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이나빈(이화여자대학교) ; 안현의(이화여자대학교) pp.525-562 https://doi.org/10.22257/kjp.2016.12.35.4.52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재난피해자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이하 PTSD)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생태모델을 사용하여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그 효과크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2005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외에서 발간된 학술지논문 87편에 대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N=961). 변인군 별로 PTSD에 대한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자연재해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크기를 보인 변인군 중 상위 세 번째는 ‘가족 내 특성, 가족 및 사회적 관계 관련 스트레스 원, 이차 스트레스 원’ 순으로 나타났다. 변인 별 분석 결과, 자연재해의 경우, ‘가족 내 특성’ 중 ‘기능적 측면’이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인재에 있어서 변인군 별로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노출, 가족 및 사회적 관계 관련 스트레스 원, 이차 스트레스 원’ 순으로 나타났으며, 변인 별 분석 결과, ‘노출’ 중 ‘심리적 거리’, ‘개인 심리특성’ 중 ‘정서반응’이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자연재해와 인재에 있어서 각 변인 별로 재난 경과기간과 국가 경제력을 조절변인으로 한 메타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절효과가 유의했던 관련변인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재난 심리지원 과정에서 우선적으로 주목해야 할 지표들을 밝힘으로서 임상적으로는 재난피해자들의 심리적 회복을 돕는 개입을 계획하도록 돕고, 정책적으로는 재난 후 정신건강 문제에 보다 취약한 이들이 가진 요소들을 고려하여 국가 차원에서 재난심리지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근거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relevant factors of disaster victims’ posttraumatic stress response systematically using an ecological model, and to analyze their effect sizes comprehensively. To this end, this study is a meta-analysis of 87 studies published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between 2005 and 2015 on a topic of disaster victims’ posttraumatic stress response. First of all, factors associated with posttraumatic stress responses were derived and classified into sublevels of an ecological model: individualsystem, microsystem, and exosystem. Then, in order to investigate what predictors are more strongly related with the posttraumatic stress respons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result, according to results on effect sizes by factor separately for different types of disaster, posttraumatic stress responses for natural disasters were best related with the ‘functions within family’and posttraumatic stress responses for man-made disaster were better related with ‘psychological distance’ of ‘exposure level’and ‘emotional response’ of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t last, according to results on how effect sizes of factor groups vary according to time lapse since disaster and national economic power in each disaster type, we could find whether moderating effect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 and posttraumatic stress responses or not. By determining indicators to focus on in disaster psychological support process, at a clinical level, this study assisted with planning of interventions for disaster victims’ psychological recovery. At a policy level, this study provided basic materials for national-level disaster psychological support measures by considering factors retained by those who are vulnerable to mental health problems after disaster.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effective support measures and policies for assisting with recovery of disaster victims.

강수연(전북대학교) ; 김호영(전북대학교) ; 염유식(연세대학교) pp.563-587 https://doi.org/10.22257/kjp.2016.12.35.4.589
초록보기
초록

사회활동이 활발한 생활양식은 인지비축에 기여함으로써 신경인지장애와 인지노화에 보호적 역할을 할 것으로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는 농촌 노인의 다양한 사회활동 참여가 처리속도, 일화기억, 언어, 집행기능과 같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영향이 교육 수준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 교육수준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한국인의 사회적 삶, 건강한 노화에 대한 조사(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 KSHAP)” 연구에 참여한 K지역의 정상 노인 146명(평균연령= 72.33세, 표준편차=6.46)을 대상으로 사회활동 질문지 및 신경심리검사 배터리를 실시하였다. 먼저 연령, 교육, 사회활동, 인지수행 간의 관계를 상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각 인지 수행에 사회활동이 미치는 영향, 사회활동과 교육 수준의 상호작용 효과를 연령효과를 통제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인 인지기능 측정치인 MMSE-DS 총점에 대해 사회활동의 효과가 유의하였다. 마찬가지로 Stroop 색깔읽기, 범주유창성 검사와 단축형 K-BNT 점수에서도 사회활동의 효과가 유의하였다. 또한 EVLT 재인, SRFT 지연회상, Stroop 글자읽기, 그리고 TMT 시행 A에서 사회활동과 교육수준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년기 활발한 사회활동이 여러 인지기능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교육경험이 적은 노인들의 인지기능에 더 보호적인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성공적 노화를 위해 노인들의 사회활동 참여를 활성화시키는 제도적인 노력의 필요성을 함의한다.

Abstract

It has been suggested that socially active lifestyle might play a protective role against neurocognitive disorders and cognitive aging by contributing to cognitive reser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activity on cognitive functions in older adults, including processing speed, episodic memory, language and executive fun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edu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ctivity and cognitive functions. The social activities questionnaire and neuropsychological tests were conducted to 146 normal older adults(age M=72.33, SD=6.46) who participated in “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 KSHAP.” Based on this data the effect of social activity on the cognitive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education levels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f social activity on the total score of MMSE-DS, which is a measurement of overall cognitive function. Also the effects of social activity were significant in color reading of Stroop, Category Fluency, and K-BNT scores. The interaction effect of education level and social activity was also significant in recognition score of Elderly Verbal Learning Test, delayed recall score of Simple Rey Figure Test, word reading of Stroop, and part A of Modified Trail Making Test.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cial activity slows the age-associated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s, and serves as a protective factors on the cognition decline in old age, particularly in individuals with low education level and thus more vulnerability to cognitive impairment. Therefore institutional efforts should be made to facilitate the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of older adults for successful aging.

한규석(전남대학교) ; 나기회(전남대학교) pp.589-615 https://doi.org/10.22257/kjp.2016.09.35.4.589
초록보기
초록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2015년 자살률은 2014년에 비교하여 소폭 감소하였으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20대 남성의 자살률은 다른 연령대 남성 및 여성의 자살률 변화와 달리 여전히 상승하고 있다. 이처럼 한국 20대 남성의 경우 높은 자살률을 보이나 의무 복무중인 20대 병사의 자살률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입대 전에 자살관련행동을 보였으나 군 복무에 성공적으로 적응한 병사의 자살관련행동 변화 과정에 도움이 되는 요인들과 그 과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 접근을 적용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자살 관련 연구를 발전시키고, 20대 남성의 자살 감소와 관련한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대 성인 남성 가운데 6개월 이상 의무복무 중인 육군 병사로서, 입대 전에는 자살관련행동이 있었으나 현재는 안정된 군 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7명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된 면담록을 필사하여 Strauss와 Corbin (1998/2001)의 근거이론적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총 100개의 의미 개념과 30개의 하위 범주, 6개의 상위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핵심범주인 ‘갇혀있던 상처는 만남과 사회적 치유의 과정을 통해 회복함’이 발견되었다. 또한 패러다임 분석 결과 인과적 조건은 대인관계로 인한 문제 발생이었으며, 현상은 자살관련행동이었다. 맥락적 조건은 4가지, 중재적 조건은 3가지였으며,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통해 자살관련행동의 변화라는 결과가 나타났다. 과정 분석에서 고립적 생활, 직면하기, 태도 변화, 도움 느껴지기, 사회적 치유의 5단계 자살관련행동 변화 과정이 나타났다. 이 연구는 대한민국 20대 남성이자 의무 복무 중인 병사의 자살관련행동으로부터 회복 과정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Suicide rate of South Korea in 2015 has decreased slightly compared to 2014. However, it is still the highest among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nations. Further, suicide rate of males in their twenties is still increasing unlike other age group and female. Meanwhile, the soldiers in their twenties are showing relatively lower suicide rate compared to other groups of males. The current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reveal the factors and processes of recovery among the soldiers who committed suicide-related behaviors before joining the army.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study employing the grounded theoretical (GT) approach (Strauss & Corbin, 1998/2001) was carried out with the indepth interview protocol obtained from 7 soldiers who are in stable condition after several months of army life after the conscription. The GT analysis of open coding showed 100 units of meaningful concepts and 30 sub-categories and 6 higher categories. A model of recovery was construct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axial coding. Based on this model, we were able to extract the core category which is ‘locked up injury is recovered through meeting people and social treatment’. We found that causal factor of suicide related phenomena is interpersonal malaise. Army experience provides sustained interpersonal interactions with other people. When the soldiers find authenticity of caring mind from other people in such sustained relationships, they can get recovered. The process analysis discloses the soldiers go through solitary life, facing the problem, attitude change, helping felt, and social cure. This study shows that even restricted army life may serve to provide social cure to the people at risk of commiting suicide.

박홍석(성신여자대학교) ; 이정미(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pp.617-641 https://doi.org/10.22257/kjp.2016.12.35.4.61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한국판 PANAS(이현희, 김은정, 이민규, 2003)의 심리측정적 속성을 재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다 신뢰롭고 타당한 수정된 PANAS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한국판 PANAS(이현희 등, 2003)의 한계점을 검토하였고, 연구 2에서는 PANAS 원척도(Watson, Clark, & Tellegen, 1988)에 대한 번역・역번역을 거쳐 한국어로 된 새로운 PANAS(이하 ‘수정된 PANAS’)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Watson 등(1988)에 의해 개발된 PANAS와 동일하게 정적정서 10개 문항, 그리고 부적정서 10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2요인구조가 추출되었다. 또한 준거타당도 검증결과, 개별정서척도, 정서경험척도, 그리고 정신적 웰빙척도와 모두 양호한 수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구조적 적합도 검증을 위해 실시한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는 적합도지수가 양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적정서와 부적정서 간 오차상관을 고려한 구조모형에서는 양호한 수준의 적합도 지수가 나타나 본 연구를 통해 수정된 PANAS가 심리측정적으로 강건한 2요인구조로 구성되어 있음이 경험적으로 지지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re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PANAS). Twenty items originally developed by Watson, Clark, & Tellegen(1988) went through a translation and back-translation procedure to be adapted prior to data collection and were supported the scales’ validity by study 2. In study 1, Existed K-PANAS were evaluat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It revealed that Existed K-PANAS have several of critical fault. On the basis of result of study 1, In study 2, psychometric analyses revealed that the Revised K-PANAS has 2 correlated factors and same questions as like the original PANAS with 2 time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Revised K-PANAS is a reliable and valid measurement for Korean.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model fits of the 2 factor model of structure were not good. but Depending of the opnion which is affect cannot be independent with other affect, The model fits of the 2 factor permitting correlated error were moderately go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vised K-PANAS can be used for measuring affect in cross-national or cross-cultural study.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