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허효선(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권석만(서울대학교) pp.1-37 https://doi.org/10.22257/kjp.2022.3.41.1.1
초록보기
초록

해야 할 과제의 수행을 미루는 행위인 지연행동은 우리 사회에 만연해 있는 현상으로, 삶에서 다양한 기회를 놓치게 만들고 목표 성취에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정신건강에 상당히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지연행동은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연구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지 못했으며, 최근에서야 본격적으로 지연행동의 양상, 원인 및 치료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다만 지연행동의 구성개념에 대한 합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채 연구가 실시되면서 연구 결과들을 통합하는 데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지연행동 연구의 기초가 되는 지연행동의 정의, 분류, 그리고 측정방법이 타당한지 점검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연구자마다 지연행동을 어떻게 정의하고 유형화해왔는지 살펴보고, 각 관점의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지연행동 연구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측정도구들의 개발 과정과 심리측정적 특징을 정리하였으며, 각 도구의 문제점과 보완되어야 할 점에 대해 제언하였다.

Abstract

Procrastination, defined as delaying the task that needs to be completed until last minute, is a prevalent phenomenon in current society. It not only interferes with goal achievement but also makes people miss various opportunities in life and causes detrimental effect on mental health. However,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procrastination until early 1990s; investigation on various aspects, causes, and treatment of procrastination started only recently. Although numerous empirical studies have been accumulated since previous decades, there were limitations in integrating the results because the researches were conducted without sufficient agreement on the construct of procrastination. Therefore, the present study provided a comprehensive and critical review on the definition, classification, and measurement of procrastination, which are the key elements and foundation of procrastination research. We revisited various definitions and classifications of procrastination and discussed the limitation of each perspective. In addition, the development process, psychometric properties, and limitations of the measures of procrastination were reviewe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신희영(전북대학교) pp.39-61 https://doi.org/10.22257/kjp.2022.3.41.1.39
초록보기
초록

개인이 맺고 있는 사회적 관계와 속해 있는 사회적 연결망은 개인의 가치 태도와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역동적이고 지속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은 자신과 비슷한 성향 및 태도를 보이는 타인과 관계를 맺고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그동안 많은 연구들이 사회적 연결망과 개인의 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나, 대부분 친구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의 친구와 도움의 관계를 바탕으로 두 사회적 연결망의 구조, 개인 간 상호 작용, 사회적 영향의 특성을 살펴보고 차이를 검증하였다. 종단적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친구 연결망은 도움 연결망에 비해 밀도와 군집을 형성하려는 응집성이 높은데 반해 도움 연결망은 상대적으로 느슨하고 개방되어 있으나 중앙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슷한 성향의 사회적 타자와 관계를 맺으려는 특성은 친구 관계에서 보다 강하게 나타났으며, 사회적인 영향은 두 연결망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 결과는 사회적 관계가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어 사회적 연결망의 구조적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며, 가까운 친구뿐만 아니라 도움을 주고받는 관계를 포함한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함께 고려해야 함을 강조한다.

Abstract

Social relationships and social network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individuals’ beliefs and behaviors. Through ongoing and dynamic social interactions, individuals connect with similar others and socialize their attributes. Although extensive research has investigated the interdependent changes of social networks and individual attributes, most research has focused on networks of friends. The current study examined and compared the network structural features, social interaction, and social influence between early adolescents’ friend and help networks. Results with longitudinal social network analysis indicated that friend networks were characterized by high density and peer group clusters, while help networks were characterized as loose-knit networks with high centrality. Also, homophily selection was more salient in the friend networks, while the magnitude of social influence did not vary between the two networks. Results underscore that examining structural features of social networks as well as considering different social ties are important for advancing our understanding of social influence processes.

곽재석(한국침례신학대학교) ; 권선중(한국침례신학대학교) ; 김예나(한국침례신학대학교) pp.63-80 https://doi.org/10.22257/kjp.2022.3.41.1.6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외부의 위협적 정보로부터 자기개념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기-기만적 말하기를 포착할 수 있는 방어적 언어 척도(Defensive Verbal Scale; DVS)를 개발하고, 개발된 척도의 심리측정적 속성을 검토하였다. 먼저 방어적 언어를 조작적으로 정의한 뒤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자기개념에 위협적일 수 있는 상황인 (1) 분노나 고통스러운 경험이 떠오르는 상황, (2) 신념이나 양심에 벗어나는 일을 해야 하는 상황, (3) 기대했던 결과를 얻지 못한 상황, (4) 반복된 실수나 잘못에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상황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상황별로 DVS의 예비문항을 제작하였으며, 만14~24세 106명(남 53, 여 53)을 대상으로 예비 DVS의 심리측정적 속성을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 DVS의 요인구조는 단일차원으로 도출됐으며 내적 일치도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수렴 및 변별타당도에 근거해 유의하지 않은 상황과 문항이 삭제되고, 자기개념의 위협이 보편적이면서 스트레스로 인한 생리학적 변화와 관련된 분노나 고통스러운 경험이 떠오르는 상황, 반복된 실수나 잘못에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상황과 이에 따른 각 5개 문항이 최종 선정되었다. 확정된 DVS의 심리측정적 속성을 검토하고자 두 차례에 걸친 본조사를 통해 주성분분석, 문항분석, 내적합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DVS는 단일차원이면서 안정적인 신뢰도를 나타냈고, 대인민감성, 낮은 조절력, 부정정서, 합리화와는 유의한 정적상관, 긍정정서와 마음챙김과는 유의한 부적상관으로 나타나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the Defensive Verbal Scale (DVS) to measures one's self-deceptive speech that protects self-concept from threatening information and examined its psychometric properties. First, operational definition of Defensive Verbal was defined. Following the literature review, 4 situations where one's self-concept might be threatened were derived: (1) situation where anger or painful experience arise, (2) situation where working outside one's belief or conscience is required, (3) situation where results are different from one's expectation, (4) situation where repeated mistakes or faults are negatively evaluated and items were constructed for each situations. On a preliminary survey, responses of 106 people aged 14-24 (male 53 and female 53) were reviewed to examine psychometric properties. As a result, a single-dimensional structure was explored and a high internal consistency(Cronbach’s α) was found. Situations and items that are not significant were eliminated based on convergent and discriminative validity analysis. As a result, a situation in which the threat of self-concept is common and anger or painful experiences related to physiological changes caused by stress arise, and a situation where repeated mistakes or faults are negatively evaluated, and 5 items for respective situations were selected. To evaluat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confirmed DVS, two main surveys were done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tem analysis, internal consistency, test-retest reliability, convergent and discriminative validity were analyzed on each surveys. The result showed a single-dimensional structure and stable reliability. Whereas interpersonal sensitivity, low self-regulation, negative emotions and rationalization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positive emotions and mindfulnes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his result verified convergent and discriminative validity.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김경우(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 이지동(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p.81-102 https://doi.org/10.22257/kjp.2022.3.41.1.81
초록보기
초록

지속적인 산업재해 감소 노력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은 매일 약 5.2명의 근로자가 산업재해로 사망하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현재 산업재해는 정체상황을 겪고 있다. 특히, 그간 산업안전보건 전문가들이 초점을 맞추어 왔던 기계기구 또는 물리화학적 요인 뿐 아니라 최근에는 인간행동 역시 중요한 산업재해 발생 원인으로 고려되고 있다는 점은 심리학의 필요성과 그 역할에 대한 고민으로 이어진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산업안전보건 분야와 심리학의 현재를 확인하고, 내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심리학의 적용 가능성, 직업건강심리학을 중심으로 해외의 산업안전보건 분야와 심리학의 접목 사례 소개, 그리고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 분석을 통해 국내 산업현장의 심리사회적 위험에 대한 관심을 알아보았다.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 분석 결과, 사업장의 규모가 클수록 산업현장의 심리적 접근에 대한 요구는 높았다. 또한 다른 안전보건문제에 비해 심리사회적 위험의 해결은 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업환경/예방의학 의사, 간호사, 안전보건전문가 대비 심리학자의 전문인력 활용 현황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산업현장에 심리학자가 접근할 수 있는 법적 근거 마련, 기존 산업안전보건 전문가들과의 협업 방안, 한국심리학회와 심리학 관련 학과 차원의 노력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다. 직업건강심리학을 통해 산업안전보건 분야에 심리학이 주체가 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Abstract

Korea has a serious social problem in that about 5.2 workers die every day because of occupational accidents despite continuous efforts to reduce occupational accidents. And the occupational accidents are stagnant currently. In particular, the fact that not only machinery or physicochemical factors, which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OHS) experts have been focusing on, but also human behaviors are also being considered as important causes of occupational accidents in recent years leads to concerns about the necessity of psychology and its role.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OHS field and psychology field through literature. After then, the applicability of psychology to the domestic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the introduction for cases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OHP) in advanced foreign countries such as how to connect between OHS and psychology, and the interest of psychosocial risks in workplace through the analysis of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urvey (KOSH)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KOSH survey analysis, the larger the size, the higher the demand for psychological approaches at workplace and it was found that the solution of psychosocial risks was more difficult than other safety and health problems. It was also found that the utilization of professional manpower by psychologists compared to occupational medicine doctor, preventive medicine doctor, nurse, 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xperts was low. In this regard, preparing the relevant legal basis to involve psychologists in the workplace, the collaboration between existing OHS experts and psychologists, and the necessity of efforts at the level of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nd the department related to psychology in the universities were suggested. It is expected that psychology will find a way to become a subject i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field through OHP.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