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박서연(광운대학교) ; 이상희(광운대학교) pp.307-32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생 425명을 대상으로 하여 정서명확성과 정서강도를 중심으로 정서경험 유형을 분류하고 정서경험 유형에 따른 식이행동과 자아탄력성의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정서강도는 높을수록 정서적, 외부적 섭식이 높았으나 정서명확성이 식이행동에 미치는 효과는 정서강도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명확성과 정서강도에 따라 우리나라 대학생은 4개의 정서경험 유형-안정된 유형, 격렬한 유형, 압도된 유형, 무딘 유형-으로 유의미하게 분류되었으며, 정서경험 유형에 따라 식이행동과 섭식유형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정서경험 유형에 따른 자아탄력성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된 유형이 다른 정서경험 유형보다 가장 높은 자아탄력성 점수를 나타냈고 다음으로 격렬한 유형과 무딘 유형이 중간 정도의 점수를, 압도된 유형이 가장 낮은 자아탄력성 점수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fine four emotion types (i.e., cerebral, hot, cool, overwhelmed) by their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al intensity. In addition, we examined the effect of emotion types on eating behaviors and ego-resilience. Total of 425 Korean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While the emotional intens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emotional and external eating behavior,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on eating behavior was influenced by the level of emotional intensity. Second, emotion types of Korean colleg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by their levels of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al intensity. Eating behaviors and eating typ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emotion types. Third, ego-resilienc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emotion types. Specifically, individuals of cerebral type demonstrated the highest scores on ego-resilience followed by those of hot and cool types placed in the middle. Individuals of overwhelmed type demonstrated the lowest scores on ego-resilienc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이소연(숙명여자대학교) pp.327-35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굼뜬 인지적 템포(SCT)에 대한 이해를 촉진하기 위해 기존의 SCT에 대한 연구들을 전반적으로 개관하였다. SCT 연구의 필요성을 역사적 배경에 기초하여 소개하고, 측정도구와 요인구조를 여러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SCT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신뢰롭고 타당한 측정도구의 검증이 필요하며, 이와 동시에 SCT를 단일차원으로 보는 것이 적절할지, 다차원으로 보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해 탐색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또한, SCT와 DSM-IV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장애(ADHD) 그리고 다른 정신병리와의 관계 뿐 아니라 SCT와 뇌신경학적 기능, 학업적․사회적 기능과의 관계를 탐색함으로써, SCT가 ADHD와는 독립된 차원임을 밝혔다. 이는 이전에 SCT를 ADHD 주의력 결핍 요인의 핵심증상으로 간주하여 연구해 왔던 것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각에서 SCT를 탐색해야 하는 필요성을 제기한 것이다. 또한, SCT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넓히기 위해 관련연구가 부족한 SCT의 병인, 유병률, 치료 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reviewed recent studies on sluggish cognitive tempo (SCT) and empathized the importance of future follow up studies on SCT. Recent empirical evidence showed SCT symptoms were distinct from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urth Edition (DSM-IV)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could be considered multidimensional. SCT is associated with academic impairment and psychological functioning including internalizing symptoms, social withdrawal, and academic impairment, and, possibly, neuropsychological difficulties, even after ADHD inattention problems were controlled. The recent findings suggested that SCT was an important symptom in understanding attentional problems, distinct from ADHD, and, in turn, suggested the need for future studies.

이은주(경북대학교) pp.353-37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상태-특성이론을 바탕으로 성취목표지향성의 변화에 작용하는 상태와 특성의 문제를 규명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개인의 성취목표지향성이 내포하고 있는 특성적 요인과 상태적 요인을 구분하고, 성취목표의 유형 중 어느 목표가 종단적으로 보다 안정적이고, 또 어느 목표가 상대적으로 변화가능한지 알아보았다.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 2~4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잠재 특성-상태-상황(TSO)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성취목표지향성은 특성적 요인과 상황적 요인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상태 성취목표지향성의 변량 중 특성적 요인과 상황적 요인을 구분한 결과, 모든 성취목표 유형에 걸쳐 상황적 요인이 차지하는 변량(60~70%)이 특성적 요인(30~40%)보다 컸다. 특히 특성적 요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숙달접근 목표에서 가장 높았으며, 상황적 요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숙달목표나 수행목표에 상관없이 회피목표에서 가장 높았다. 즉, 숙달접근목표가 상대적으로 가장 안정적인 목표이며 회피목표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가능성이 가장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의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posits that achievement goal endorsement is likely to be stable to some degree, but it is also likely to exhibit change across time. A longitudinal state-trait approach was utilized in the present study to examine the stability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ith a sample of 5,847 eighth graders followed over 3 years, the present study used a latent trait-state-occasion(TSO) model(Cole, Martin, & Steiger, 2005) to isolate the trait and state components. Results showed that TSO model was the best representation for achievement goals, validating that the achievement goal measures included both state and trait components. Over three years, the percentages of variance explained by the state component (60~70%) were greater than that explained by the trait component(30~40%) across four goals; State components were higher than trait components across all types of achievement goals. The portion of the variance attributed to the occasion-specific variable was higher in both mastery-avoidance and performance- voidance goals than mastery-approach goals. Regardless of mastery or performance goal, avoidance goals are more reactive to the situation, whereas mastery-approach goals are more similar to enduring disposition in their expression of stability. The implications of the present findings are discussed.

김재신(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센터) ; 양연수(메디피스) ; 김태언(메디피스) ; 이선재(메디피스) ; 박선영(마음사랑인지행동치료센터) pp.375-39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2013년 2월부터 5월까지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거주하는 주민들(N=270)을 대상으로 그들이 경험한 외상사건을 살펴보고, 외상경험과 정신건강변인들간의 관계를 분석했다. 먼저 외상경험을 살펴본 결과, 연구 참여자의 93.0%가 1건 이상의 외상사건을 경험했으며, 구체적으로 재산손실 및 파괴, 가까운 가족의 죽음, 최루가스 공격, 야간공습 등을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둘째, 외상후 스트레스 위험군은 전체의 53.5%, 불안증상 위험군은 58.1%, 우울증상 위험군은 57.4%로 나타나 매우 심각했으며, 셋째, 외상경험과 정신건강변인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외상사건 경험빈도는 외상후 스트레스, 신체화 증상, 적대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at traumatic events Palestinians living in Gaza Strip(N=270) have experienced and how those experiences are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disorders(i.e., PTSD, anxiety, depression, somatization, hostility, life-satisfaction) by using the data obtained from February to May 2013. The results showed that 93.0%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at leat one traumatic event, and many had traumatic experiences such as property loss, close family members' death, tear gas attacks, and night raids. Second, among 270 participants, 53.5% reported PTSD, 58.1% anxiety, and 57.4% depression. Third, traumatic experienc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TSD, somatization, and hostility. Last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서수균(부산대학교) ; 정영숙(부산대학교) ; 이윤희(부산대학교) ; 안정신(부산대학교) pp.397-41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노년기 주요 대인관계인 부부관계에서 노인이 경험하는 갈등을 측정하고자 노부부갈등척도(Elderly Couple Conflict Scale: ECCS)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443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자들이 개발한 48개의 ECCS예비문항과 부부관계만족도, 노인부부관계특성척도, 노인용사기척도(Philadelphia Geriatric Center Morale Scale: PGCMS), 행복지수척도를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ECCS는 총 32문항으로 6요인구조(배려및관심부족, 강압적인태도, 무절제및불충실한행동, 무시및소외, 가사불만, 부부외가족문제)를 보였다. 요인별 내적합치도는 .68 ~.93이며, 부부관계만족도, 노인부부관계특성척도, PGCMS, 행복지수척도와는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여 양호한 수렴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이어, ECCS의 하위요인들 중 부부관계만족도, PGCMS, 행복지수척도를 예언해주는 요인을 찾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부관계만족도를 예언하는 요인에는 남자노인의 경우 배려및관심부족이, 여자노인의 경우는 배려및관심부족과 가사불만이 확인되었다. PGCMS와 행복지수척도를 예언해주는 요인으로, 남자노인의 경우 무시및소외와 부부외가족문제가, 여자노인의 경우는 강압적인태도, 배려및관심부족, 부부외가족문제가 확인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Elderly Couple Conflict Scale(ECCS) to measure the elderly's conflicts with spouse as elderly's primary personal relationships. For this purpose, 48 initial items of ECCS was administrated to 443 elderly people who were over 60 years old with other scales involved in Couple Relationship Satisfaction Scale, Elderly Couple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Philadelphia Geriatric Center Morale Scale(PGCMS), and Korean Happiness Index. The results of exploratory analysis were that ECCS was composed of 32 items, 6 factors(regard/concern lack, forceful attitude, intemperance/disloyalty behaviors to family, neglect/alienation, housework discontent, other family issues). The internal reliabilities of each factors were .68∼.93. ECCS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Couple Relationship Satisfaction Scale, Elderly Couple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PGCMS, and Korean Happiness Index to suggest satisfactory discriminant validity. Then, to finding the strong factors among sub-factors of ECCS to predict couple relationship satisfaction, PGCMS and Korean Happiness Index, we implemente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In male elderly, The strongest predictors of couple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regard/concern lack, in female elderly, regard/concern lack and housework discontent. The strongest predictors of PGCMS and Korean Happiness Index were neglect/alienation, other family issues in male elderly, regard/concern lack, forceful attitude, family issues in female elderly.

이혜주(한동대학교) pp.417-440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dissociation approach of different types of motives, exploring the reasons behind the dissociation between implicit and explicit motives for aggression are still lacking. The present study reviews different (social) cognitions that influence implicit (Conditional Reasoning Test for Aggression, CRT-A) and explicit measures of aggression (Aggression Questionnaire, AQ). The CRT-A assesses individuals’ aggressive tendencies through an inductive reasoning process that uses an individual’s implicit motives, selective attention, and confirming biases, whereas, the self-reported measures of aggression investigate aggressiveness through a decision making process based on implicit comparison and self-perception. Furthermore, this review suggests possible antecedents of implicit and explicit aggression, such as low versus unstable self-esteem, and social exclusion versus social learning. The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 of the implicit and explicit measures of personality are also discussed.

유성경(이화여자대학교) ; 박은선(이화여자대학교) ; 김수정(이화여자대학교) ; 조효진(이화여자대학교) pp.441-46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삶의 의미와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1997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의 연구논문 총 38편에 대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N=13,961). 정신건강은 Hackney와 Sanders (2003)의 기준에 따라 우울과 불안의 부정적 지표와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긍정적 지표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삶의 의미와 정신건강의 부정적 지표간의 평균 효과크기(r)는 -.152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던 반면, 삶의 의미와 정신건강의 긍정적 지표간의 평균 효과크기(r)는 0.499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삶의 의미와 정신건강의 긍정적 지표간의 평균 효과크기는 큰 효과크기로 삶의 의미가 높을수록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이 높아지는 관계를 보였다. 이에 대한 하위집단 분석결과 삶의 의미와 정신건강 긍정적 지표의 측정영역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는데 주관적 안녕감보다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대상 연령에 따른 집단차이를 보였는데, 성인, 청소년, 대학생, 노년 순으로 관계가 더 크게 나타나 삶의 의미와 정신건강의 긍정적 지표의 관계가 성인집단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Abstract

The association between meaning in life and mental health outcomes was examined with meta-analysis across 38 studies (N=13,961) published from 1996 to 2013 in Korea. The mental health outcome variables were categorized as negative measures of anxiety and depression and positive measures of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Hackney & Sanders(2003). The average effect size(r) between meaning in life and positive measures was 0.499, indicating the greater the meaning in life is strongly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pecifically, the association between meaning in life and positive measures differed in age groups, indicating the strongest association was found in adult group and the weakest one in elderly group. Moreover, meaning in life was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with subjective well-being. The average effect size(r) between meaning in life and negative measures was insignificant(r=-.152).

설선혜(고려대학교) ; 김학진(고려대학교) ; 이민우(고려대학교) pp.467-489
초록보기
초록

이타 행동은 타인의 안녕에 가치를 부여하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람들이 타인의 안녕에 가치를 부여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이타적 강화학습과제를 개발하고 공감 성향과 내집단 편향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강화학습과제에서 참가자들은 주어진 두 개의 옵션 중 하나를 선택하여 보상을 얻을 수 있는데, 각 옵션의 보상 확률은 30%와 70%로 다르고, 시행을 반복하면서 선택과 결과 간의 관계를 학습해야 한다. 여기서 보상에 가치를 부여하는 정도는 보상 확률이 높은 옵션을 선택하는 빈도로 측정된다. 실험 1에서는 자신에게 도움이 되는 자기-보상, 자신과 타인에게 모두 도움이 되는 공동-보상, 타인에게만 도움이 되는 타인-보상 조건에서 참가자들의 학습 정도를 비교하고 공감 성향에 따라서 어떻게 다른 선택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정서적 공감 성향이 높은 참가자들이 공동-보상 조건과 타인-보상 조건에서 높은 수행을 보여서 타인의 안녕에 더 많은 가치를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최소집단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이타적 강화학습과제에서 내집단 편향이 관찰되는지 확인하였다. 참가자들은 내집단원에게 더 호감을 보였으며, 자신에게 도움이 되는 자기-보상 조건, 내집단원에게 도움이 되는 내집단원-보상 조건, 외집단원에게 도움이 되는 외집단원-보상 조건에서의 선택을 비교하였을 때, 자기-보상 조건과 내집단원-보상 조건에는 차이가 없고 외집단원-보상 조건에서만 보상 확률이 높은 그림을 선택하는 빈도가 낮았다. 즉, 외집단원보다는 내집단원의 안녕에 더 많은 가치를 부여했다. 실험 1과 실험 2의 결과는 이타적 강화학습과제가 이타성을 측정하는 타당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Abstract

Altruism requires representing and valuing others' welfare. In the present study, we designed the Altruistic Learning task (AL task) to measure individual differences in valuing another person's welfare and examined its relationship with dispositional empathy (Experiment 1) as well as ingroup bias/parochial altruism (Experiment 2). In Experiment 1, participants performed the AL task in which they made choices between a pair of stimuli with different reward probabilities (30% vs. 70%) to reduce the amount of stress for themselves or their peer participants. The task consisted of three within-subject conditions (i.e. SELF, BOTH, and OTHER conditions) where different types of outcome (i.e. points for self, for both, and for other) were associated with three different pairs of stimuli. The amount of value that each participant attached to a given outcome can be measured with the frequency of choosing the higher reward probability option (HRP option).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who scored higher in personal distress and empathic concern measured by IRI (Davis, 1983) were more likely to choose the HRP option in the BOTH and OTHER conditions, indicating the role of emotional empathy iin the process of valuing other-regarding outcomes. In Experiment 2, we employed the minimal group paradigm (Tajfel, 1970) and compared choices for an ingroup member with those for an outgroup member in the AL task. We employed the same experimental design as the Experiment 1, except for having INGROUP and OUTGROUP conditions, instead of previous BOTH and OTHER conditions. The choice frequency for the HRP option was higher in the SELF and INGROUP conditions than the OUTGROUP condition, indicating ingroup bias of the participants in valuing welfare of others. Our findings demonstrated that the AL task can be a useful and valid measure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altruism.

이슬(한림대학교) ; 장승민(한림대학교) pp.491-506
초록보기
초록

두 변인의 인과관계에서 제3변인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조절효과를 갖는지, 혹은 두 효과를 모두 갖는지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3변인이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동시에 갖는 모형(조절매개변인 모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모형은 조절모형에 기반하여 제3변인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가 동시에 추정되기 때문에 제3변인과 상호작용항 사이의 비본질적 공선성이 매개효과 2차 경로의 표준오차를 증가시켜 조절효과에 비해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과소평가할 수 있다. 예측변인과 제3변인의 평균중심화를 통해 이 공선성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공선성의 감소 정도는 두 설명변인의 분포가 이변량 정규성을 따르는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본 연구는 조절매개변인 모형에서 제3변인의 왜도를 조작함으로써, 설명변인들의 분포가 이변량 정규성에서 벗어나는 정도에 따라 평균중심화된 제3변인과 상호작용항의 공선성과 매개효과의 2차 경로 회귀계수의 표준오차가 얼마나 증가하는지를 가상실험(simulation) 절차를 통해 확인하였다. 평균중심화에도 불구하고 제3변인의 왜도가 크면 우려할 만한 수준의 비본질적 공선성이 유발됨이 확인되었고 동시에 조절매개변인 모형의 매개효과 추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이 확인되었다. 또한 표본크기를 크게 하는 것이 이 부정적 영향을 줄인다는 것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조절매개변인 모형을 적용하여 동일한 제3변인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평가하고자 할 때 제3변인의 왜도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충분한 크기의 표본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 model with a third variable that has both mediation and moderation effects, i.e., the moderating mediator model,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third variable has mediation effect, moderation effect, or both in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Because this model is analyzed base on a moderation model, nonessential collinearity between the third variable and the interaction term may increase the standard error of estimation for the second path of the mediation effect and the increased standard error generates underestimation of statistical significance of mediation effect over and beyond the moderation effect of the third variable. Although researchers may use mean-centering on the predictor and the third variable to decrease the collinearity, degree of the decrease depends on the bivariate normality of the explanatory variables.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how much nonessential collinearity and standard error of the estimation for the second path of the mediation effect increased as the amount of deviation from bivariate normality of the explanatory variables increased by manipulating skewness of the third variable. We found that high skewness of the third variable produced substantial amount of nonessential collinearity even with mean-centered variables, which negatively influenced on the estimation of the mediation effect in the moderating mediator model. We also found that increase in sample size attenuated the negative effects. The results suggest that a large number of samples are required in applications of the moderating mediator model with a highly skewed third variable.

이태헌(University of Oklahoma) pp.507-533
초록보기
초록

통계 모형을 이용한 데이터 분석에서 적절한 결측치 처리가 최종적인 통계적 결론 도출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현재까지 다양한 결측치 처리 기법이 제안되어왔고, 그 중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기법으로서 완전정보최대우도(full information maximum likelihood), 다중대체(multiple imputation), 그리고 베이지안(Bayesian) 접근법이 있다. 이 중 완전정보최대우도법은 사회과학 통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서 많은 심리학 연구자들에게도 이미 알려져 있는 방법이나, 다른 두 방법, 즉 다중대체 및 베이지안 접근법은 아직은 많은 심리학 연구자들에게 생소한 방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 세 가지 방법을 공분산 구조모형의 맥락에서 소개하고 주요 특징을 비교함으로써 심리학 연구자들의 결측치 처리에 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공분산구조모형의 적용 과정은 다른 통계모형과 달리 자료와 모형간의 적합도 지수를 계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모형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최대우도법에서는 카이자승 통계량을 기준으로 다양한 적합도 지수가 파생되어 제안되었으며, 다중대체법은 D2와 D3 통계량이, 그리고 베이지안 접근법에서는 사후예측모형검증(posterior predictive model checking) 기법이 사용된다. 최대우도법의 카이자승 통계량은 다양한 맥락에서 독립적으로 연구된 결과가 있으나, 다중대체법 및 베이지안 접근법에서 제안된 방법은 공분산 구조모형의 맥락에서 그 성능이 평가된 적이 없으며 서로 비교된 적도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동일한 구조방정식모형의 자료-모형간 적합성 판단에 있어서 세 가지 다른 결측치 처리 방법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모의실험(simulation) 기법을 사용하여, 모집단에서 데이터가 종단적 측정 불변성을 지지하지 않는 경우(longitudinal measurement non-invariance)를 가정하고, 옳은 모형을 사용한 경우의 제 1 종 오류율과 부분측정불변성(partial measurement invariance)을 가정한 모형을 적용한 경우의 검정력을 최대우도, 다중대체, 그리고 베이지안 접근법 별로 추정/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결측치가 존재하는 데이터를 공분산 구조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결측치 처리 기법의 특성을 이해하고 최종 모형의 적합성을 판단하는데 적절한 지침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In practical applications of any statistical modeling, includ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virtually every data set contains missing values. It is a well known fact that improper handling of missing data can exert harmful impact on subsequent statistical inferences in a variety of ways to varying degrees. In the context of SEM, the full information maximum likelihood(FIML) has been arguably the most popular method for addressing missing data. Despite of being yet less widely known to majority of applied researchers as flexible alternatives to FIML, multiple imputation (MI) procedures and Bayesian approaches have recently begun to emerge as viable solutions among many applied researchers. An important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these methods to applied researchers in an accessible manner using SEM as the contex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ctually involves the process of proposing, estimating, and evaluating the researcher’s hypothesis that is believed to be underlying and purported in generating the observed data.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evaluate the overall goodness-of-fit of the posited model in any given application. FIML, MI and Bayesian approaches, respectively, yield the chi-square, , , and the posterior predictive modeling checking (PPMC) p-value as statistical tools for the assessment of data-model fit. Another important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performance of these model evaluation tools in the context of SEM. Further, relative performance of these data-model fit assessment tools is to be evaluated with respect to their Type I error rates and power. The performance of these assessment tools, except the chi-square statistics, has never been evaluated nor been compared within the context of SEM. The initial results provided in the present article is believed to not only enhance the knowledge base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assessment tools under missing data, but also provide an initial guideline for the proper use of these assessment tools in the real-world data analysis especially in the application of SEM with missing data.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