, 박성화, 이정윤, 최유리 (2017). 수퍼바이지가 지각한 상담 수퍼바이저의 윤리지침 이행.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4), 915-952.

11.

양재원, 민병배, 김정호, 성태훈, 예영주, 이영준, ... 최승원 (2017). 임상심리전문가 교육수련제도 개선을 위한 제언.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6 (1), 1-9.

12.

원성두, 최선, 배금예, 배대석, 이준석 (2018). 정신건강전문요원으로서의 임상심리학자의 현재와 미래.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7(1), 13-23.

13.

이소연, 서영석, 김재훈 (2018). 사회정의에 기초한 진로상담 및 직업상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0(3), 515-540.

14.

이은정, 이은지, 안수정, 서영석 (2019). 기업상담자가 경험한 비밀보장 문제: 윤리적 갈등과 의사결정.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1(2), 601-643.

15.

이형국 (2016). 상담전문가 인력현황 조사연구 Ⅰ: (사)한국상담학회 전문상담사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7(5), 109-132.

16.

이혜용, 석소현, 박성철, 박용익, 이정우, 진정근, 정연옥 (2016). 의료 조직 구성원들은 서로 어떻게 의사소통하는가: 의사소통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사회언어학, 24(1), 213-239.

17.

장세미, 장성숙 (2016). 상담 수퍼바이저 교육과 훈련 요소 연구: 수퍼바이저 발달 요인과 수퍼바이저 역량 요인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4), 488-502.

18.

주은선, 이경은 (2018). 한국 상담심리의 발전과정과 향후과제: 역대 한국 상담심리학회장들의 포커스 그룹인터뷰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4(4), 195-218.

19.

최가희 (2018). 사회정의와 상담심리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0(2), 249-271.

20.

최해림 (1999).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우울증, 가정적 자아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11(2), 183-197.

21.

최해림, 김영혜 (2006). 한국의 상담자 교육과 훈련에 관한 연구: 상담심리 석⋅박사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4), 713-729.

22.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1). The Road to remarkable: Directed by vision, driven by strength: 2010 five-year report of the Policy and Planning Board. American Psychologist, 66(5), 381-392.

23.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6). Responding to change in a challenging climate: 2015 five-year report of the Policy and Planning Board. American Psychologist, 71(5), 415-426.

24.

Russo, T., & McClure, B. (1996). Finding the self: Approaches to narrative investigation. Guidance and Counseling, 12(1), 3-7.

25.

Mallinckrodt, B., Miles, J. R., & Levy, J. J. (2014). The scientist-practitioner-advocate model: Addressing contemporary training needs for social justice advocacy. Training and Education in Professional Psychology, 8(4), 303-311.

26.

Minkoff, H. B., & Terres, C. K. (1985). ASCA perspectives: Past, present, and future.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63(7), 424-427.

27.

Myers, J. E., Sweeney, T. J., & White, V. E. (2002). Advocacy for counseling and counselors: A professional imperative.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80(4), 394-402.

28.

Nejedlo, R. J., Hansen, L. S., & Myers, J. E. (1994). A Strategic Plan for AACD's Future: The Precursors of ACA.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2(3), 276-281.

29.

Worthen, V., McNeill, B. (1996). A Phenomenological investigation of “good” supervision ev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3(1), 25-34.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