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장은진(한국침례신학대학교) pp.0-0
최진영(서울대학교) ; 이한경(서울대학교) pp.221-242 https://doi.org/10.22257/kjp.2022.8.41.3.221
초록보기
초록

우리나라 국민의 네 명 중 한 명은 평생 한 가지 이상의 정신건강문제를 보고하고 있으며, 자살률은 약 20년간 OECD 최상위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또 국민의 행복과 사회통합 지수들은 OECD 회원국 중 최하위를 유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1996년 OECD 회원국이 된 한국의 정신건강체계 및 제도에 대한 첫 권고안 내용과(O’Connor, 2013), OECD와 WHO 등 국제 정신건강 정책에서 드러나는 정신건강 인력 양성 및 심리사의 역할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국의 심리서비스 인력 운용 및 전달체계의 문제점들을 논의하였다. 전문성을 갖춘 심리사를 양성하여 정신장애 예방, 경도 및 중등도 정신건강문제 개입, 근거기반 심리서비스 개발 및 제공, 지역사회기반 심리서비스 활성화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OECD 회원국들과 달리 우리나라는 심리서비스의 핵심 전문 인력인 심리사 제도를 아직 마련하지 못해 고도 산업 국가에 사는 21세기 대한민국 국민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전문적인 심리서비스를 제공하기엔 한계가 있다. 국민 정신건강을 증진하고 삶의 질과 행복감 등 심리사회적 건강 증진을 위해서는 국가 자격 심리사 제도를 도입하여 과학적인 근거에 입각한 효과적인 심리서비스를 국민들에게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Abstract

One in four Koreans reported at least one mental health problem in their lifetime, and the suicide rate has been at the highest level among the OECD member countries for about two decades. Happiness and Social Integration indexes show lowest level in recent year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OECD’s recommendations for Korea’s mental health system(O’Connor, 2013) along with the mental health policies regarding mental health workers. Comparative analyses between Republic of Korea and other OECD member countries showed that Korean mental health system has not integrated psychological services for all citizens, lacking effective preventive measures for mental illness and death by suicide. As system focused mostly on severe mental illness characterized by high rate of hospitalization, it has also resulted in weak community-based mental health care system. Therefore, it has yet to introduce licensed psychologists in the system, which is in contrast to other highly-industrialized OECD countries where licensed psychologists have been working as essential mental health workforce to prevent mental illnesses, provide evidence-based psychological practices, such as assessment and psychotherapy to individuals with mild to moderate mental health problems, and collaborate with other mental health workers to provide community-based mental health services to a wide-spectrum of severity. In order to effectively provide psychological services that meet the needs of the Korean people living in a highly industrialized country with significant mental health problems, it is urgent that Korean government introduce licensed psychologists in the mental health system. With thousands of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certified psychologists requiring similar education and training as the OECD members, Korea will greatly gain from the regulation, which will contribute significantly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of Koreans as well as their quality of life and happiness.

노은빈(고려대학교) ; 김현진(고려대학교 KU마음건강연구소) ; 최기홍(고려대학교) pp.243-255 https://doi.org/10.22257/kjp.2022.8.41.3.243
초록보기
초록

급변하는 현대 사회에서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였고, 최근 코로나 19를 경험하면서 정신건강 서비스를 통한 예방과 위기개입 등 근거-기반의 안전하고 윤리적인 심리서비스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국제심리연합(Global Psychological Alliance)은 국민의 정신건강을 위한 심리사의 역할을 선언하였다. 전 세계의 많은 국가들도 근거-기반실천을 제공하는 정신건강 핵심 인력으로서 심리사를 법과 규정에 명시하여 제도화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국내에는 심리사를 법으로 규정하거나, 이들의 서비스를 제도화할 수 있는 심리서비스 법제화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정신건강 서비스의 핵심인력으로 심리사를 법으로 규정하고 있는 캐나다, 미국, 영국, 호주, 일본 등의 사례를 소개하고,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소속 국가들이 법에서 규정하는 심리사 자격 기준도 함께 소개하였다. 또한 국제응용심리학회(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pplied Psychology)와 국제심리연맹(The International Union of Psychological Science)에서 선포한 정신건강의 핵심인력으로서 심리사가 갖추어야 할 심리사 핵심역량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민 정신건강 증진, 비전문가에 의한 2차 피해 예방 등 엄격한 자격 기준을 갖춘 심리사를 법제화 해야하는 이유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s national demands in mental health have sharply increased in modern society, importance of psychological services and their regulation for the public have surged. The Global Psychological Alliance has declared the role of psychologists for citizens' mental health in 2022. The majority of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countries have legislated laws and regulations of psychologists for providing evidence-based and ethical psychological services, and protecting the public from unethical and harmful services by specifying core competencies of psychologists. However, there is no legal regulation of psychologists in South Korea. The current study reviewed the international standards of psychologists including Canada, United States of America (USA), United Kingdom (UK), Australia, and Japan. The required qualification standards for licensed psychologists in OECD countries were also summarized. Finally, we discussed the benefits of regulations and legislation of psychologists and the need of requiring core competencies for psychologists. It is concluded that international standards of psychologists should be implemented to enhance the public mental health and minimize harm.

원성두(대구가톨릭대학교) ; 장은진(한국침례신학대학교) pp.257-270 https://doi.org/10.22257/kjp.2022.8.41.3.25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심리서비스 관련 법령, 심리사 자격제도, 공공 정신건강 심리서비스 제공 등 대한민국의 심리서비스 현황을 분석해 국민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심리서비스의 향후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법령정보센터에서 ‘심리’ 또는 ‘심리상담’의 키워드로 심리서비스 관련 78개 법령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내에는 심리서비스 관련 독립적인 법률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특히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만이 정신건강전문요원 중 하나인 정신건강임상심리사의 자격기준과 업무 범위를 명시하고 있으나 이마저도 심리서비스의 범위가 제한적인 데다 적용 대상 또한 대부분 정신질환자로 제한하는 경향이 있다. 국가자격증으로 보건복지부 발급 정신건강임상심리사와 산업인력공단 발급 임상심리사가 있으나 전문성의 질적 차이가 현저하다. 한편, 심리서비스 제공인력으로서 부적격한 민간 자격증의 난립으로 인해 일반인이 효과성을 신뢰할만한 서비스 제공자를 판별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공공 심리서비스 측면에서 보건복지 영역은 심리서비스 수요에 비해 전달체계가 부족한 데 반해, 보건복지 영역 이외의 법무 및 사법체계, 경찰, 국방부, 병무청, 지방자치단체 등 다양한 영역에서 전문심리 인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심리서비스 관련 법률 제정 및 국제 수준의 국가전문자격심리사 제도 도입이 시급하다. 국가전문자격심리사 제도는 지역사회 기반 정신건강 사업의 확대, 특히 국민의 심리서비스 접근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여 국민의 정신건강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status of psychological services such as legislation, qualification system, and provision of psychological services for public mental health,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psychological services to improve the national level of mental health. For this, 78 existing laws were found and analyzed using “psychology”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as key words on the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website. As a result, there was no distinct law solely discussing the psychological services. In particular, only the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and the Support for Welfare Services for Mental Patients (in short, Mental Health Welfare Act) defines the qualifications and scope of work of mental health psychologists, one of the mental health specialists. However, this law has a limited scope of psychological services that could be offered and tends to be limited to those with mental illness. For licenses offered by governments for qualifications, there are mental health clinical psychologist, licens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clinical psychologist licensed by th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but the difference in quality of expertise between these two is remarkable. In addition, it is difficult for the general public to identify a reliable service provider because of prevalence of inappropriate licenses issued by unqualified private service providers. In terms of public psychological services, the health and welfare sector lacks a delivery system in comparison to the demand for psychological services, while psychological professionals are proactively employed by various other field such as Ministry of National Justic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nd local governments. Therefore, it can be stated that an independent legislation specifying the provision of psychological services and establishment of a license for global-standard psychologist is necessary. This legislation is expecte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expansion of community-based psychological services. In particular it will improve the public access to psychological services, thereby advancing the people's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박중규(대구대학교) ; 장은진(한국침례신학대학교) ; 정경미(연세대학교) pp.271-293 https://doi.org/10.22257/kjp.2022.8.41.3.271
초록보기
초록

한국심리학회가 지난 수년간 의회와 정부에 입법을 건의해왔던 <심리사법안>이 22년 4월 29일에 서정숙 의원 등 11인의 국회의원에 의해 발의되었다. 법안의 심리사는 교육과정 인증을 받은 대학 등에서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심리학 관련 과목을 이수하여 학사와 석사를 취득하고 2년 이상 3,000시간 이상의 실무수련을 마치거나,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1년 이상 1,000시간 이상의 실무수련을 마친 자로서 심리사 국가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심리사의 교육과 수련, 자격관리에 관한 사항은 향후 시행령과 시행규칙 등의 하위 법령에서 정해져야 하는데, 본 고는 한국심리학회(2020)의 연구보고서에 따라 국내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과 미국심리학회 및 유럽심리사협회연맹의 심리사 자격에 관한 자료에 근거하여 세부사항들을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심리사는 OECD 수준의 전문성과 유능성을 갖추어 국제적 수준에 부합될 수 있어야 하며, 상응하는 엄격한 교육과 수련을 거쳐야 함을 제안하였다. 심리사의 업무는 인간 행동의 과학적 원리에 근거하여 국민의 행복 증진에 기여하는 다양한 심리서비스로 정의되었기에 핵심 역량과 유능성이 보장될만큼 엄격한 질 관리가 요구되는 것이다. 본 고의 논의와 제안이 향후 하위 법령 성안 과정에서 유용한 지침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Abstract

The Psychologist Bill which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has been trying to enact for the past several years, was proposed by 11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including Rep. Seo Jeong-suk on April 29, 2022. The Bill proposes that certified psychologists must obtain 1) a bachelor’s and master’s degree or 2) a master’s and doctorial degree by completing courses related to psychology prescribed by Ordinance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ollowed by completion of 3,000 hours of practical training for more than two years upon completion of master degree, or 1,000 hours for more than one year during doctorial degree in graduate school. Those who met the educational and practicum requirements must pass the national examination for psychologists. In this paper, as matters to be reflected in future enforcement ordinances and enforcement rules, standards for psychologist training course are presented in relation to 1) education certification, 2) training certification, and 3) other topics related to qualification management. Psychological services are not limited to just psychological counseling, but consist of more tasks. The Bill proposed all matters related to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psychologists in Korea as a profession that reveals the scientific principles of human behavior and contributes to the promotion of people's happiness based on psychological science.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