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경일수(광운대학교) ; 서은영(광운대학교) ; 김혜균(광운대학교) ; 탁진국(광운대학교) pp.1-31 https://doi.org/10.22257/kjp.2018.03.37.1.1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Growth Orientation Scale(GOS). 53 items and 6 factors of the GOS were obtained based on questionnaires from expert. the preliminary on-line surveys from persons was carried to analyze factor structure of the GOS. The final result showed that the 5 factor model with 34 items was appropriate. Finally, to test validity of the GOS, the main on-line survey was carried that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986 persons across a wide divided into two sub-groups (each group with 493 persons). The results of factor analyses with group 1 showed that the 5-factor model with 28 items was appropriate. Also,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group 2 showed that the 5-factor model fit the data well. Final 5 factors were as follows: 1) intelligent belief 2) process-oriented performance attitude 3) resilience 4) fate belief 5) talent belief. The GO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various criteria such as life satisfaction, subjective happiness, self-efficacy, mindsets and learning goal orientation.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김효주(한국직업능력개발원) ; 이순묵(성균관대학교) pp.33-64 https://doi.org/10.22257/kjp.2018.03.37.1.33
초록보기
초록

미래 사회의 주체인 대학생들에게 불확실한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유용한 결과를 만들어 가는 창의적 역량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일상적 영역에서의 문제 해결 창의성을 연구하였으며, 창의적 산물 평가 척도 CPAS-K(Creative Product Assessment Scale-K)를 개발 및 타당화 하였다. CPAS-K를 개발하기 위해 이론적 접근과 경험적접근을 결합하였으며, 대학생 연령을 초과하는 일반 성인들에게 CPAS-K를 활용하여 대학생들이 산출한 3가지 수준(전문가에 의해 상, 중, 하로 선정된 3가지 산물)의 창의적 산물을 평가하도록 의뢰하였다. 총 436부의 평가자료가 분석되었는데, 이 중 300부는 탐색적 구조방정식 모형(Explorator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활용한 탐색적 요인분석에, 136부는 다특질- 다방법(multitrait-multimethod: MTMM) 접근을 활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에 활용되었다. 이후, 436 부의 평가자료를 모두 사용하여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여 척도를 다양한 수준의 산물에 일반화하였다. 분석 결과, 일상적 영역의 문제 해결 창의성은 ‘독창성’과 ‘적절성/실용성’ 2개의 차원으로 밝혀졌고, 창의성이 높은 산물과 중간인 산물, 낮은 산물간 요인평균 비교를 통한변별이 가능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 및 한계와 향후 제한점 등이 논의되었다.

Abstract

Creativity is a competence to produce useful and novel results in uncertain environment. Creativity is an essencial factor for college students who will lead the society in the near future. In the present study we developed and validated CPAS-K(Creative Product Assessment Scale-K) to investigate college students' everyday problem solving creativity. CPAS-K was developed through theoretical and experiential approach, and validated using empirical data of three different creative products collected from 436 adults. We split the data into two sets. One set of 300 observations was analyz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sing ESEM(explorator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 other set of 136 observations was analyz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MTMM(Multitrait-Multimethod) approach. Then, the total data were used in a multi-group analysi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yielded two factors that were interpreted as Originality and Appropriateness/Resolution. As a result of the multi-group analysis, factor means of the three products were compared.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factor means in the Originality and the Appropriateness/Resolution dimensions so that the degree of creativity of products could be differentiated. Finall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potential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황민영(연령통합고령사회연구소) ; 정순둘(이화여자대학교) ; 김주현(충남대학교) pp.65-103 https://doi.org/10.22257/kjp.2018.03.37.1.6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연령주의(ageism)와 우울감과의 관계에서 신체적 노화 인식 및 심리사회적 노화 인식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남성 베이비부머, 전기노인, 후기노인 세대를 중심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베이비부머남성에 해당하는 총 69명의 자료와 전기노인 총 151명, 후기노인 총 63명에 해당하는 자료를 연구 분석에활용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연령주의척도, 단축형 CES-D, 신체적 노화 인식 척도 및 심리사회적 노화 인식척도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신체적 및 심리사회적 노화 인식과 우울감 변인에서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둘째, 세대집단과 연령주의, 연령주의와 신체적 노화 인식을 제외한 모든변인 간 관계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이 관찰되었다. 셋째, 남성 베이비부머 세대의 경우, ‘신체적노화인식→ 심리사회적노화인식→우울감’의 경로와 ‘신체적노화인식→우울감’의 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나, 신체적 노화인식과 우울감 사이의 관계를 심리사회적 노화 인식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전기노인 및후기노인 세대에서는 ‘연령주의→심리사회적노화인식→우울감’의 간접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신체적노화 인식 변인은 상이한 패턴을 보이며 그 경향성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남성 베이비부머, 전기노인, 후기노인 세대 집단을 대상으로, 공포관리이론을 기반으로 죽음이 점차 가까워지는 시기에 경험하는 실존적 위협의 영향을 살펴보며, 사회역사적 세대 집단에서 나타나는 양상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시도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ageism and depressive mood with examining serial multiple moderating effect of self-perception of physiological and psychosocial aging in three generation groups. Data of the male babyboomer group(N=69), the male young-old group(N=151) and the male old-old group(N=63) were analysed. They were asked to fill out a set of questionnaire which includes Ageism Survey, short form of CES-D, Aging Perceptions Questionnaire, and Self-Perceived Adverse Age-Change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on perception of physiological aging, psychosocial aging and depressive mood. (2) Expect for relationships between generation groups & ageism, and ageism & perception of physiological aging, all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3) In the male babyboomer generation, indirect effect of ‘physiological aging → psycho-social aging → depressive mood’ and direct effect of ‘physiological aging → depressive mood’ were significant. In the male young-old and the old-old generations, indirect effect of ‘ageism → psycho-social aging → depressive mood’ were significant. Also, physiological aging showed tendencies with different patterns in these two generation group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socio-historical generational differences in the face of existential threat.

이고은(부산대학교) ; 신현정(부산대학교) pp.105-125 https://doi.org/10.22257/kjp.2018.03.37.1.1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을 주관적으로 길거나 짧게 판단하게 만드는 심리적 요인의 효과를 경험적으로 접근하고, 그 결과가 갖는 함의를 통해 주관적 시간에 대한 설명틀을 제안해 보려는 것이었다. ‘시간 판단 비율’(객관적 시간/주관적 시간)이라는 조작적 개념에 바탕을 두고두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부정 정서를 초래하는 손실 상황과 긍정 정서를 초래하는 이득 상황을 조작하여 참가자들에게 5분의 주관적 시간을 판단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손실 상황에서는 주관적 시간에 비해 객관적 시간이 느리게 가는 것으로 판단한 반면, 이득 상황에서는 주관적 시간에 비해 객관적 시간이 빠른 것으로 판단하였다. 실험 2에서는 현재와 특정 미래 시점을 손실이나 이득 상황으로 조작하고, 참가자들에게 그 미래 시점까지의 주관적 거리감을 추정하도록 요구하였다. 그 결과, 현재가 긍정적이지만 미래가 부정적인 경우 그리고 현재와 미래가 모두 긍정적인 경우에는 다가올 미래를 현재가 부정적이거나 미래가 긍정적인 경우와 현재와 미래가 모두 부정적인 경우에 비하여 미래를 가깝게 추정하였다. 이에 덧붙여 현재와 미래 상황이 모두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일 경우에는, 미래보다는 현재 상황이 특정 미래 시점까지의 주관적 시간 거리 평가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감내의 시간’과 ‘가용의 시간’이라는 조작적 개념에 근거한 주관적 시간설명틀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factors on the experience of subjective time, and to propose an explanation framework of subjective time based on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an operational concept of ‘time judgment ratio’(objective time/subjective time). In Experiment 1, participants judged subjective time in either a loss(negative emotion) or gain(positive emotion) situation. The results were that while the objective time was shorter than the subjective time in the loss situation(time judgment ratio < 1.0), the reverse was true in the gain situation(time judgment ratio > 1.0). In Experiment 2, the present time and a certain future time(1 month later) were manipulated as either a loss or a gain situation, and participants were asked to judge their subjective temporal distances to the future tim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When the present was positive and the future was negative, and when both the present and the future were positive, the future looked closer and came faster than the objective time.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sent was negative and the future was positive, and when both the present and the future were negative, the future looked farther and came slower than the objective time. One notable result was that the subjective temporal distance to a certain future was influenced by the positivity/negativity of the present more than by those of the future. An explanation framework of subjective time was proposed based on the operational concepts of ‘time of perseverance’ and ‘time of availability’.

이현정(고려대학교) ; 손수경(고려대학교) ; 장유나(고려대학교) ; 홍세희(고려대학교) pp.127-152 https://doi.org/10.22257/kjp.2018.03.37.1.127
초록보기
초록

구조방정식모형과 메타분석은 최근 들어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행동과학을 비롯한 모든 영역에서 활발히 적용하고 있는 방법론이다. 최근까지 두 방법론은 각자의 방식대로 발전해왔으며, 각각 서로 다른 연구에 적용되어 왔다. 즉, 구조방정식모형은 연구자가 제안한 연구모형의 검증에 활용되었고 메타분석은 단일 주제 연구들을 통합하는 데 적용되었다. 그러나 메타분석은 구조방정식의 프레임웤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이 방법은 기존의 방식보다 더 많은장점을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메타분석 방법론을 소개하고이를 실증연구에 적용하여 분석한 예시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최근 Cheung(2008, 2015)이 제시한 SEM 기반 메타분석 방법론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며, 국내에서 구조방정식 분석 프로그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Mplus를 활용하여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기술하였다. 구체적으로, 먼저 SEM 기반 메타분석의 장점을 기존의 메타분석과 대조하여 자세히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전통적인 메타분석 모형(고정효과, 임의효과, 혼합효과)에 대해 SEM에 기반한 접근법으로 모형을 설명하고 구체적인 분석 방법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또한 이러한 방법론을 적용한예시로서, 학업지연행동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의 효과크기를 통합하고 조절변수로서 연구특성 변인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향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Recently, applications of structural equations and meta-analysis are increasing rapidly in many areas. The two methods have been used for different purposes in different fields. That 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has been used for evaluating theoretical models, while meta-analysis has been applied to integrating individual studies. However, combing the two separate methods, meta-analysis can be don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this study, SEM based meta-analysis was introduced and applied to empirical studies to demonstrate an example of analysis. We focused on the SEM based meta-analysis, which Cheung (2008, 2015) presented, and explained the method using Mplus. Our presentation was as follows: first, advantages of SEM-based meta-analysis were explained in detail in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meta-analysis. Next, SEM-based meta-analysis model(fixed-effects, random-effects, mixed-effects model) and analysis method were presented. For a real-data example, the effect sizes of empirical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rastin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were integrated and the effects of research characteristics as predictors were investigated.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박송이(성균관대학교) ; 장승민(성균관대학교) pp.153-183 https://doi.org/10.22257/kjp.2018.03.37.1.153
초록보기
초록

다지표 잠재성장모형(LGM)은 여러 관측변수에 의해 측정되는 요인의 시간에 따른 변화 궤적을 2차 요인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모형이다. 다지표 LGM은 여러 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요인척도법에 따라 모형 적합도와 모수 추정값이 달라지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다지표 LGM에서 요인동일성의 수준과 요인척도의 설정 방식에 따라 요인 평균의 의미가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규명하고, 요인척도의 설정이 다지표 LGM의 모형 적합도와 모수 추정값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먼저 종단 요인분석 모형에서 요인동일성 제약과 요인척도법에 따라 요인 평균이 어떻게 정의되는지와 모형 적합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논의하였다. 또한 절편의 합을 0으로 제약하는 설정이 요인 평균을 어떻게 정의하는지 밝히고, 이러한 제약이 약한 요인동일성을 가정한 다지표 LGM의 성장 요인 평균에 대해 일관적인 분석 결과와 해석을 제공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패널 자료를 이용한 실제 자료의 분석을 통해 이와 같은 다지표 LGM의 특징을 예시하였다. 끝으로 평균공분산구조 모형의분석에서 요인동일성과 요인척도 설정의 중요성과 다지표 LGM에서 강한 요인동일성 모형을사용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multiple-indicator latent growth model (MI-LGM) is a second-order confirmatory factor model that analyzes latent trajectories of a factor measured by multiple indicators over time. Although MI-LGM can test the factorial invariance of indicators and estimate trajectories of a latent variable controlling measurement error, model fit and parameter estimates of the model may vary depending on factor scaling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factor scaling methods, given a specified level of factorial invariance, change the meaning of the factor mean and thus affects the model fit and parameter estimates of MI-LGM. The authors first explored how factorial invariance and factor scaling affect the definition of factor means and the model fit in longitudinal factor analysis models. Next, they showed that constraining the sum of the indicator’ intercepts to zero creates a clear definition of the factor mean and the constraint provides consistent results and interpretation of the means of growth factors in the MI-LGM even under the weak factorial invariance. An analysis of actual panel data then illustrated such characteristics of the MI-LGM. Finally, the authors discussed the importance of factorial invariance and factor scaling in the analysis of mean and covariance structure models and that of using the strong factorial invariance when modeling the MI-LGM.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