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사고와 문제해결능력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Skill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1992, v.11 no.1, pp.41-64
송영혜 (대구대학교 심리치료학과)
김영채 (계명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사고와 문제해결능력의 개발 문제를 영역 독립적 지식-영역 의존적 지식, 일반적 사고기능-전문적 사고기능 및 사용하는 훈련재료 내용의 일반성-전문성등의 이슈를 중심하여 분석해 보았다. 분석의 논의를 통하여 얻은 결론들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고와 문제해결 능력의 개발이 크게 요청되는 이유에는 급변하는 사회의 요구, 학생의 사고능력 결손, 수업방법에 대한 반성, 및 새로운 입시제도등이 있다. 둘째, 기존의 개발 프로그램 또는 코오스들의 특징적인 경향으로는 사고를 조작 기능으로 보는 것, 포함하고 있는 사고의 요소들이 다양한 것, 전문적인 사고기능보다는 전이가가 높다고 믿고 있는 일반적 인지과정과 초인지적 사고전략을 강조하는 것, 일상 생활적인 내용재료나 심리측정적인 내옴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것, 그리고 대개 정규교과목과는 독립적인 것으로 설계되어져 있다는 것등이다. 셋째, 본연구에서는 사고와 지식의 상호의존성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서로 구분되어야 하며, 일상생활의 내용재료를 이용하여 일반적 사고기능을 개발코저하는 표준적 접근법과 전문지식을 맥락으로 하는 지식과 정보접근법은 각기 강점과 약점을 가지고 있으며, 그리고 개발의 필요성이 있는 사고와 문제해결과정은 전문지식적인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오히려 다양하다는 사실들을 특히 주목하였다. 이에 따라 유의미 학습의 중요성과 전문적인 사고기능과 더불어 초인지적 사고전략을 개발하는 것의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또한 개발노력이 표적하는 사고기능의 성질에 따라 훈련재료의 일반적-전문적인 내용은 맥락의존적으로 조정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사고와 문제해결개발프로그램의 실시를 정규적인 교과목수업과의 관계에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교과목 내용의 습득과 사고기능의 학습을 균형 되게 가르치는 소위 삽입식을 중심축으로 하면서도 훈련단계, 표적인구, 및 훈련과제의 성질에 따라 조정해 가는 다수준접근법을 제안하였으며, 아울러 효과적인 교수방법을 네가지로 정리하였다.

keywords

Abstract

The challenging demands being imposed by the societal change, new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nd others evoke interest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higher-order thinking skills with new vigors. The study explored the problems of developing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skill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enerality-specificity of knowledge, thinking skills and training materials. The conclusions drawn are as follows: First, existing training programs or courses, developed largely from the divergent-production approach rather than from the information-processing one, were found having characteristics such as assuming thinking as a skill or collection of skills, including widely different thinking components, emphasizing domain-independent skill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more than the domain-dependent ones, using largely everyday materials or psychometric items, and designing as stand-alone one. Second, the study particularly noticed the distinction of thinking and knowledge, specific advantages of standard approach and thos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approch, and the multiplicity of thinking processes potentially needed to be developed, So, the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eaningful learning, the necessity of both specific thinking skills and the metacogitive strategies, and the context-dependency of trailing materials. Finally, after analyzing the problem of teaching the thinking training program in relation to the traditional subject-matters, the study suggested the multi-level approach having the immersion approch as a base, and therewith made four recommendations for the effective teaching.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