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이순묵(성균관대학교) ; 김아영(이화여자대학교) ; 백승근(아주대학교) ; 강민경(성균관대학교) pp.275-300 https://doi.org/10.22257/kjp.2019.09.38.3.27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문화에서 인간행동의 측정 및 평가에 관한 흐름을 검토하고 학문적 정체성과 발전의 현주소를 밝히고자 하였다. 한국사에서 측정평가의 문화적 기반을 찾기 위해 역사문헌을 검토하고 해방 후 연구를 포괄하고자 여러 학술DB로부터 현대의 측정평가 연구에 대한 기초적인 통계를 산출하였다. 고조선 시대의 수리적 사고로부터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의 판단적 평가인 교육기관 추천, 관직에의 천거, 그리고 객관적 평가로서의 통일신라의 독서삼품과, 고려시대의 과거제도 도입, 그리고 조선시대의 과거제도 확대까지 시대의 변천에 따라 주관적 평가에서 객관적 평가로 무게중심이 이동하였다. 서구학문의 유입은 측정 및 검사이론, 통계학의 수입으로 기존의 행동평가를 정교화시켰고, 실험과 조사방법의 도입은 유학의 질적 방법론에 현대적 연구방법들을 더하였다. 현대적 측정평가는 해방 이후 도입되어 측정 및 검사이론, 통계, 도구(개발) 및 평가, 그리고 연구방법으로 분화 발전하였다. 도입기(대한민국 수립 후 15년간)-구축기(60년대부터 20여 년간)-발전기(80년대~2000년)를 거쳐 21세기에는 14년간 측정평가의 학술활동이 비약적으로 발전하였다(2014년 말까지 총 3,539건). 1960년대부터는 학술지 중심의 연구 활동이 빠르게 성장하였고, 영역별로는 도구/평가 영역의 발전이 두드러졌으며 검사이론이 그 뒤를 따른다. 산업 측면에서 심리검사 영역은 공식적으로 집계되지 않고 있지만 최소 30개 이상의 회사가 설립․운영되고 있으며, 여론 및 사회조사 회사는 411개 기업에 8,184명이 종사(2013년 현재)하는 규모로 성장하였다. 마지막으로 질적 측면을 충분히 감안하는 판단적 평가의 중요성을 재강조하고,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의 균형 발전을 위한 노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We traced the root of behavioral measurement and assessment in Korean history in an attempt to locate where we are in the context of history and modern development of the field. We discovered that the balance between judgmental assessment and objective assessment has continuously moved from “judgmental” to “objective”,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the field in the western world. Through searching books, articles, and conference proceedings, we could build statistics about the modern development of the field and academic performance of scholars. We reviewed evaluation practices for the referral, recommendation, and selection of government posts in Korean history and found evidence of judgmental and objective assessment throughout the Old Chosun, three Kingdoms, Unified Silla, Koryo, and Chosun dynasties. Through the dramatic development in the last decade of 20C we have demonstrated tremendous achievement in the subdomain of instruments and assessment, and the subdomain of theory of measurement and testing. As a result we see more than 400 companies doing business in the field of psychological/social survey. Also we are close to witnessing the advent of testing industry in the nation. Lastly we raise some questions or point out some problems in current assessment practices in an attempt to pursue the next milestone on the route to full blooming days of behavioral measurement and assessment in Korea.

김세헌(고려대학교) ; 박선웅(고려대학교) pp.301-322 https://doi.org/10.22257/kjp.2019.09.38.3.301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Educational donation programs provided by college students have been proposed as a novel compensatory education that can help adolescents to prepare for the contemporary society. However, there are not many empirical studies that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donation program on adolescents’ development.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participating in educational donation programs has beneficial impacts on adolescents’ ability development and emotional stability. Participants were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educational donation programs that took place weekdays or weekends.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twic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s, which included measures assessing intrinsic motivation for study, problem solving ability, interpersonal skills, self-control, career identity, and affect. A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was also included in the study. Repeated t-tests among the participation students revealed that post-scores were higher than pre-scores in both abilities and affect. In addition, the results of ANCOVA showed significant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 abilities and affect after controlling for the pre-scores.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providing educational donation programs a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정선호(경희대학교) ; 양태석(Dept. of Management and Marketing Western Illinois University) ; 박중규(경북대학교) pp.323-346 https://doi.org/10.22257/kjp.2019.09.38.3.323
초록보기
초록

행동과학 이론의 질적 성장에 따라 연구자들은 예측변수와 준거변수 간의 복잡한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매개와 조절 모형의 통합에 높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대표적인 연구방법이 매개된 조절과 조절된 매개이다. 매개된 조절은 조절효과가 “왜” 또는 “어떻게” 발생하는지를 제 3의 변수인 매개변수를 통해 밝히고자하며 통계적으로 매개효과 검정에 해당된다. 그리고 조절된 매개는 매개과정(mediation process)이 조절변수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에 발생하며 통계적으로 조건부 간접효과를 검정한다. Hayes의 PROCESS는 경로분석 접근법에 따른 조건부 과정분석(conditional process analysis)을 위해 개발된 SPSS 매크로 프로그램이다. PROCESS는 다양한 통합 모형에서 조건부 간접효과를 용이하게 검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프로그램의 성장과 맞물려 조절된 매개효과 모형은 빈번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에 반해 매개된 조절효과 검정은 상대적으로 그렇지 못하다. 매개된 조절의 활용이 저조한 대표적인 이유는 많은 연구자들이 매개된 조절은 조절된 매개와 통계적으로 구분되지 않고 PROCESS를 활용한 자료 분석 절차도 동일하다고 믿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조절회귀분석(moderated multiple regression)에 기반을 둔 세 가지 유형(TypeⅠ, Ⅱ, Ⅲ)의 매개된 조절효과 모형을 소개한다. 매개된 조절을 최초로 제안한 Baron과 Kenny(1986)의 단계적 접근법(causal steps approach)을 활용하여 이들 유형에 대해 각각의 통계적 정의 및 자료 분석 절차를 논의한다. 먼저, 이들의 탄생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조절회귀모형에서 조절효과의 개념적 모형(conceptual model)과 통계적 모형(statistical model)의 차이를 논의한다. 다음으로 각 유형 별로 단계적 접근법에 따른 매개와 조절 모형의 통합과정, 통계적 모형, 매개된 조절효과 검정 절차를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PROCESS(Version 3.1)를 활용한 Type III 매개된 조절효과 검정 절차를 예시한다. 연구자들이 연구 배경과 연구 문제에 따라 적합한 조절효과 모형과 매개된 조절효과 유형을 선택하고 타당한 절차에 따라 검정을 진행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Abstract

Baron and Kenny (1986) first proposed the term mediated moderation, to explore how and why the moderation effect occurs. Most researchers believe that Baron and Kenny (1986)’s model is the only mediated moderation method for analysis. In fact, there are three types of mediated moderation models (Type I, II and III) that have each been adopted as most appropriate in various research areas of behavioral science. However, few are aware of existence of these three types and their distinctive conceptual and statistical definitions. Additionally, to date there has been no source that provides an integrated introduction of the methodological, statistical analyses to three types of mediated moderation model. It is our intention in this manuscript to provide a comprehensive, accessible framework by which researchers examining mediated moderation models can effectively choose a valid conceptual model and statistical testing procedures. We first, define each of three types of the mediated moderation model ba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ir conceptual and statistical models and provide examples of each. Second, we discuss how the three types were derived from a single concept of mediated moderation model via the approach of Baron and Kenny (1986). Third, we describe the analytic procedure by examining each mediated moderation model based on a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ing approach with a real example, accompanied by a regression-based software, PROCESS (version 3.1).

허영록(경기대학교) ; 이수정(경기대학교) pp.347-376 https://doi.org/10.22257/kjp.2019.09.38.3.347
초록보기
초록

배우자 보험살인 범죄 현장은 대부분 우연한 사고로 인한 사망으로 위장되어 있기 때문에, 살인범죄 관점보다는 자연스러운 사망 현장으로 바라보기 쉽다. 배우자 보험살인 범죄는 계획적이고 장기적인 범죄임으로 타 살인범죄와 달리 범죄현장 보다는 범행동기 및 범행단계별로 나타나는 특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피해자 보호방안을 수립하여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배우자 보험살인 사례에서 나타나는 범행동기 및 범행단계별 특성에 근거하여 배우자 보험살인 범죄자의 유형분류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한국 배우자 보험살인 범죄자에게 적합한 유형을 탐색하는 것이다. 둘째, 범행특성과 범죄자 유형의 변화추세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00년∼2017년 한국에서 배우자 보험살인 범죄로 적발된 51사건에 대한 언론보도, 수사기관 보도자료, 형사판결문 등을 수집하여 108개 특성변인에 대한 동질성분석(HOMALS)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한국 배우자 보험살인 범죄자는 외도형, 포식형, 빈곤형의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외도형 범죄자는 주로 내연관계 공범과 함께 범행 후 뺑소니 교통사고로 위장하는 범행패턴이 관찰되었다. 포식형 범죄자는 주로 사회적 약자인 피해자를 물색 후 위장혼인과 동시에 보험에 가입하고 독극물로 살해 후 사고사로 위장하는 범행패턴이 관찰되었다. 빈곤형 범죄자는 주로 생계형 궁핍에 좌절을 느껴 배우자와 자녀들을 연속살인하는 범행패턴이 관찰되었다. 범죄자 유형 중 외도형 범죄자는 감소한 반면, 포식형 범죄자는 증가 추세에 있음이 관찰되었다. 배우자 보험살인 범죄 예방을 위하여 증가추세에 있는 포식형 범죄자의 위험성에 주목하여야 한다. 포식형 범죄자는 사냥하듯이 피해자를 물색하여 위장 혼인관계를 맺은 후 보험금과 재산을 함께 노리고 살해하는 특성이 관찰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포식형 범죄자에 대한 후속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murder crime scene related to spousal insurance is often mistaken for casual accident death, so it is easier to look at it as a natural death scene rather than a murder crime. As the spousal insurance related murder is a planned and long-term crime unlike other murder,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rotection plan for the victim by comprehensivel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tive and crime stages rather than the crime scene.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attempted to classified the types of homicide offender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ime motive and crime stage in the case of spousal insurance homici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type that is suitable for Korean murder criminals related to spousal insurance. Secondly, it is to analyze trends of characteristics of crimes and types of criminals.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homogeneity analysis(HOMALS) on 108 characteristic variables after we’d collected media reports, investigative agency press releases and criminal judgment sentences of 51 cases accused of homicide criminals related to spousal insurance in Korea from 2000 to 2017. As a result, Korean homicide criminals related to spousal insurance were classified into three different types according to their motive and crime stage characteristics: affair, predator, and poverty. In the affair type, the crime mainly was disguised as a hit-and-run traffic accident and both of them having an affair were related to the crime. The predator type offender mainly disguised the crime as an accident after the offender’d poisoned the victim. The victim was selected for the marriage and insurance application as the victim was socially weak. The offender from the poverty type mainly killed both the spouse and children after frustrated from the financial difficulties for daily living. Among the crime types, the predator type increased while the affair type decreased. It i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the risk of predator type increasing for the prevention of crime related to the spouse insurance. The perpetrator searches for the victim like hunting and kills the victim for the insurance death benefits and property after fake marriage. Based on these findings,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predators were suggested.

임경민(이화여자대학교) ; 김수영(이화여자대학교) pp.377-400 https://doi.org/10.22257/kjp.2019.09.38.3.377
초록보기
초록

목표회전은 사전에 설계된 요인부하행렬을 요인 회전에 적용시키는 요인분석 방법으로, 전통적인 탐색적 요인분석과는 다르게 연구자의 사전 가설을 요인 모형에 반영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본 연구는 목표회전 요인분석을 소개하고, 이론에 따른 구조를 가질 것으로 기대되는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에서 실질적으로 목표회전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요인분석에서의 전통적인 요인 회전과 목표회전 방법의 역사적 발전 과정과 수리적 원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실제 자료를 이용한 분석 결과를 비교하여 목표회전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가천대학교의 창의성 검사 개발 프로젝트에서 사용된 총 211명의 1차 예비검사 자료가 두 요인분석 방법에 의해 산출된 요인부하행렬을 비교하는 데 이용되었다. 분석 결과, 목표회전 방법은 전통적 방법에 비해 더 간명하고 해석가능성이 높은 요인구조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해 주었으며, 사회과학 영역의 척도개발 및 타당화 상황에서도 유용성이 높음이 확인되었다.

Abstract

Target rotation is one of the rotation criteria of factor analysis, which is designed to rotate the pattern matrix to a partially targeted matrix in advance. The factor analysis with targe rotation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that a priori substantive theory can be reflected to the factor analytic model.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troduce the factor analysis with target rotation and to explore applicability of target rotation in practical situations, especially in the scale development. To achieve this goal, we explore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the mathematical principles of the two factor analysis methods, traditional exploratory factor analysis vs. factor analysis with target rotation, and compare the performances of the two methods. 211 participants from a pilot study of developing a creativity scale were used for comparing the pattern matrix solutions of each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olution of the pattern matrix from the target rotation had a simpler structure and better construability than the traditional factor rotation method when data had complex underlying structure and large inter-construct correlations.

안소현(가톨릭대학교) ; 김근영(서강대학교) ; 양재원(가톨릭대학교) pp.401-417 https://doi.org/10.22257/kjp.2019.09.38.3.401
초록보기
초록

정서에 대한 예측은 한 개인의 행동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정서예측 및 회상의 정확도는 낮은 편이다. 본 연구는 특질불안에 따라 정서 예측과 예측의 회상, 경험의 회상에서 충격편향이 발견하는지를 확인하고자 고안되었다. 106명의 대학생들은 1차 시점에서 특질불안과 우울을 측정한 후, 2주 후에 있을 중간고사에서 경험하게 될 긍정, 부정정서를 예측토록 하였다. 중간고사가 종료된 직후 당시의 정서를 2차 시점에서 측정하였고, 2주 후 3차 시점에서 1차 시점시 예측한 정서를 회상해 보도록 하였다. 또 다시 2주 후의 4차 시점에서는 2차 시점인 중간고사에서 경험한 정서를 회상하고, 앞으로 있을 기말고사에 대한 정서를 예측해 보도록 하였다. 4번에 걸친 측정치를 바탕으로 예측, 예측 회상, 경험 회상시의 편향도를 계산한 결과, 긍정정서에 있어 정서예측과 예측치 회상의 편향이 확인되었다. 반면 특질불안은 긍정정서와 부정정서 모두에 있어 정서예측 및 예측회상의 편향과 관련이 되었다. 특질불안의 효과는 우울의 효과를 통제한 이후에도 유의미하였다. 이 연구 결과의 의미와 심리치료에의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nticipating the affective consequences of their decisions are important for people's behaviors, yet the accuracy of affective forecasting and affective recall tend to be not great.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impact of trait anxiety as a source of individual differences on the biases of affective forecasting and recall. Two weeks before the midterm exam, 106 college students were asked to predict positive and negative feelings that they anticipated to experience during the midterm exams. The trait anxiety and depression were also measured during the Time 1. On the midterm exam day, the participants reported the affects they were experiencing (Time 2). Two weeks after the exam (Time 3),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call the affects they reported during the Time 1. Finally, two weeks after the Time 3, the participants were requested to recall the affects they reported during the Time 2 (Time 4). Results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s showed the impact bias in the affective forecasting and recall of affective forecasting, only in regard to positive affects. On the other hand, trait anxiety was related to the impact biases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affects. This tendency was generally found even the impact of depression was statistically controlled. The implications of present results to the nature of affective forecasting and the psychotherapy for anxiety were discussed.

정경미(연세대학교) ; 이창석(연세대학교) ; 이서이(연세대학교) pp.419-441 https://doi.org/10.22257/kjp.2019.09.38.3.41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용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Stress Index for Parents of Adolescent; SIPA)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한국판 청소년용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K-SIPA)를 제작하고, 이에 대해 국내 표준화를 진행하였다. 원문항의 의미를 훼손하지 않고 명확한 문항을 만들기 위하여 3단계 번역 절차에 따라 모든 문항을 번역하였으며, 관련 전문가 및 청소년 자녀를 둔 일부 부모의 자문 과정을 통해 K-SIPA를 완성하였다. 전국 20개 도시로부터 모집된 만 11세에서 19세의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 942명을 대상으로 K-SIPA, 건강관련질문지, 아동용 양육효능감 척도와 건강 관련 삶의 질 척도(SF-36)을 실시하였다. 재검사에 대하여 동의한 부모를 대상으로 2-4주 후, K-SIPA 재검사와 더불어 한국판 아동·청소년 행동평가 척도(K-CBCL 6-18), 한국어판 우울증 선별도구(PHQ-9), 불안장애 선별도구(GAD-7)를 실시하였다. K-SIPA의 자녀 연령, 성별 및 부모 성별에 따른 독립적인 국내 규준 산출의 필요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삼원분산분석을 통해 차이를 검증하였으며,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내적 일치도 계수와 검사-재검사 신뢰도 추정치를 산출하였다. 정신과적 진단을 받은 청소년의 부모로부터 수집된 자료와 규준자료로부터 무선추출한 일부 자료와의 K-SIPA 측정치에서의 차이검증을 통해 K-SIPA의 변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아동용 양육효능감 척도, SF-36, PHQ-9, GAD-7과 K-SIPA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추가로 K-SIPA 측정치로 구분된 양육스트레스 집단 간 양육효능감 차이검증을 진행하여 K-SIPA의 공인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K-SIPA의 모든 하위영역, 하위척도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수렴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미국판 SIPA의 요인구조를 기준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표준화 작업을 바탕으로 심리측정적 측면에서 K-SIPA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K-SIPA의 표준화 작업이 갖는 함의와 추후 연구를 통해 보완이 필요한 측면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andardization study was to develop the Korean-norm of the Korean-Stress Index for Parents of Adolescents(K-SIPA). For the development of K-SIPA, the Stress Index for Parents of Adolescents(SIPA) was translated by 3-step translation process, and the final items of K-SIPA were completed through consultation from experts and parents of adolescents. 942 parents of adolescents (age range: 11 to 19) answered health-related questionnaire, K-SIPA, Parental Confidence Questionnaire for child and 36-Item Short Form Health Survey(SF-36). After 2-4 weeks, par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retest answered K-SIPA for the second time, and answered Korean-Child Behavior Checklist for ages 6-18(K-CBCL 6-18),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9(PHQ-9) and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7(GAD-7). Three-way ANOVA was conducted to examine possible influence of demographic variables of gender, age, and parent gender on K-SIPA score. To verify the internal reliability of K-SIPA, cronbach’s alpha index were calculated for each domain, subscale, and the total score. Test-retest reliability were calculated to verify the test-retest reliability. Discriminant validity was verified by analyzing differences in the K-SIPA score between parents of adolescents with mental disorder and parents of typically developing adolescents. For the verification of concurrent validity,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K-SIPA and other measures, and differential analysis in parental confid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K-SIPA score were conducted. Convergent validity was confirmed by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ach domain, subscale, and the total score. Finally, to identify the factor structure of K-SIPA on the basis of the structure of SIP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 of the current standardization study confirmed that K-SIPA was psychometrically reliable and valid measurement.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지은희(연세대학교) ; 홍인재(연세대학교) ; 김민식(연세대학교) pp.443-457 https://doi.org/10.22257/kjp.2019.09.38.3.44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상대방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 의사결정 상황에서 권력관계에 따라 상대의 의도를 추론하여 내려지는 의사결정이 달라질 수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추가 보상에 대한 배분 결정권을 조작함으로써 권력관계를 조작하였고, 통제 조건의 참가자들은 배분 결정권의 차이가 없었다. 참가자들은 상대방과 60회의 죄수의 딜레마 게임을 실시하였고, 매 시행마다 이모티콘을 상대방과 교환하였다. 참가자들은 실제로는 세 번 중에 두 번 배신하도록 설정된 컴퓨터와 게임을 하였으며, 컴퓨터는 배신 의도를 그대로 드러내거나 감추는 방식으로 정서 표현 방식이 조작되었다. 죄수의 딜레마 게임 중에 통제 조건의 참가자들은 배신 의도를 표출하는 상대에 비해 배신 의도를 감추는 상대에게 더 협력해주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권력 조건의 참가자들은 상대방의 정서 표현 방식에 따른 협력 비율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상대방의 정서 표현 방식과 관계없이 낮은 권력 조건의 참가자들이 권력을 가진 참가자들에 비해 더 많이 협력해주는 결과가 관찰되었다. 죄수의 딜레마 게임이 끝난 후에 추가 보상을 배분할 때, 통제 조건의 참가자들은 배신 의도를 표출하는 상대에게 자원을 덜 배분하는 반면, 권력관계에 조작된 참가자들은 배신 의도 표출여부에 따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높은 권력 조건의 참가자들은 상대방의 정서 표현 방식과 관계없이 낮은 권력 조건의 참가자들보다 상대에게 더 적은 자원을 배분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권력관계에 놓인 참가자들은 상대방의 정서 표현 방식에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자신이 처한 권력관계에 따라 의사결정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difference in power can influence people’s social decision-making, specifically when trying to consider the other’s intentions. Participants in power were told that they could decide the distribution ratio of additional rewar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whereas other participants were told that they just had to accept the opponent’s decision. Participants in the control condition were informed that they would receive an equal additional reward to the opponent. Participants played a prisoner’s dilemma game with a computer that was pre-programmed to betray the participants, which participants believed to be another participant’s doing. Emojis (joyful, neutral, or regretful) as emotional expressions were exchanged at the end of every round. The computer showed frank facial expressions with their action (e.g., a joyful face after winning more points) or camouflaged facial expressions (e.g., a regretful face after winning more points). We found that participants in the control condition were less cooperative in the frank expression conditions than in the camouflaged expression conditions. However, participant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between both conditions, regardless of the power condition. After the dilemma game, participants in the control condition gave less reward to the opponent expressed betrayal intention, whereas participants in power or not did not give different reward to the opponent. Rather, participants who were in power gave less reward compared to those not in power.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eople tend to be insensitive to the other’s emotional expression when they were situated in a power relationship, but rather acted according to their own status of power.

정재욱(서강대학교) ; 김영주(서강대학교) ; 김보경(연세대학교) ; 나진경(서강대학교) pp.461-485 https://doi.org/10.22257/kjp.2019.09.38.3.461
초록보기
초록

기존의 심리학 문헌에서는 개인주의 문화권에서보다 집합주의 문화권에서 분노나 적개심 같은 부적 정서의 표현이 억제된다고 보았다. 개인을 드러내는 표현이 장려되는 개인주의 문화권에서와 달리 집합주의 문화권에서는 집단의 조화를 해칠 우려가 있는 표현이 덜 허용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 한국인들이 정서 표현을 반드시 억제하는 것은 아니라는 결과가 발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한국에서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불공정에 대한 정서반응을 분노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과 미국인을 대상으로 가상의 불공정 경험 시나리오에 대한 응답을 수집하였다. 그 결과, 한국인들이 미국인들에 비해 불공정한 시나리오를 읽고 더 큰 분노를 표현하였으며, 상황에 대해 개입하고자 하는 의도가 더 컸고, 개선의 중요성 역시 더 크게 지각하였다. 그리고 개인의 불공정 경험 정도가 분노 표현의 문화 차이(한국vs미국)를 매개하였다. 또한 연구에 사용된 두 개의 시나리오 중 하나에서는 분노 표현의 문화 차이가 개선 중요성과 개입의도의 문화 차이로 이어졌다.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와 정서 표현 및 불공정 경험의 관계에 대한 함의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Previous research in cultural psychology shows that the expression of negative emotions, in particular, anger tends to be socially regulated in collectivistic cultures(e.g., Korea) than in individualistic cultures(e.g., the US) as anger can be detrimental to social harmony. However, an emerging stream of literature suggests that Koreans are allowed to express anger in certain situations. Building on this line of literature, the authors reasoned that Koreans would express anger in response to social unfairness more than Americans because Koreans become increasingly interested in social justice these days. Consistent with the reasoning, Korean participants expressed more anger than did their American counterparts after reading two hypothetical vignettes describing unfairness. Also, the cultural difference in anger expression was mediated by how much they experienced unfairness in their daily life and also by how important they believed it was to improve social justice. Furthermore, the results in one out of two scenarios showed that the cultural difference in anger expression was closely linked to the corresponding differences in how important they believed it would be to improve social justice as well as how willing they would be to fight against unfairnes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