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이순묵(성균관대학교) ; 이찬순(성균관대학교) ; 이현정(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여성칠(건국대학교) pp.1-26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캐나다 도박행동 척도(CPGI)를 사용한 자료에서 도박행동에 대한 개념적 구조 및 측정적 특성이 남녀집단간에 어떻게 다르며, 어느 정도까지 일반화 될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양적 검증 결과를 보면, 도박행동에 대한 개념구조가 남녀간에 대등하였고, 측정단위는 9개 문항중 6개 문항에서 동일성이 확인되어 부분적 측정단위 동일성을 확보하였다. 단위동일성이 성립하는 6개 문항에 대해서는 측정원점 동일성이 지지되었다. 따라서 요인점수의 산출이 의미있는 경우로 보고 집단을 비교할 수가 있다. 따라서 양적인 결과만 보면 적어도 남녀간에 공통적인 측정체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이 된다. 그러나 좀 더 세부적인 평가를 해보면 몇가지 문제가 지적된다. 우선 단위 차별성이 확인된 5, 6, 7번 문항은 모두가 “문제(problem)”라는 단어를 공통으로 포함하고 있고, 여성들이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국내용 번안척도 개발시 이 세 문항의 번안에서 남녀간 차별성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요인분산이 남자집단에서 .024(p=.000) 여자집단에서 .007(p=.000) 인 것은 통계적 유의함과 관계없이, CPGI에서 측정하는 구성개념에 의문을 가지게 한다. 여자집단에서는 0에 가까운 분산으로서 전혀 응답자들이 변별되지 않는 척도임을 의미한다. 남자집단에서도 실질적으로 의미있는 분산으로 보기에는 매우 미흡하다. 국민일반을 대상으로 하여 공중건강의 취지에서 폭넓게 변별해 보고자 한 목적이 위반될 가능성도 있다.

Abstract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measurement invariance of Canadian Problem Gambling Index(CPGI) in terms of conceptual structure and psychometric properties across male and female groups. Results showed configural invariance(equivalence of conceptual structure), partial metric invariance(6 out of 9 items), and scalar invariance(6 items with metric invariance). The results suggest that intergroup comparison can be conducted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s and factor mean differences can be interpreted meaningfully. However, several problems were revealed by looking into detailed features of CPGI. Firstly, noninvariance was found in the factor loadings of items 5, 6, and 7 to which special attention should be paid in adapting the scale to a Korean version. Also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the very small size of factor variance in both male(.024) and female(.007) groups. Although the two values of varia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y are not practically meaningful. CPGI seems unable to discriminate the general public to an extent which has been expected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health.

김상희(중앙대학교) ; 현명호(중앙대학교) pp.27-4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성공 및 실패 조건에서 완벽주의 성향이 얼굴 표정 해석과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비완벽주의 집단(30명), 자기지향적 완벽주의 집단(30명),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집단(30명)으로 구분하고, 각 집단의 피험자를 무선으로 성공 및 실패 경험을 하도록 조작하였다. 그 다음, 피드백을 제공 받은 후, 집단에 따라 모호한 얼굴 표정 자극을 어떻게 해석하는지 알아보고, 긍정적으로 해석한 얼굴 표정과 부정적으로 해석한 얼굴 표정에 대한 재인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자기지향적 완벽주의 집단에서 성공 피드백을 받았을 때는 해석 편향과 기억 편향이 발견되지 않았고, 실패 피드백을 받았을 때는 부적 해석 편향이 발견되었지만, 기억 편향은 발견되지 않았다.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집단에서는 성공 피드백을 받았을 때와 실패 피드백을 받았을 때 모두에서 부적 해석 편향과 부적 기억 편향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평가 상황에서 자기지향적 완벽주의자와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자의 인지 편향이 유발되는 패턴이 다르며, 이런 차이가 완벽주의자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다름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bout the effect of perfectionism of facial expression interpretation and memory according to the situations of success or failure. Groups are divided into three; non-perfectionism group(n=30), self-oriented perfectionism group(n=30) and social-prescribed perfectionism group(n=30). Subjects of each group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success or failure treatment conditions. After that, we examined how they interpret ambiguous facial expression after performance feedbacks are given. Also we examined whether there was difference of recognition between positive facial expression and negative facial expression that they interpreted. As a result, in self-oriented perfectionism group, there was no interpretation bias or memory bias found when they got success feedback, and there was only negative interpretation bias found when they got failure feedback in comparison to non- perfectionism group. In social-prescribed perfectionism group, however, there were negative interpretation bias and negative memory bias regardless of success or failure feedback since they tend to distort every feedback in negative way. This result indicated that self-oriented perfectionist and social-prescribed perfectionist’s patterns which cause cognitive bias are different. Thus such differences affect perfectionist’s adaptation differently.

주은선(덕성여자대학교) ; 조병주(덕성여자대학교) ; 이현정(백석대학교) pp.45-76
초록보기
초록

최근 결혼이주여성들 수의 급격한 증가와 더불어 이들의 적응상의 다양한 문제와 심리적인 어려움이 밝혀지면서 상담 및 복지현장에서는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 상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나 서비스 대상자인 결혼이주여성들의 상담 경험에 대한 관심이나 학문적 논의는 충분히 이루어 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들의 상담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상담 경험이 있는 결혼이주여성 다섯 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현상학적인 분석절차를 거쳐, 이들의 상담체험은 어떠한지, 그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자료 분석결과 18개의 주제와 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달라지고자 함: 남편과 잘 지낼 방법을 찾으러, 아이를 잘 키우고 싶음.>, <알아차림: 남편에 대해서 알게 됨, 아이의 속마음을 알게 됨, 나를 돌아 봄.>, <변화를 위해 애씀: 나를 변화시킴, 아이를 다르게 대함.>, <마음 붙일 곳이 생김: 친정 같은 곳, 현실적인 판단, 경계선이 없음.>, <달라짐과 한계: 달라지는 모습들, 체화되지 않음, 혼자서 해야 하는 부담, 어떻게 하면 좋을지 방법을.>, <또 다른 기대: 아이들을 위한 배울 기회, 일할 수 있게, 맞춤 서비스, 가장 가까운 사람처럼>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 상담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논의되었다.

Abstract

With the recent rapid rise in the number of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there has been an associated increase in the occurrences and awareness of the problems these women face, as well as the provisions of multi-cultural counseling in many social welfare centers or other such facilities. However, despite their growing importance, there has been little interest paid to the counseling experiences of these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and even less research has taken place.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counseling experiences of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followed by a phenomenolog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five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in order to determine their counseling experiences and its meanings. The analysis reveal 18 themes and 6 categories: “Wanting to change: find ways to get along well with husband, want to raise their children well”, “Awareness: understanding of husband, understanding of children's mind, self reflection”, “Efforts to Change: changing self, changing approach to children”, “Finding a place to form attachment: Own home, realistic decision making, no boundaries”, “Change and Limitations: changing images, incomplete internalization, burden of doing it alone, responsive techniques”, “New Expectations: Opportunities to learn for the children, opportunities to work, as someone who is the closest”. Last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recommendations on improving the counseling programs for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are provided.

이슬아(CHA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 김근향(CHA의과학대학 분당차병원 정신과학교실) ; 정지영(고려대학교) ; 김나라(고려대학교) ; 권정혜(고려대학교) pp.77-9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분열형 성격 성향과 인지적 및 정서적 공감 능력, 사회 적응 수준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608명에게 분열형 성격척도(SPQ)를 실시 한 뒤, 상위 10%는 분열형 성격 성향군, 하위 10%는 통제군으로 분류하였고 각 집단별로 31명씩 총 6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그들을 대상으로 K-WAIS 어휘 검사, 인지적 공감 능력을 측정하는 실험과제인 마음이론 과제(실언과제), 인지적 및 정서적 공감을 모두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척도인 대인관계 반응 지수(IRI), 사회적응 수준을 측정하는 사회적응척도(SAS)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분열형 성격 성향군은 지능에서 통제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업 수행을 비롯한 사회적 적응 수준은 통제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아울러 실험 과제를 통해 알아본 인지적 공감 능력에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공감에 관한 주관적 보고 상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인지적 공감 측면에서 분열형 성격 성향군은 통제군에 비해 실제 대인관계에서 타인의 입장을 고려하는 정도는 낮으나, 허구의 대상에 대한 감정 이입 수준은 높았고, 정서적 공감 측면에서는 외부의 부정적인 정서 자극으로 인해 정서적 고통감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분열형 성격 성향자들의 대인관계 및 사회적응에 대한 개입에서는 이와 같은 인지적, 정서적 공감 특성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schizotypal personality trait in normal individuals were related to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Undergraduates (N=608) were screened using the Schizotypal Personality Questionnaire (SPQ), and those with high schizotypy (N=69) and those with low schizotypy (N=80) were contac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irty-one individuals with high schizotypy and 31 with low schizotypy were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full assessment. All participants completed the Faux Pas Task, experimental tool that assess the ability of cognitive empathy and the Interpersonal Reactive Index (IRI), self-reported scale that assess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Also current verbal IQ was assessed using the Vocabulary test in K-WAIS and Social Adjustment Scale-Self Report was used to evaluate social functioning. The results showed that individuals with high schizotypy reported lower social adjustment than the control group while verbal IQ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Also individuals with high schizotypy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on the Perspective taking scale and higher scores on the Fantasy scale and the Personal distress scale in the IRI.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in performance of ToM task.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문정순(전남대학교) ; 한규석(전남대학교) pp.93-110
초록보기
초록

마음챙김이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보고되고 있지만 그 과정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마음챙김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공상자각과 탈중심화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참여자는 광주 소재 2개 대학교의 남녀 대학생 276명이었다. 이들은 마음챙김, 공상자각, 탈중심화,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는 척도에 응답하였다.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위계적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공상자각이 마음챙김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탈중심화가 마음챙김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마음챙김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공상자각과 탈중심화가 모두 부분적 매개효과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마음챙김으로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체적인 심리 변인인 공상자각과 탈중심화의 과정적 기제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는데 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mechanism for the effect of mindfulnes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e imagination awareness and the decentering were hypothesized to play the role of mediators. Participants were 276 college students of both sexes. They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which contained measures of mindfulness, imagination awareness, decenter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llowing the test of mediational effects by Baron & Kenny (1986), we performed several sets of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ach of the two factors of imagination awareness and decentering was shown to be a partial mediator between mindfulness and psychological well -being. The two factors were shown to play multiple mediators when put into the equation simultaneous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study examined firstly the mediational process of the mindfulness leading to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e two mediators of imagination awareness and decentering are needed to be focused on to increase positive effects of mindfulness training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제갈은주(CHA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 안창일(고려대학교) pp.111-12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울증 환자들이 부정적인 정보에 나타내는 인지편향 현상을 정서 스트룹 과제를 통해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정서 스트룹 과제의 단어조건과 단어의 제시시간을 다양화하여, 우울증 환자들이 과제의 어떤 조건에서 인지편향 현상을 가장 크게 나타내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총 26명으로 우울증 현재 삽화(episode)를 보이는 우울증 집단 13명과 정신병력이 없는 정상 집단 13명을 대상으로 정서 스트룹 과제의 역치상 시행과 역치하 시행을 차례로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우울증 환자들은 정서 스트룹 과제의 모든 단어 조건에서 정상인들보다 유의하게 긴 반응시간을 나타냈으며, 특히 역치상 조건의 부정단어와 중성단어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우울증 환자들은 부정단어의 모든 제시시간에서 정상인들보다 유의하게 긴 반응시간을 나타냈는데, 역치상 조건에서는 부정단어의 제시시간이 길어질수록 더 긴 반응시간을 나타냈으며 역치하 조건에서는 이와 같은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우울증 환자들이 자극의 정교한 처리가 가능한 역치상 조건에서 부정 자극에 대한 인지편향 현상을 크게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부정 자극을 정교하게 처리할 수 있는 시간이 길수록 더 큰 인지편향 현상을 나타낸다는 것이 밝혀졌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ognitive bias of depressed patients on negative information in the emotional stroop task. Also by diversifying word presenting conditions and stimulus duration, this research pursued in which condition depressed patients show cognitive bias most like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 depressed patients and 13 healthy control participants. In the emotional stroop task, after all the participants were tested pre-exercise session, they performed both supraliminal and subliminal condition s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action times between depressed patients group and heathy control group in both conditions: supraliminal and subliminal. Depressed patients reacted more slowly than control group in all words condition, especially to negative words.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action times between groups in every condition when negative words were presented to them. Finally, the depressed patient also showed slow response when the negative words presented were delayed to show up in supraliminal condition,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ondition of subliminal.

김형준(강북삼성병원) ; 오수성(전남대학교) pp.127-14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불안과 방어성향이 정서적 자극에 대한 주의편향에 미치는 효과가 시간 경과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대학생 389명을 대상으로 특성불안 척도와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를 사용하여, 저불안 집단(14명), 억압자 집단(14명), 고불안 집단(14명), 방어적 고불안 집단(13명)을 선정하였다. 정서자극에 대한 주의편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Posner의 공간단서과제를 사용하였다. 단서자극으로는 국제정서사진체계에서 정서가와 각성가에 따라 긍정자극, 중립자극, 부정자극을 각각 64장씩 뽑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300ms SOA 조건에서 억압자 집단을 제외한 저불안, 고불안, 방어적 고불안 집단에서 부정자극에 대한 주의회피가 나타났다. 특히, 고불안 집단과 방어적 고불안 집단은 부정자극 뿐만 아니라 긍정자극에 대해서도 주의를 회피하였다. 그러나 960ms SOA 조건에서는 모든 집단에서 정서가에 따른 주의편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trait anxiety and defensiveness and the time-course of attentional biases about emotional stimulus. 389 undergraduate students took pre-experimental test consisting of STAI-T and SDS, and four different groups were selected based on the test scores. They were low anxiety(n=14), repressor(n=14), high anxiety(n=14), and defensive-high anxiety group(n=13). We used Posner's spatial cueing task to study the attentional bias for emotional stimulus. Three different types of stimulus(aversive, neutral and pleasant pictures) were selected from IAPS so that they have different affective ratings but similar arousal level. The emotional valence of the pictures affected response times at 300ms SOA only, not at 960ms SOA. Low anxiety, high anxiety, and defensive high anxiety group showed attentional avoidance of threat at 300ms SOA. Also, high anxiety, defensive high anxiety group showed attentional avoidance of pleasure. But, repressor group did not show attentional bias according to emotional value.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이선화(충북대학교) ; 김보미(충북대학교) ; 유성은(충북대학교) pp.147-16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Izard가 개발한 차별적 정서척도 (Differential Emotions Scale-IV, DES-IV; Izard, Libero, Putnam, & Haynes, 1993)를 번안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차별적 정서이론(Izard, 1971)을 바탕으로 개발된 차별적 정서척도는 흥미, 즐거움, 놀람, 슬픔, 화, 혐오, 경멸, 공포, 죄책감, 수치심, 수줍음, 자기 적대감의 12가지 개별적인 정서경험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척도이다. 차별적 정서척도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867명을 대상으로 차별적 정서척도,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 성격 5요인 척도와 간이정신진단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차별적 정서 척도의 12요인 모두 적합한 내적 일치도 계수, 문항-요인 간 총점 상관을 보여 내적 신뢰도가 검증되었고, 230명을 대상으로 일주일 간격으로 차별적 정서척도를 실시한 결과 양호한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나타났다. 특히, 수치심, 수줍음, 내부 적대감의 경우 높은 안정성을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구성 타당도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요인 간 상관을 설정한 12요인 모델의 적합성이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별적 정서 12요인과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척도와의 상관을 살펴 본 결과, 차별적 정서척도의 수렴 타당도와 변별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12정서 요인들은 성격 5요인과 차별적인 관계를 보였고, 정신병리 증상과 가장 많은 관련성을 보인 정서 요인은 수치심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차별적 정서척도의 국내 연구에서의 활용도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Korean version of the Differential Emotions Scale-IV (DES-IV, Izard, Libero, Putnam, & Haynes, 1993). The DES-IV is a self-report questionnaire measuring twelve discrete emotions of joy, enjoyment, surprise, sadness, anger, disgust, fear, guilt, shame, shyness, and hostility inward. A total of 867 undergraduates in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Participants completed a set of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DES-IV,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 Big Five Inventory (BFI), and Symptom Cheklist-90- Revision (SCL-90-R). All twelve emotion factors showed adequate internal consistency, item-total correlations, and test-retest reliability over a week period. In particular, shame, shyness, and hostility inward showed robust temporal stabilit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the twelve factor structure of the DES-IV when all factors were correlated each other. The DES-IV factors were adequately related to the positive emotion and negative emotion factors of the PANAS, supporting goo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Finally, differential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s and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s well as emotions and psychopathology were examined. In conclusion, the DES-IV is a valid measure of twelve discrete emotions in a Korean population.

최혜라(서울사이버대학교) ; 이훈진(서울대학교) pp.169-196
초록보기
초록

충동성(impulsivity)과 강박성(compulsivity)은 여러 심리적인 문제나 장애에서 나타나는 특성이다. 특히 강박스펙트럼 장애(obsessive-compulsive spectrum disorder)라는 진단 범주와, 충동성과 강박성에 대한 차원모형을 제안한 연구자들을 통해 두 특성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광범위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강박스펙트럼 장애라는 진단의 타당성에 대한 논의도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문헌에서 기술된 충동성과 강박성 개념, 심리 장애 별로 나타나는 충동성과 강박성, 그리고 충동성과 강박성에 대한 이론적인 모형 및 실험적인 연구를 개관함으로써 두 개념의 정의와 관련성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하였다. 문헌 및 연구에 대한 개관 결과, 두 개념은 동기, 기질, 효과적인 치료적 절차 등에서 차이점이 있으나, 반복성, 저항의 어려움 등 공통적인 특성도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들이 공유하는 기제나 공통의 특성으로 인해 개념의 혼동 및 혼용이 발생하기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충동성과 강박성의 차원 모형에서 제안된 바와 마찬가지로 정신분석적인 접근이나 인지과학적인 접근, 신경생리학적 연구 및 신경심리학적 연구에서도 두 개념의 공유하는 기제나 공통된 특성을 일부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충동성과 강박성의 정의, 구분과 측정의 문제를 살펴보고 후속 연구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Abstract

Impulsivity and compulsivity are key features in many psychological problems or disorders. By researchers who suggest diagnostic criteria of obsessive-compulsive spectrum disorder(OCSD) and dimensional model of impulsivity and compulsivity, relationships between impulsivity and compulsivity have been studied extensively, and the discussion over validity of OCSD diagnosis is also in progress. In this article, we are to review the concepts of impulsivity and compulsivity, which described in existing documents, which as shown in distinct psychological disorders, and with which related theoretical models and experimental researches. Then we also try to clarify their definitions and relationships. As the conclusion of review through documents and researches, we suggest that, the concepts have differences and common features as well, and partly due to their common features, there also come out confusions and mixtures of the concepts. And as suggested in dimensional model of impulsivity and compulsivity, we could identify some shared mechanisms and similar features of two concepts, also in psychoanalytical approach, cognitive science approach, neurophysiological researches, and neuropsychological researches. Finally we discuss about the definitions, discrimination, and measurement of impulsivity and compulsivity, and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안현의(이화여자대학교) ; 주혜선(이화여자대학교) pp.197-220
초록보기
초록

외상적 사건을 경험한 이후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외상 경험으로부터 회복되지만 일부 사람들은 외상으로 인한 심리적 후유증을 호소하는데 대표적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가 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외상 후 심리적 고통과 부적응이 외상 사건의 기억과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의식적 수준에서 회상되는 외상 기억인 자서전적 외상 기억(autobiographical trauma memory)에 관심을 가져온 여러 경험적 연구들은 외상 사건을 현재 어떻게 기억하고 있으며 그 세부 내용들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기억의 조직화 여부에 따라 외상 후 심리적 반응은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관련된 자서전적 외상 기억의 조직화 특성에 관해 일관되지 않은 경험적 근거들이 제시되고 있어 그 관계가 명확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관련된 자서전적 외상 기억의 조직화 특성에 관한 경험적 연구들의 논쟁을 살펴보고 이와 같은 논쟁을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특히, 선행 연구들에서 조직화 특성에 대한 이해와 접근 차이를 보이는 것에 주목하고 미시적 조직화와 거시적 조직화의 개념을 처음으로 소개하며 이러한 개념적 차이가 앞서 언급한 논쟁과는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함께 제시하였다.

Abstract

Most people recover from traumatic experience, however, some develop posttrauma symptoms such a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One of characteristics of PTSD is that the posttrauma symptoms are closely related to the memory of the traumatic incident. Recent empirical studies have sugges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autobiographical trauma memory is associated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cluding how the survivors remember or retrieve their experience, how the memory details are well-connected with one another, and how well organized or fragmented such autobiographical trauma memories are. However the evidences so far have been unclear and inconsistent in conceptualizing the mechanisms of how trauma memories operate. The present study reviews both the empirical and the theoretical research on autobiographical trauma memory of PTSD. We also present the notions of micro-organization and macro-organizations of trauma memory in explaining the inconsistent findings from previous research.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clin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as well.

최송아(연세대학교) ; 손현국(연세대학교) ; 손영우(연세대학교) pp.221-23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기질적인 요소인 성격 특질과 인지 능력, 그리고 발달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는 메타인지 능력-얼마나 자기 자신의 수행을 정확하게 판단하는가-이 학습의 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참가자들은 성실한 성격과 인지 능력을 측정하는 검사에 응답한 뒤 컴퓨터 화면에 제시되는 두 도형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시각 변별 과제를 수행하였다. 시각 변별 과제는 학습 단계 여덟 블록과, 학습 단계와는 다른 도형으로 이루어진 전이 단계 여덟 블록으로 나누어져 있다. 참가들이 자신의 수행에 대해 추정한 점수와 실제 점수의 차이를 통해 메타인지적 정확성을 계산하였으며, 이렇게 측정한 메타인지 능력과 기질적 특성이 전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난이도와 상관없이 성격과 인지 능력은 전이 단계의 수행을 유의미하게 예측해주지 못하였다. 자신의 능력을 정확히 알고 있는 집단만이 훈련 단계에서 학습 효과가 나타나고, 이러한 학습 효과가 전이단계까지 이어지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메타인지 능력만이 전이 단계의 수행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Abstract

Metacognition, 'cognition of cogni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learning. In this study, we aim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ognitive ability, conscientiousness of Big5 traits, and metacognition which means how one accurately evaluates oneself on transfer of learning. Participants answered questions regarding their trait and cognitive ability, and performed the visual discrimination task. The task consisted of 8 blocks of training session and 8 blocks of transfer session. In 5th block of training session, the task was designed for participants to experience change of difficulty during training session so that their accuracy of self-assessment becomes inaccurate. The differences between participants' anticipated scores and real performance scores of 6th block were used as indicators of metacognitive error. Results show that cognitive ability and conscientiousness are not significant predictors of transfer learning performance, but only metacognitive ability positively predicts the performance. The authors concluded that the metacognitive ability i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predicting the learning and transfer of learning regardless of task difficulties. Such findings imply the vital role of metacognition in learning.

이종선(King's College University of London Institute of Psychiatry) ; 조현주(영남대학교) pp.239-25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Gilbert와 Allan(1998)이 개발한 내적 속박감 (Internal Entrapment Scale: IES) 및 외적 속박감 척도(External Entrapment Scale: EES)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K지역 대학생으로 총 401명이며, 모두 연구 참여에 동의한 뒤 내적 및 외적 속박감 척도와 관련 척도들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내적 신뢰도는 내적 속박감 .89 그리고 외적 속박감 .92로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내적 속박감 및 외적 속박감 모두 단일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각 요인에 대한 설명량은 내적 속박감 59.56% 그리고 외적 속박감 51.02%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내적 속박감 및 외적 속박감에 속해 있는 각 문항들의 요인 부하량 및 다중 상관계수가 만족할만한 수준이었다. 내적 속박감 및 외적 속박감의 모델에 대한 적합도 지수도 수용할만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내적 속박감 및 외적 속박감은 자기비난, 내면화된 수치감, 우울, 정적 정서, 부적정서, 삶의 만족도 및 자살사고와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 수렴 및 공존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내적 속박감과 외적 속박감은 자기비난 및 내적 수치감을 통제한 후에도 여전히 우울, 부적 및 정적 정서, 삶의 만족도 및 자살사고와 유의한 편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내적 속박감과 외적 속박감은 자기비난 및 내적 수치감을 통제한 후에도 각기 우울, 정적 정서, 부적 정서, 삶의 만족도 및 자살사고에 대한 유의한 증분 설명량을 보여줌으로써 증분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할 때, 한국판 내적 속박감 및 외적 속박감 척도가 속박감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평가하는 도구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척도에 대한 제한점 및 미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Internal Entrapment Scale (K-IES) and Korean External Entrapment Scale (K-EES) developed by Gilbert and Allan(1998). Four hundred and one university students who agreed to take part in this study completed the K-IES and K-EES along with other psychometric measur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ronbach alpha for the K-IES was .89 and Cronbach alpha for the K-EES was .92, indicating good internal consistencies. Exploratory factor analyses revealed that a single factor structure best fit the K-IES and K-EES, respectively. Each factor accounted for 59.56% of the variance on the K-IES and 51.02% of the variance on the K-EE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emonstrated a satisfactory construct validity by showing good factor loadings and squared multiple correlations of each item of the K-IES and K-EES. Fit indices also showed the goodness-of-fit for each model of the K-IES and K-EES. The K-IES and K-E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lf-criticism, internalized shame, depression,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life satisfaction, and suicidal ideation which supported the convergent and concurrent validity. The K-IES and K-EES maintained a strong association with depression,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even after controlling for self-criticism and internalized shame. In addition, the K-IES and K-EES added substantially to the explained variance of depression,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life satisfaction and suicidal ideation after controlling for the self-criticism and internalised shame, which supported incremental validity.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the K-IES and K-EES are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to assess entrapment.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future directions for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