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장재윤(서강대학교) ; 김소정(서강대학교) ; 서희영(서강대학교) pp.87-118 https://doi.org/10.22257/kjp.2023.6.42.2.87
초록보기
초록

창의성의 필요성과 이해에 대한 강조에도 불구하고, 널리 알려져 있지만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창의성에 대한 오해는 창의성 발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6개국의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창의성 신화를 믿는 정도를 파악하고 개인차 변인과의 관계를 살펴본 Benedek 등(2021)을 기반으로, 국내 참여자(N = 668)의 창의성 신화를 믿는 정도를 조사하여 선행 연구의 결과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창의성과 관련이 있는 개인차 변인들이 창의성 신화에 대한 믿음과 갖는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선행 연구를 재현(조사 1) 및 확장(조사 2)하고자 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창의성 신화에 대한 보편적 믿음은 국가에 상관없는 일반적인 현상이라고 한 선행 연구 결과를 재확인하였지만, 문화 간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결과도 있었다. 신화를 믿는 정도와 개인차 변인 간의 관계에서 권위주의, 대중적 지식 원천에의 의존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신경증과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학습 목표지향성은 유의한 부적 상관이, 수행회피 목표지향성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효과적인 창의성 교육 및 발현을 돕는 바람직한 방향 설정을 위해 개인의 창의성에 대한 암묵적 이론의 파악 및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창의성의 이해가 우리 사회에 보다 강화되고 공유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Abstract

Despite the emphasis on the need for, and the understanding of, creativity, creativity myths widely known but devoid of scientific evidence are still hindering the realization of creativity. This study examined the prevalence of creativity myths among South Korean participants(N = 668) via two online surveys measuring different variables and compared the results to those of previous study(Benedek et al., 2021) which revealed the pervasive unfounded assumptions and biases concerning creativity across 6 countrie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whether individual differences(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urce of knowledge, authoritarianism, perception of self-creativity, openness to experience, and goal orientations) presumably relevant to creativity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belief in creativity myths to replicate (Survey 1) and expand (Survey 2) the findings of the previous study. Results showed that South Korean participants also had stronger beliefs in creativity myths in general (53%). While this confirms previous research suggesting that universal belief in creativity myths is a cross-national phenomenon, it also revealed clear cross-cultural differences between Western countries and South Korea. Furthermore, the belief in creativity myths was related to age, reliance on undependable sources, authoritarianism, and learning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s. Thes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investigation of implicit theories about individual creativity and the understanding of creativity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need to be strengthened and shared among children and adults in our society for effective creativity education and releasing the creative potentials of our society.

주영신(성균관대학교) ; 장승민(성균관대학교) pp.119-140 https://doi.org/10.22257/kjp.2023.6.42.2.119
초록보기
초록

요인모형을 이용한 측정동일성 분석에는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이 주로 사용되어왔다. 전통적인 관점에서는 측정동일성이 성립한다고 결론을 내리기 위해 비교 집단이나 시점 사이에 요인구조와 측정모수가 차이가 없이 완전히 동일하다는 근거가 필요하다. 그러나 집단의 수가 많은 경우 이와 같은 조건은 지나치게 엄격하거나 비현실적이 되기도 한다. 근사 측정동일성(approximate measurement invariance)은 비교 집단의 개수가 많을 때 이들 사이의 측정동일성을 현실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제안된 완화된 형태의 측정동일성을 의미한다. 근사 측정동일성을 분석하는 주요 절차인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의 정렬법은 주로 연속형 측정변수에 대한 요인모형을 다수 국가 간에 비교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반면 연령에 따른 측정동일성의 분석은 주로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둘 또는 셋으로 구분된 연령 집단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연령에 따른 측정동일성의 분석에도 연령 집단을 세분한 다수의 연령 집단에 대해 근사측정동일성을 적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근사 측정동일성의 개념과 필요성, 분석 모형에 대해 논의하고 정렬법을 이용하여 심리검사의 연령에 따른 근사 측정동일성을 분석하는 방법과 절차를 예시하였다. 특히 범주형 자료에 대한 측정동일성 및 근사 측정동일성 분석에서의 개념적 유사점과 차이점을 논의하였으며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과 정렬법을 이용하여 인지기능 평가를 위한 검사인 K-MMSE 검사점수의 26개 연령 집단에 대한 측정동일성 및 근사 측정동일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전통적인 측정동일성과 비교하여 근사 측정동일성 분석의 유용성을 강조하고 범주형 자료의 근사 측정동일성 분석과 관련된 논의사항들을 정리하였다.

Abstract

Multiple-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has been widely used to analyze measurement equivalence using factor models. Traditionally, in order to conclude that measurement equivalence exists, it is necessary to have evidence that the factor structure and measurement parameters, such as factor loadings are completely identical, with no differences across target groups or measurement occasions. However, when the number of groups is large, these conditions can become overly stringent or impractical. Approximate measurement invariance is a relaxed form of measurement invariance and proposed to practically examine measurement invariance between many groups. Alignment is a widely used procedure for analyzing approximate measurement invariance and has been used to compare measurement models with continuous indicator between many countries. On the other hand, the analysis of measurement invariance of test scores across ages reflecting developmental changes in psychological attributes has been mainly conducted by comparing two or three small age groups using multiple-group CFA. However, in the analysis of measurement invariance across ages, approximate measurement invariance can be applied to ages that are divided into a large number of age groups. The current study discusses the idea, necessity, and analytical model of approximate measurement invariance and illustrates the analysis of the approximate measurement invariance of psychological tests over time using the alignment method. In particular, we discussed the conceptu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measurement invariance and approximate measurement invariance for factor models with categorical data, and introduced the analytical process of measurement invariance and approximate measurement invariance for 26 age groups of K-MMSE test scores, a test for assessing cognitive function, using multiple-group CFA and the alignment metho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implications of approximate measurement invariance versus traditional measurement invariance were explained, and discussions related to analysis of approximate measurement invariance with categorical data were summarized.

윤석인(경희대학교) ; 박희영(경희대학교) pp.141-177 https://doi.org/10.22257/kjp.2023.6.42.2.14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마음챙김명상과 자비명상이 일반 성인의 친사회성 및 반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2022년 10월 3일까지의 국내 학술지 논문 및 학위논문 38편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세 집단 연구 등을 고려했을 때 마음챙김명상 프로그램 연구는 24편이었으며, 자비명상 프로그램 연구는 19편이었다. 마음챙김명상 연구와 자비명상 연구 각각에 대해 연구의 질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친사회성 및 반사회성 각각에 대한 명상별 효과크기를 종합하였다. 조절변인으로는 출판 여부, 통제집단 유형, 준임상군 여부, 연령, 집단 성비, 총 개입시간(분), 총 개입회기(회), 총 개입기간(주)을 설정하였다. 메타분석 결과, 마음챙김명상은 반사회성 개선에 큰 효과크기를 보였지만, g = 0.876, 친사회성에 대해서는 유의한 효과크기를 보이지 않았다, g = 0.407. 반면, 자비명상은 친사회성 증진에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보였지만, g = 0.699, 반사회성에 대해서는 유의한 효과크기를 보이지 않았다, g = 0.163. 본 연구에서는 친사회성 및 반사회성에 대한 명상 유형별 차별적 효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조절효과분석 결과, 모든 경우에서 의미 있는 조절변인을 찾을 수 없었다. 추가적으로 친사회성의 하위범주(예: 공감, 연결성, 용서, 자비심) 각각에 대한 명상 유형별 효과크기를 탐색적으로 종합하였다. 그 결과 자비명상은 친사회성의 모든 하위범주 개선에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보였지만, gs = 0.534∼0.795, 마음챙김명상은 자비심 개선에만 작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gs = -0.026∼0.473. 반사회성에 대한 마음챙김명상 연구는 출판 편향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나머지 경우에서는 출판 편향 위험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연구 결과를 해석하고 시사점 및 한계점을 다루었다.

Abstract

In this study,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mindfulness meditation (MM) and loving-kindness & compassion meditation (LKCM) on healthy adult’s prosociality and antisociality,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by selecting 38 korean articles and dissertations up to October 3, 2022. Considering the three-arm design studies, 24 studies on MM and 19 studies on LKCM were selected. The quality of the study was evaluated for each of the MM study and the LKCM study, and the effect size of each meditation for prosociality and antisociality was synthesized. As moderating variables, publication status, control group type, semi-clinical group status, age, sex ratio within group, total intervention time (minutes), total intervention sessions (session), and total intervention period (weeks) were set. As a result of the meta-analysis, MM showed a large effect size in improving antisocial behavior, g = 0.876, but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size for prosociality, g = 0.407. In contrast, LKCM showed a moderate effect size in enhancing prosociality, g = 0.699, but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size for antisociality, g = 0.163. In this study, the differential effects of each type of meditation on prosociality and antisociality were discussed. As a result of the moderating effect analysis, all moderators were not significant. Additionally, the effect size of each type of meditation for each subcategory of prosociality (e.g., empathy, connectedness, forgiveness, and compassion) was synthesized. As a result, LKCM showed moderate effect sizes in enhancing all subcategories of prosociality, gs = 0.534 ∼ 0.795, but MM showed a small effect size only compassion, gs = -0.026 ∼ 0.473. Studies of MM on antisociality were found to be at high risk of publication bias, whereas the rest of the cases were not at high risk of publication bias. In the discu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interpreted an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addressed.

이승아(연세대학교) ; 정경미(연세대학교) pp.179-203 https://doi.org/10.22257/kjp.2023.6.42.2.17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용 한국 과보호 양육척도(Korean Parental Overprotection Scale, K-POS; Chung & Yoon, 2015) 중 일부 하위 요인(체면 중시, 동일시)의 낮은 내적 일치도를 개선하고, 고등학생과 대학생 집단에 모두 활용 가능한 개정판 한국 과보호 양육척도(K-POS-2)를 개발 및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연구 1단계에서는 문헌 고찰과 사용자의 의견 수렴, 전문가의 내용 타당도 평가를 거쳐 총 29문항의 예비 척도를 도출하고, 고등학생 880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거쳐 총 15문항의 4요인(성취 지향, 통제, 체면 중시, 동일시) 구조를 재확인하였다. 2단계로 대학생 총 993명을 모집하고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고등학생과 대학생 집단에서 K-POS-2의 측정 동일성이 유지되는지 검증한 결과, 측정 동일성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고등학생 100명과 대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K-POS-2의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K-POS-2는 기존 과보호 척도, 그리고 한국 문화에 특수적인 과보호 척도와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일반적이고 바람직한 양육 태도를 측정하는 척도들과는 낮은 상관을 보고하여 높은 수렴 타당도와 변별 타당도를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K-POS-2가 심리측정적 특성과 유용성 측면에서 원척도에 비해 더욱 개선되었음을 보여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low internal consistency of two sub-scales of the Korean-Parental Overprotection Scale (K-POS), namely ‘face culture’ and ‘identification’, and to validate the revised scale for both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In the fist step of the study, an initial pool of 29 items was develop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s, and content validity evaluations. The K-POS-2, consisting of 15 items with a four-factor structure (achievement orientation, control, face culture, and identification), was confirmed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ith 880 high school students. Secondly, the validation of K-POS-2 was extended by conducting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a sample of 993 college students. The findings from this analysis further supported the measurement equivalence of the scales between the high school student group and the college student group. The K-POS-2 was also examined for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ies and test-retest reliability with a sample of 100 high school students and 100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K-POS-2 had a high correlation with the Parental Bonding Instrument (Parker et al., 1979) and another Korean cultural-specific overprotection scale, while exhibiting low correlations with scales that measured general parenting behavio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K-POS-2 has been significantly improved in terms of its psychometric properties and usefulness compared to the original scale. The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