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이정모(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pp.1-38
초록보기
초록

심리학의 주제인 ‘마음’ 개념은 일원론적 관점에서나 이원론적 관점에서나 데카르트의 존재론에 바탕을 두고 전개되어 왔다. 최근에 심리철학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마음’ 개념의 재구성은 뇌 속에 있는 마음이라는 종래의 마음 개념을 몸과 환경을 포함하는 확장된 마음으로 개념화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심리학 내외의 마음 개념 재구성의 흐름을 개관하고, 이에 추가하여 마음 개념 재구성에 인공물과 마음의 공진화 측면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입장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마음의 재구성의 시도가 심리 현상에 대한 접근에서, 그리고, 심리학의 외연인 심리학의 응용분야에서 어떤 가능성을 제공할 것인가, 그리고 미래의 심리학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Abstract

To examine and search for an alternative to the classical Cartesian conceptual foundations of the concept of 'mind' in psychology, the recent theoretical movements of 'extended mind' in philosophy of psychology, psychology, and other related fields were reviewed with a positive appraisal. After discussing that human mind has coevolved with soft and hard artifacts, and that mental phenomena emerge from an interacting nexus of brain, body, and world (including artifacts), it was proposed that the current psychological and cognitive science enterprise of reformulating the concept of 'mind' should take into account of the roles artifacts play in this nexus. It was also discussed that this kind of reformulation of the concept of mind has some far reaching implications for the future of psychology by extending the scopes and extent of psychology in the applied fields.

박민(충북대학교) ; 이승복(충북대학교) ; 김혜리(충북대학교) ; 윤효운(가천의과학대학교) pp.39-62
초록보기
초록

마음이론이란 자신과 타인이 목적, 바람, 믿음과 같은 마음상태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마음상태가 특정 행동을 하도록 만든다는 마음에 대한 지식을 가리킨다. 마음이론을 가지고 있는 인간은 사람의 행동을 그 사람의 마음과 관련하여 이해하는 마음읽기를 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마음읽기의 신경 기초를 밝혀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던 최근 연구들을 개관한다. 뇌 손상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우반구, 안와전두피질, 편도체 등의 뇌 영역 손상과 마음읽기 능력의 결함이 서로 관계가 있음을 시사했다. 정상인들을 대상으로 한 신경영상 연구들에서는 상측두구, 측두극, 및 내측 전전두피질과 같은 특정한 뇌 영역들과 마음이론의 관련성을 보여주었다. 뇌 영상과 뇌 손상 연구결과들은 마음읽기 능력이 광범위하게 분포된 신경체계에 기초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향후 기존 연구들과 비교하여 좀 더 다양한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마음이론의 신경 기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ory of mind (ToM) refers to the knowledge about the mind that we have mental states―such as intention, desire and belief―and our mental states cause our action is recognized as theory of mind. A person with theory of mind comes to read people’s actions in terms of their mental states, that is, mindreading. In this review, we summarize recent work that has illuminated the neural bases of mindreading. Lesion studies has suggested that damage to brain areas such as right hemisphere, orbitofrontal cortex, amygdala were correlated with ToM deficits. Neuroimaging studies of normal adults have consistently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particular brain regions for ToM, the superior temporal sulcus (STS), temporal pole (TP) and the medial prefrontal cortex (MPFC). Findings from brain imaging and lesion studies indicate that ToM ability is supported by a widely distributed neural system. The theoretical importance of ToM for everyday life requires further studies in more various populations.

이양(경상대학교 심리학과) ; 박형생(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고재홍(경남대학교 심리학과) ; 신건호(강남대학교 유아교육과) ; 이남표(한양대학교 교육학과) ; Robert Shaw(University of Connecticut) pp.63-82
초록보기
초록

마음의 문제를 실증적으로 접근하려는 심리학의 패러다임은 구조주의에서 시작하여 행동주의, 인지주의를 거쳐 신경주의에 이르렀다. 이들 패러다임은 각기 방법론을 개발하여 과학적 접근을 도모하였지만 현대 과학의 일반적 한계와 함께, 주체와 객체를 이분하는 구도를 벗어나지 못하였다. 구조주의와 인지주의는 주체 중심적이고 행동주의와 생리주의는 객체에 편파되었다. 이제 심리학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주체나 객체로의 편파를 극복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동양 고전에서 나오는 氣개념을 사용하면 주체나 객체 어느 한 쪽에만 속하지 않고 주체와 객체가 공유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氣개념으로 종래 심리학에서 정리한 지각단서, 변별문제, 인지적 지각, 생리적 기제 등을 재해석하려 하였고. 氣의 영향으로 인한 지각 변화에 대한 실험증거도 예시하였다. 氣를 가정하는 접근(이하 氣모델)은 전통적 형이상학을 극복하려는 포스트모더니즘 사조나 분석적 모델을 벗어나려는 통합적 모델에 부응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氣의 개념화는 활동을 개념화한 생태주의 접근과 상통하면서 이보다 더 진전되었다고 할 수 있다. 氣모델이 전통적 패러다임을 반성하면서 주체와 객체의 편파를 극복하려는 심리학의 새 방향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bstract

Psychology has continued to formulate and refine a variety of paradigms for providing solutions to the questions of mind. Cognitive and neurological approaches emerged as new techniques and technologies became available. Such paradigms have been necessary to develop the proper methodology for psychological investigation, even as these newly developed methods raise fresh questions concomitant to their answers. Surveyed critically, all of them could not be free from the traditional metaphysics founded in a dichotomy between subject and object, like the current scientific trends. So, it is required that the alternative paradigms of psychology be founded on differing assumptions on the relationship of mind, body and their environment. Given the subject-object dichotomy, constructivist and cognitive approaches tended towards the subjective extremes, but behaviorism and the neurological approaches were just biased to the objective ones. To overcome the dichotic bias, the third entity may be postulated that shares the subject and the object. The new attempt was observed in the ecological approach, Kih might be conceptualized in psychology as a new paradigm. According to the ancient Asian understanding of Kih, it could be defined not as belonging to the subject and the object, but as sharing both extremes. Conceptually, the Kih model provides a high level of refinement i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object, the relationship between stimulus and response, the coordination between perception and motion, and other physiological mechanisms. The current experiments showed that Kih affected perceptual changes. The Kih model will hopefully shed light on psychology.

윤정은(연세대학교) ; 송현주(연세대학교) pp.83-10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외현적 추론 과제(explicit reasoning task)를 사용하여 학령 전 아동들이 행위자(agent)의 선호도(preferences) 혹은 특질(trait)과 같은 성향(disposition)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지를 보았다. 본 연구의 자극으로는 기존 연구(Kuhlmeier & Wynn, 2003)에서 사용된 자극과 유사한 동영상이 사용되어, 스스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도형들이 서로 돕거나 방해하는 장면들이 아동들에게 제시되었다. 동영상을 보고 난 후 아동들에게 두 종류의 과제가 실시되었다. 첫째, 이후의 새로운 상황에서 주인공이 누구에게 다가갈 것인지를 묻는 선호 행동 예측 과제를 실시하였다. 둘째, 주인공을 도와주는 행위자와 방해하는 행위자 중에서 누가 더 착한지(혹은 나쁜지) 묻는 특질 추론 과제를 실시하여 도덕성에 가까운 추상적인 특질까지도 추론할 수 있는지를 보고자 했다. 실험 1, 2의 결과 선호 행동 예측 과제는 만 2.5세 이상의 아동이, 특질 추론 과제는 만 3.5세 이상의 아동이 성공함을 보였다. 실험 3에서는 아동들이 행동 의도에 근거하여 행위자의 성향을 판단할 수 있는지 보기 위해, 도와주려고 한 행동이 의도했던 결과를 이끌어내지 못하는 상황을 보여주면서 선호 행동 예측 과제와 특질 추론 과제를 실시한 결과, 만 3.5세 아동들이 행동의 의도에 근거해서 행위자의 성향을 추론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나타난 영아기 심리 추론 능력들과 비교되었고, 타 행위자의 성향에 대한 아동기 지식의 본질이 무엇인지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resent research examined whether preschoolers can infer others’ dispositions in explicit reasoning tasks. Children watched two types of events in which a circle, a triangle and a square interacted. In one, either the triangle or square helped the circle climb a hill. In the other, the other agent hindered the circle from climbing the hill. After watching the events, children were asked (1) to predict which agent the circle would approach in a novel context and (2) to infer which agent was nice or bad. The children had to provide either verbal or gestural responses to the ques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2.5-year-olds but not younger children could predict the circle’s preference-based action. When inferring the agents’ traits, only 3.5-year-olds succeeded in the task; They did so even when the helping agent’s action did not lead to the achievement of the circle’s goal.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 distinction between the implicit and explicit levels of knowledge of others’ dispositions.

함진선(중앙대학교) ; 이장한(중앙대학교) pp.101-11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연애관계에서 나타나는 질투와 질투에 의해 유발되는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성별과 애착유형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남성은 자기 짝의 성적 부정에 대해 질투를 더 많이 느끼는 반면, 여성은 정서적 부정에 질투를 더 많이 경험한다고 가정한 진화론적 질투기제(Evolved Jealousy Mechanism)를 반복검증하고, 성차 내 질투의 조절변인으로 애착유형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대학생 189명(남자 82명, 여자 1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원변량분석으로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진화론적 관점의 질투기제 가설이 반복 검증되었으며, 질투와 질투 스트레스에 미치는 성별과 애착유형의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나, 이런 효과는 남성에게서만 지지되었다. 즉, 불안 애착유형의 남성이 안정 애착 남성보다 연인의 정서적 부정에 대한 질투와 질투 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았다. 이를 통해 애착유형이 질투와 질투 스트레스의 성차를 조절하는 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a interaction effect between attachment styles and sex differences on jealousy and evoked distress by jealousy in romantic relationship. In this study, we replicated the Evolved Jealousy Mechanism (EJM) that men will be more upset and distressed by partner's sexual infidelity, whereas women will be more upset and distressed by emotional infidelity, and then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attachment styles on within-sex differences. To test this purpose, 189 university students (82 males and 107 females)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and two-way ANOVAs were used. As a result, we replicated the EJM and demonstrate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attachment styles and sex differences on jealousy and evoked distress by jealousy, but only among men. Consequently, men with an anxious attachment style were more jealous and distressed by partner's emotional infidelity than those with secure style. The most important finding in the present study was that attachment styles would be moderators of within-sex differences in jealousy and evoked distress by jealousy.

장유경(한솔교육문화연구원) ; 이순묵(성균관대학교) ; 최유리(한솔교육문화연구원) pp.115-13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언어처리 과정에서 나타나는 성별의 영향을 발달초기 어휘습득의 과정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300여명의 18개월 영아와 그 어머니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18, 24, 30개월에 어휘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각 영아가 가진 어휘의 수를 종단적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모든 월령에서 여아가 남아에 비해 더 많은 어휘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여아의 우세는 모든 종류의 어휘에서 나타났으며 어휘의 종류와 월령의 상호작용이 있어서 서술어, 문법어, 시간어에서는 특히 18개월에 비해 24개월에 남녀의 차이가 늘어나고 30개월까지 그 차이가 유지되었다. 셋째, 회귀분석의 결과로 볼 때, 남녀 모두 명사가 다음 시기의 모든 어휘종류들에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나 남아의 경우는 명사와 함께 일상생활어들의 영향이 24개월까지 지속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effect of infants' gender on early vocabulary acquisition. More than 290 mothers of toddlers completed a vocabulary checklist(Pae, 2002) at 18, 24 , and 30 months. The results showed that always girls had more vocabularies from 18 to 30 months. Secondly, the gender differences became bigger especially from 24 months in predicates, closed class items, and words for times. Finally, for both boys and girls, nouns were the most influencing word category for all the word categories in the next stage. However, vocabularies for routines had a lasting influence until 24 months only for boys. The results suggest that infants' gender might be a very important variable to consider in language research.

현경자(우리사회복지연구소) pp.137-160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기혼자의 자기해석 통합유형과 결혼만족 및 결혼안정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자기 자신의 독립성과 상호의존성을 뚜렷이 인식하고 실천하는 기혼자들이 결혼생활에서 만족도가 높으며, 그로 인해 결혼생활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것이라는 결혼만족 매개가설을 검증하였다. 서울에 거주하는 만 25세 이상 75세 미만의 기혼자 489명이 자기기입식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예측대로, 자기해석의 독립성과 상호의존성이 모두 높은 유형이 자기해석 미분화유형과 독립적 자기해석이 우세한 유형보다 결혼만족도와 결혼안정성을 높게 보고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관련 인구사회학적 변수들을 통제한 후 자기해석 통합유형과 결혼안정의 관계 및 결혼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독립적 자기해석과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이 모두 높은 유형이 독립적 자기해석이 우세한 유형과 자기해석 미분화 유형보다 결혼을 안정적으로 지각하였고 그러한 효과는 결혼만족을 투입했을 때 거의 대부분 사라짐을 보여, 자기해석 통합유형이 결혼안정에 미치는 효과가 결혼만족에 의해 매개되리라는 가설을 지지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whether marital satisfaction mediates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self-construal integration on marital stability. It hypothesized that married people with both high independent and high interdependent self-construals would experience higher marital satisfaction that, in turn, contributes to marital stability. Data were drawn from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tudy in which 489 married people (aged 25-75) residing in Seoul participated. As expected, those who held both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self-contruals highly showed both higher marital satisfaction and higher marital stability than those with high independent and low interdependent self-construals and those with both low independent and low interdependent self-construals. Moreover, after controlling for gender, age, level of education, health, and perceived financial difficult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effects of these different types of self-construal integration on marital stability were almost completely mediated by marital satisfaction. The data fully supported the hypothesis, and suggest that holding both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s highly would contribute to marital outcome in a positive manner.

손은정(계명대학교) ; M. V. Ellis(SUNY at Albany) ; 유성경(이화여자대학교) pp.161-182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149 US and 168 South Korea supervisees’ perceptions of the clinical supervision relationship to find out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wo countries. Specifically, the relations among the three elements of the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emotional bond, agreement on goals, and agreement on tasks) with role difficulties and supervision satisfaction were examined. A few differences in clinical supervision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three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elements and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were stronger for US than South Korea supervisees. The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role difficulties and supervision satisfaction in both countries. Implications for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김현정(천주의 성요한병원) ; 손정락(전북대학교) pp.183-2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불안 및 우울 사이를 스트레스와 반복사고가 순차적으로 매개하는지 이론적 모형검증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1은 대학생 525명을 대상으로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 완벽성향 척도,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 척도,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 펜실베니아 걱정 질문지, 걱정영역 질문지, 사건영향척도, 반추적 반응양식 척도, Beck 불안 척도, Beck 우울 척도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스트레스와 반복사고는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불안 및 우울의 관계를 매개하였고, 제안모델의 적합도는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스트레스를 더 많이 경험할 뿐만 아니라 반복사고를 더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불안과 우울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는 연구 1의 매개모형이 대학생 207명을 대상으로 한 자료에 교차타당화되는지를 알아보았는데, 연구 1의 모형이 반복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스트레스와 반복사고를 매개로 불안과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In the present study it was tested that stress and repetitive thought may mediate sequentially among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xiety, and depression. In Study 1, five hundred twenty five undergraduate students completed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the Multide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the Almost Perfect Scale-Revised, the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the Daily Hassles Scale, the 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 the Worry Domains Questionnaire, the Impact of Event Scale, the Ruminative Response Scale, the Beck Anxiety Inventory, and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showed that stress and repetitive thought mediate the relationship among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xiety, and depression. The fitness of the proposed model was appropriate. In other words, the participants with higher levels of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experienced higher levels of stress and repetitive thought. Consequently, anxiety and depression were induced. Study 2 examined whether the mediation model of Study 1 might be cross-validated with data from 207 undergraduate students. The model of Study 1 was replicated.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s influence on anxiety and depression through the mediation of stress and repetitive thought.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신미연(마음과마음 식이장애 클리닉) ; 현명호(중앙대학교) pp.207-22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불안 수준이 높은 사람의 인지적 특징 중 하나인 선택적 주의 편향이 시간에 따라 어떠한 양상으로 변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불안수준이 높고 낮은 사람을 대상으로 정서적 단어에 대한 주의 편향의 시간과정을 연구하기 위해 수정된 탐침과제를 사용하였다. 단어 쌍은 불안의 주의 편향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500ms와 1250ms 간격을 두고 제시하였다. 그 결과, 사회 불안이 높은 사람이 사회 위협단어에 경계를 나타내는 주의편향이 나타나고 이어서 모든 정서적 단어에 회피를 보였다. 반면에, 사회 불안이 낮은 사람은 주의 편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면, 불안 수준이 높은 사람은 자신의 불안과 관계있는 특정한 위협자극에 대하여 선택적인 주의편향을 보인다. 따라서 그들은 일반인과 동일한 상황에 노출되더라도 일반인보다 더 많은 위협자극을 더 빨리 탐지하고 의식하며, 이로 인해 그들의 불안 및 각성 수준이 더 높아짐을 시사한다. 더욱이 이러한 선택적 편향은 단어제시시간이 길 때 회피 반응을 나타내었다. 회피반응은 위협자극으로부터 개인을 안전하게 해 주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불안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회피반응은 위협적인 자극뿐만 아니라 위협적이지 않은 자극까지도 회피하게 되는 부적응적 전략을 사용함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time-course of attentional biases(the one of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high-anxious individuals) in highly anxious individuals. A modified version of the probe detection task was used to investigate the time course of attentional bias for emotional words in high and low socially anxious individuals. Word pairs were presented two exposure durations, 500 and 1250msec,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attentional bias in anxiety. There was evidence of an attentional bias favouring initial vigilance towards social threat words and subsequent avoidance of all emotional words in high socially anxious individuals. In contrast, low socially anxious individuals did not exhibit an attentional preference. Finally, individuals with high anxiety show an attentional bias for their anxiety relevant to threat stimuli(selectively attend to threatening material that is specifically relevant to their anxiety.). If they are exposed with people at the same situation, they will show more detection and awareness than the people. It means that their arousal is elevated. Besides, these attentional bias presents avoidance response in long time. The Avoidance response increases anxiety rather than safety individual from threat stimuli.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ocially anxious individuals are likely to use maladjustive strategies which lead to avoidance not only of threat stimuli but also of non-threat stimuli.

김환(서울대학교) ; 이훈진(서울대학교) pp.225-243
초록보기
초록

경험적 회피 개념의 이론적 정교화 및 타당화를 위해 일련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연구1에서는 대학생 905명에게 정서이해 및 표현에 의한 대처 척도를 실시해 사적 사건의 회피 유형 중 행동적 회피, 감추기 및 거리두기를 구분하였다. 그리고 이 유형들과 우울, 편집 성향, 자존감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세가지 회피 유형 중 행동적 회피가 부적응 지표와 가장 상관이 높았다. 연구2에서는 대학생 169명을 대상으로, 연구 1에서 구분된 세 가지 회피 유형 중 어느 것이 경험적 회피 개념과 가장 관련성이 높은지를 알아보았다. 경험적 회피는 행동적 회피와 관련성이 높았지만 감추기 및 거리두기와는 관련성이 높지 않았다. 연구2에서의 감추기 및 거리두기는 한 시점에서 측정된 것이었기 때문에, 연구3에서는 대학생 42명이 3주간 작성한 정서일기를 통해 반복적인 감추기 및 거리두기 시도를 측정하고, 이것과 경험적 회피와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반복적인 거리두기 시도는 경험적 회피와 관련이 있었으나, 반복적인 감추기 시도는 경험적 회피와 관련이 없었다.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가 논의되었고, 후속 연구가 제안되었다.

Abstract

Three studies were performed to elaborate and validate the concept of experiential avoidance(EA). In the study 1, we classified three types of avoidant responses - concealing, distancing and behavioral avoidance, and measured depression, paranoid traits, and self-esteem in a sample of 905 university students. Among three types of avoidant responses, behavioral avoidance had highest correlation with maladjustment indexes. In study 2 using 169 university student sample, we tested which type of avoidance is most related with experiential avoidance(EA). Experiential avoidance showed correlation with behavioral avoidance, but not with concealing or distancing. Study 3 was scheduled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study 2, which is about single time measuring of concealing and distancing score. Study 3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tial avoidance and repetitive use of concealing and distancing. Through mood diary written by 42 university students, we measured the repetitiveness. The finding of study 3 was that there i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xperiential avoidance and repetitive distancing, but not between experiential avoidance and repetitive concealing.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as discussed, and follow-up study suggested.

김진영(고려대학교) ; 고영건(고려대학교) pp.245-25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과 주관적 정서(긍정적 및 부정적 정서)의 관계에서의 메타-기분의 중재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대학생 191명(남자 76명, 여자 115명)에게 주관적 행복 척도, BDI(Beck Depression Index), 한국판 TMMS(Trait Meta-Mood Scale), 한 질문지, 사건영향 척도(Impact of Event Scale; IES)를 순서대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과 주관적 정서(우울과 행복)의 관계에서 TMMS의 하위 척도들 중 명료성 하위 척도에서의 상․하 수준은 유의미한 중재 효과를 보였다. 하지만 TMMS의 주의집중 및 회복 하위 척도에서의 상․하 수준은 유의미한 중재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어떤 사람이 단순히 과거에 한을 체험했다고 해서 그 사람이 일반 사람들보다 더 심한 우울감 속에서 생활하거나 또 누군가가 단순히 과거에 한을 유발하는 생활사건을 체험하지 않았다고 해서 한을 체험한 사람들보다 더 행복한 삶을 사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다. 정서적 명료성 수준과 한의 체험이 지니는 심리적 의미 간 관계성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or effects of trait meta-mood on the relation between Han and subjective emotion (positive and negative). The Subjective Happiness Scale, the BDI (Beck Depression Index), the TMMS (Trait Meta-Mood Scale), the Han Questionnaire and the IES (Impact of Event Scale) were administerd to 191 university students (male 76, female 115).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larity among the TMMS subscales exerted significant moderator effects on the relation between Han and subjective emotion (depression and happin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re experience of Han does not necessarily cause individuals to be more depressive than others who do not have Han experience. In the similar context, the absence of Han-provoking life events does not guarantee a life happier than that of those who have experienced Han. However, no significant moderator effect was detected for the Attention and the Repai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emotional clarity and the psychological significance of Han experience was discussed.

김경미(연세대학교) ; 이도준(연세대학교) ; 양은주(고려대학교) ; 이기학(연세대학교) pp.261-277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individuals with a repressive coping style would differ in their ability to strategically control unwanted memories from nonrepressors within the think/no-think (TNT) paradigm. Results revealed that unlike repressors who exhibited successful memory inhibition regardless of the valence of to-be-suppressed materials, nonrepressors were less successful at suppressing negative memories. Most importantly, however, these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to be solely due to the effect of trait anxiety rather than interaction of trait anxiety and defensiveness (i.e., repressive coping per se). Individuals with low trait anxiety were better at suppressing negative memories than individuals with high trait anxiety. There also existed individual differences in self-initiated thought control strategies in that individuals with high trait anxiety reported more use of negative avoidance strategy than their counterparts and this strateg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ppression success. Suggesting it is trait anxiety that matters when strategically control negative memories, the present study provides insight for understanding the voluntary control mechanism of unwanted memories in repressive and nonrepressive copers.

한민(고려대학교) ; 한성열(고려대학교) pp.279-3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국사람들의 신명을 이론적으로 개념화하고 체계적으로 구조화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신명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바탕으로 실제로 신명을 경험하는 일반인들의 자료를 개방형 설문 및 반구조화 면접의 방식으로 수집하고 근거이론의 절차에 의해 분석함으로써, 신명이 경험되는 과정과 신명경험의 구조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신명은 전환적 사건의 발생에 의해 자신의 자기가치감이 회복되거나 타인들에게 인정받았을 때, ‘우리’라고 생각할 수 있는 사람들과 어떠한 일을 함께 경험하면서 우리의식을 확인할 때, 그리고 자신의 가치와 관련된 것들을 표현하는 과정에서 경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명을 경험하면 사람들은, 즐거움, 유쾌함 같은 1차적 쾌감과 함께, 자신의 자기가치감과 연계된 2차적 쾌감을 느끼며, 그러한 감정을 주위에 있는 사람들과 함께 경험하고, 그 사실에서 다시 쾌감을 느끼게 된다. 사람들은 그러한 감정들을 표출하기 위해 분출 및 몰입행동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신명의 행동들은 신명의 감정들을 강화하며, 강화된 감정은 다시 신명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감정과 행동의 피드백을 통해 신명이 경험되고, 이후의 긍정적인 결과를 낳게 되는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enerate a substantial theory about Shinmyeong experience. This study was executed by applying the grounded theory based on Strauss and Corbin(1998). Open-end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220 participants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7 participants. The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hree types of Shinmyeong experiences assumed by theoretical study were demonstrated and their categories were extracted by open coding. The structures of their categories were concretized by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he causal condition was 'Recognition of self(or group) worth', the contextual condition was 'Negative perception of past self(or group)', the phenomena were 'Primary pleasure' and ’secondary pleasure', the intervening condition was ’sharing pleasure(co-experience)', the action/interaction was 'Radiating the self(or gourp) worth', and the consequence was ’sense of freedom', 'Acquirement of positive feelings' and so on. According to the results, Shinmyeong experience consists of three phases; pleasure from recognition(or expression) of one’s self-worth, sharing the feeling with other people, and radiating negative feeling through expressive behaviors.

김용주(육군사관학교) ; 신응섭(육군사관학교) ; 고재원(육군사관학교) pp.307-32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중독과 관련된 구체적 행동의 가능성이 적은 병영생활을 고려하여 병사의 인터넷 중독 경향성을 측정하고, 분류기준을 제시할 수 있는 진단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후방 근무 병사 454명을 대상으로 기초조사를 실시하고, 예비조사는 900명을 대상으로, 그리고 본 조사는 19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제작된 ‘병 인터넷 중독 경향성 진단도구'는 총 61개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는 입대 전 경험에 기초한 중독경험의 과거력 판단이다. 이를 위해 이순묵 등(2005)이 개발한 성인용 인터넷 중독 진단척도(A척도)를 활용하되 시제를 과거형으로 전환한 20문항이 선정되었다. 둘째는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취약 특성으로 외로움, 자기효능감, 통제력을 측정하는 33문항이 선정되었다. 셋째는 인터넷 중독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대체 행동 및 욕구를 진단하는 8문항이 선정되었다. 진단 결과는 중독 경향성 수준에 따라 위험군, 잠재군, 일반군으로 분류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진단도구는 과거 인터넷 중독에 빠진 경험이 있었던 병사가 현재 병영생활에서 어떠한 상태에 있는가를 진단해주며, 이를 통하여 인터넷 중독으로 인한 각종 악성사고 예방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endencies of internet addiction in privates class of Korean armed forces and to develop a measuring scale of it. For these purposes, first, we surveyed privates (N=454) who were sampled from a couple of Army infantry divisions to develop sample items of the internet addition scale. Second, pilot survey(N=900) was conducted to explore factor structure of the collected 134 items through the first survey. Finally, main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1,905 privates of Korean Army, Navy, and Air Force. Final scale, i.e., 'Diagnostic Scale of Internet Addition Tendencies in Military Private Class', has sixty-one items and is consisted with three sections. The first section has twenty items which were mostly adopted from Lee et al.'s (2005) scale and measures personal history of network addition before being enlisted. The second part has thirty-three items and measures psychological vulnerability of a person to internet addiction such as loneliness,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The final section which consists of eight items measures substitutive behaviors and desires which related to internet addiction. Based on self-inventory scores on the scale, we classified privates into three groups: risky, latent, and normal groups. The scale will be useful in diagnosing current state of military privates who had been addicted to internet usage and contribute to prevent malignant accidents which may be caused by privates who were addicted to internet usage.

김완석(아주대학교) ; 유연재(아주대학교) ; 박은아(대구대학교) pp.329-349
초록보기
초록

여성주의 이론을 토대로 개발된 McKinley와 Hyde(1996)의 객체화 신체의식(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척도를 토대로 한국 대학생에게 성별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한국판 객체화 신체의식 척도(K-OBCS)를 개발하고자 2개의 연구를 했다(N=431). 한국판 척도의 요인구조는 미국판과 마찬가지로 3개의 하위요인-감시성, 수치심, 통제신념-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는 통제신념을 제외한 두 요인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시성과 수치심 하위척도의 신뢰도는 받아들일 만한 수준이었고, 이 척도들은 신체존중감이나 자기존중감, 주관적 안녕감과 부적인 상관이 있었다. 또한 신체관련 행동의도에 대한 예언력도 있었다. 하지만 통제신념 하위척도는 신뢰도가 매우 낮고, 감시성과 수치심과의 상관도 유의하지 않았으며 수렴변별타당도와 준거타당도도 매우 낮았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K-OBCS의 감시성과 수치심 척도는 사회적 신체표준의 내면화 수준을 측정하는 도구로 충분한 심리측정학적 특성을 가진 척도로 결론지었고, 신체통제신념은 일종의 효능감으로서 향후 신체이미지 연구에 유용한 개념임을 논의하였다. 객체화 신체의식의 성별차이를 검토하였고, 연구결과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의 주제에 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s(McKinley and Hyde, 1996) which can be adapted to Korean college students regardless of gender, two studies were performed. Total number of respondents were 431(125 female college students in study 1 and 158 female and 148 male students in study 2). The 3 factor structure of the Korean version(K-OBCS) - surveillance, shame, and control belief - was the same as the original version. But, further confirmatory fator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2 factor structure of surveillance and shame was better than the 3 factor structure in which control belief was included. The level of reliability coefficients of Surveillance scale and Shame scale were acceptable, and those two scales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body-esteem, self-e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They had significant predictive power to the intentions of body-related consumptions such as diet, cosmetic surgery, and exercise as well. But, Control-Belief scale failed to show acceptable levels of reliabilities, discriminant-convergent validity,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Authors suggested that the Surveillance and Body Shame sub-scales in K-OBCS had enough psychometric qualities. Regarding the Control Belief scale, authors interpreted the concept as a kind of self-efficacy and suggested that the scale could be a useful tool for body image studies if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cale could be improved.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gender differences in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