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車載浩(韓國行動科學硏究所) ; 李恩玉(韓國行動科學硏究所) pp.1-11
초록보기
초록

先記著者(車, 1973)는 Thurstone 型態度尺度를 위한 새로운 問頊(二陳述) 選拔基準으로 感敏度라 는 問項指標를 提示한 바 있다. 感敏度한 한 問項이 얼마나 態度强度가 同質的인 사람들의 賛擇을 받느냐 하는 程度를 나타내는 것으로 賛擇分伂의 變牧中 被驗者問變釐으로 測定된다. 感敏度는 一種의 問項僧賴度 指數이다. 本 硏究의 目的은 感敏度의 性質을 實驗資料를 통하여 調査하고 Thurstone의 Test of irrelevance에 의해 製作한 尺度와 感敏度에 의해 製作한 尺度의 2개의 對等尺度를 놓고 信賴度를 化較해 보는 것이있다. 이런 目的을 위해 모두 7개의 想定을 내 놓고 檢證해 보았다. 우선 31개 問項으로 된 試驗川 Thurstone型 男兒尊重態度尺度를 97명의 家庭主婦들에게 實施하고 이렇게 얻은 각問項에 대한 贊擇. Set(한 問項을 賛擇한 사람들이 馒擇한 모든 問項들의 尺度値들)에서 여러가지 統計値를 箄出하고 이들 간의 相關을 보았다. 다음 式驗尺度에 Thurstone의 Test of irrelevance와 感敏度의 問項選拔基準을 적용하여 얻어진 2개의 對等尺度를 가정주부 각각 21명과 22명에게 實施하여 相逯하는 問項選拔基準에 입각한 2개의 最終尺度의 信賴度를 比較했다. 7개의 想定中 하나만 除外하고 모두 资料의 支持를 받었다 精果的으로 感敏度는 Test of irrelevance와 有度關와는 다른 것을 재며 感敏度에 의해 問項選拔을 한 態度尺度기 Test of irrelevance의 有關度에 의해 動作한 尺度 보다 丙的合淺度信賴度에 있어 훨씬 높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예상과는 달리 感嫉 度는 問項의 社會善希度의 關가 있었다. 이 硏究의 뜻하지 않은 發展은 社會 善沿度기 問度尺度侦와 曲線的인 關係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이 相關는 自字型으로 尺度位가 感醒에 있는 問項의 社會善希度는 態度 兮伂申東地點에 있는 問項의 社會善希度도다 낫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tested seven assumptions concerning the nature of various indicts derived from an endorsement set (a set of scale values of all statements endorsed by a subset of subjects endorsing a particular common statement) including a new item index called sensitivity index. A kind of item reliability, this index is defined by the between-subject variance of the endorsement set of an item (attitude statement). Two studies were carried out. which supported all but one of the seven assumptions tes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nsitivity index is independent of the other indices derived from the same item endorsement set and that its use in the selection of attitude statements in Thurstone-type attitude scales results in more reliable attitude scales than does the use of Thurstone's test of irrelevance. It was maintained that Thurstone's test of irrelevance is a confounded index and that the sensitivity index is superior to the test of irrelevance because it is a purer item index and renders itself to a more precise and objective measurement than the test of irrelevance. Contrary to expectations, item sensitivity was unrelated to rated item social desirability, but the latter was found related unexpectedly to item scale position in an inverted U function.

이수원(한양대학교 교육학과) pp.12-19
초록보기
초록

자극의 크기가 준거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보기위하여 인물평가 형용사의 조합의 크기를 1개에서 4개까지 변화시켜 일정한 준거 밑에서 평정케 하였다. 그 결과 자극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서 준거효과는 일관성 있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이 추세는 다시 자극과 상황 사이의 적절성에 따라서 상호작용을 하고 있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인상형성에서 정보통합과정에 관한 몇가지 시사를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 set size of stimuli and the context effects in impression formation. It was assumed that the context effects tend be larger when the set size of stimuls list decreases, In an attempt to test this assumption, an experiment was performed, manipulating the set size of the stimulus lists and inducing the context effects. The set size of lists was ranged one to four, while the favorableness of the stimulus lists were constant. The context effects were induced by the presentation order of the stimulus series. Subjects were presented with the stimulus lists and rated their liking for the adjective traits under different contexts. Consistent with our prediction, results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s in context effects as the set size of lists increased and the structure of stimulus were differentiated.

鄭福善(서울大學校 心理學科) pp.20-28
초록보기
초록

知覺의 恒常性과 對象의 存在確信이 어떻게 형성되며 또 어떻게 相互作用하는가를 규명해 보자는 것이 本硏究의 自的이다. 방법으로써 乳兒의 運動感覺(Kinaesthesie)과 剌戟一般에 대한 反應傾向을 縱斷的으로 관찰하였다. 피험자는 서로 姉妹 間인 두명의 여자어린이였으며,관찰기간은 2년9석주)과 1년 6개월(덕주)이였다. 관찰된 자료의 分析 結果, 知覺의 恒常現象은 發生的으로 對象 永續性의 槪念形成 에 힘 입음을 볼 수 있었다. 이것은 知覺에 어떤 認知作用이 개입함을 긍정하는 것이다. 아울러 Piaget의 知覺活動과 Husserl와 規整的 綜合作用을 論議함으로써 理論的 根據를 살펴보았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study genetically in the process of being established our perceptual constancy of objects and GegenstandsbewuBtsein and to try to clarify how they interact. Two Korean girls' response tendency and Kinaesthese were observed for two years (Seok-joo) and one and a half year(Deok-joo), respectively. The observed data were analysed in terms of the constitution of object permanence concept (Piaget) and the occurrence of the perception of shape constanc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ere discussed and the intervention of a certain cognitive activity into the process of perception was supported. Theoretical implication was discussed within the framework of Helmholtz's unconscious inference, Piaget's perceptual activity, and Husserl's Konstituion.

李雲英(梨花女子大學校) ; 車載浩(서울大學校 心理項科) pp.29-40
초록보기
초록

본연구는 K.K. Sears와 그의 同僚들이 보고한 바, 父母의 養育態度가 制約的일수록 아이의 성격이 女性化된다는 사실의 Sears등이 사용한 面接者의 評定이 아니고 어버이自答의 養育態度檢査를 통해 확인하려 했다. 국민학교 4,5학년 어린이 남자 190명, 여자 160명에게 男性一女性性檢査를 실시하고 男女집단별로 髙點群과 低點群으로 나누어 그들 이머니에게는 子女餐育態度檢査와 成人用 男性一女性性檢査를 실시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어머니變因들의 자료를 아이性과 男性一女性性을 두 獨立變因으로 한 2×2設計에 따라 男性的 學生의 어머니 69명과 女性的學生의 어머니 79명의 養育態度檢奄點數를 分析한 결과 男學生은 어머니가 冷情하면 女性的으로 되며 女學生의 경우에는 어머니가 過保渡(干涉)的이면 女性的이 됨을 발견했다. 이 결과는 어버이의 養育과 아이의 女性性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一次的 同一視說이나 Sears 등의 活動制約說은 적어도 어머니의 경우에는 지지를 받지 않는 것이라고 결론짓고 새로운 說明을 시도하였다. 예상외로 男學生의 어머니는 女學生의 어어니보다 더 男性的이라는 것이 밝혀졌는데 이는 男學生이 女學生보다 동기간 중에 男子를 많이 갖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를 제시했다.

Abstract

The hypothesis advanced by R. R. Scars and his collaborators that restrictive childrearing by parents leads to femininity in children was tested by means of a self-administered child-rearing attitude test given to mothers rather than by means of ratings of interview data as used by Sears and his coworkers, One hundred ninety male and 160 female, 5th and 6th graders were given an M-F test for children, and on the basis of the scores the mothers of the most masculine and the most feminine students were given a child-rearing attitude test measuring four child-rearing dimensions previously isolated from Korean mothers. Analysis of the test scores from 60 mothers of the masculine and 79 mothers of the feminine students showed that a "cold" mother is associated with a feminine boy whereas an "overprotective or domineering" mother is associated with a feminine girl. Permissiveness and emotional involvement were unrelated to child's femininity. It was concluded that at least for mothers data do not support either the primary identification hypothesis or Sears' activity-restriction hypothesis. An unexpected finding, namely that mothers of the boys were more masculine than those of the girls, was explained in terms of greater number of male siblings expected for a male student as against a female student. Evidence was presented which bore out the latter expectation.

李秀遠(漢陽大學校 敎育學科) ; 金正權(漢陽大學校 敎育學科) ; 趙兢鎬(韓國敎育開發院) pp.41-46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