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양계민(중앙대학교) ; 김의철(중앙대학교) pp.1-3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 범법자의 특별지위 인정에 대한 사회적인 논쟁에 대하여 심리학의 이론적 경험적 연구를 고찰하고 대안을 제안하고자 수행되었다. 형법상 청소년들은 발달이 덜 된 미숙한 존재라는 인식과 아직 인격이 완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교정이 용이하다는 두 가지 이유로 심각한 범죄행위에도 불구하고 성인과 같은 법적 책임을 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청소년 범죄의 양상이 흉폭화 저연령화 됨에 따라 청소년의 심각한 범죄행위에 대해서 연령이 어리다는 이유로 처벌을 하지 않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는 사회적 여론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관련된 문헌을 검토해본 결과 법철학적 입장과 심리학의 이론들은 청소년들의 심리적 미성숙을 가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실증적인 연구 결과는 청소년이 실제로 성인에 비하여 인지적, 사회적으로 미숙하다는 근거를 일관되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교정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전환정책(conversion policy)의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 역시 일관되게 효과적이라거나 비효과적이라는 결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청소년 범법자에 대하여 특별지위를 인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는 단순히 어떤 것 하나를 선택해야 할 문제가 아니고 국가정책 수립과정에서 두 입장 모두를 합리적으로 수렴시킬 필요가 있는 문제이며, 합리적인 문제해결을 위하여 좀 더 심도 깊은 다수의 관련 연구들이 심리학계에서 요구되는 문제라고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의 주요 논쟁에 대한 저자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article provides a psychological analysis of the diversion policy, which gives a special status to juvenile offenders under the umbrella of the juvenile justice system. The juvenile justice system was created on the premise that juvenile offenders do not fully grasp the nature and consequence of their actions, that they are much more amenable to rehabilitation, and hence the juvenile justice system focuses on rehabilitation of juvenile offenders than punishment. In recent years, with the increased violence, incidence, and severity of the crimes committed by juvenile offenders and the age in which violent crimes are being committed by adolescents steadily decreasing, many have questioned the validity of the assumption and viability of the juvenile justice system. The critics charge that the arbitrary age definition of a juvenile is no longer tenable since children mature much more quick and the violent nature of their crimes suggests that they may not be amenable to rehabilitation. Review of the existing legal and psychological literature suggests that the previous assumption that juvenile offenders cannot fully grasp the nature and consequence of their action is not fully supported by empirical evidence. The current literature fails to provide conclusive evidence that juveniles are cognitively and socially immature and they are unable to understand the nature and consequence of their actions. The outcome of the conversion policy that focused on rehabilitation of juvenile offenders is inconsistent, show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results. With the mixed results, it is important to re-examine the fundamental premise and viability of the present juvenile justice system. It is necessary to modify the policy based on theoretically grounded, conceptually valid, and empirically supported research. Implications of the developing a rational and scientifically grounded legal system for adolescents that takes into account psychological research will be discussed.

조은경(한림대학교) pp.33-65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거짓말의 특징과 그것의 탐지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개관하였다. 거짓말은 일상생활에서 자주 부딪히게 되는 문제로서 해도 괜찮은 것과 타인에게 해로운 유형으로 나뉠 수 있다. 거짓말하는 능력은 연령과 함께 발달한다. 남성의 거짓 표현보다는 여성의 거짓 표현이 더 탐지되기 쉬운 반면에, 여성은 남성보다 상대방의 표현을 더 잘 읽을 수 있다. 거짓말의 증거는 사고와 관련된 단서와 감정에 관련된 단서로 구분할 수 있으나 특정 언어적 혹은 비언어적 단서들이 거짓말을 확신하게 해주지는 못한다. 거짓말을 탐지할 때에 범하기 쉬운 오류와 폴리그래프의 유용성에 대한 논의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범죄 수사에서 거짓말 탐지 연구를 활용할 수 있는 방향과 거짓말이 신뢰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paper reviewed previous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lying and lie detection. Lies are frequently encountered in everyday life and can be categorized as harmless types and harmful types. Ability of lying develops with age. Untruthful expressions of women tend to be more readily detectable than those of men's. But women can read other people's expressions more accurately than men. The evidence of lying can be distinguished into thought-related cues and emotion-related cues. No single linguistic or nonlinguistic clue could assure whether someone is lying or not. Common errors committed during lie detection and the accuracy of polygraph test were also reviewed. Finally, possibility of utilizing the outcomes of lie detection research in criminal investig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ying and interpersonal trust were discussed.

한규석(전남대학교) pp.67-95
초록보기
초록

이 땅에 서양의 심리학이 근대학문으로 수입된 지 100년이 되어가고 공식적으로 한국심리학회가 발족한지 반세기가 넘은 현 시점에서 한국의 심리학은 어떠한 특색을 지니고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서 한국사회의 이해에 초점을 맞추어 그간 행해진 국내 심리학 연구의 갈래를 사회심리학자의 연구를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이 정리를 바탕으로 한국적 심리학은 무엇이며, 왜 필요한지, 그리고 무엇이 과제인지를 논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심리학자들은 학문의 식민성을 의식하고 이에서 벗어나고자 노력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러기 위해서 한국의 사회문화적 현상에 바탕한 심리학적 개념의 도출 및 이들을 연결시키는 이론적 작업이 필수적이다.

Abstract

I reviewed the historical efforts of constructing the Korean psychology in Korea. Taking the cultural psychological perspective(Shweder, 1990), I defined the Korean psychology as the psychological study of and for the Koreans, which should be constructed with the concepts and theories rooted in Korean social life. I elaborated why it is needed, what have been done with regard to, and how it should be pursued. Up untill 1980's, Korean psychologists were eager to importing Western psychology. Western psychology was regarded the psychology of universal theory. Because people are not keenly aware of the cultural properties of psychological theory, schism developed between psychological theory and Korean social life. Construction of Korean psychology begins with recognition of colonial status of psychological studies in Korea. Researchers should base their theory on the social life of Korean people. Suggestions were made to help build up Korean psychology. Studies of replication may benefit if conducted with cultural variables added to the original study. More attention to other Korean researcher's work is desired.

박영숙(이화여자대학교) ; 박광배(충북대학교) ; 최상진(중앙대학교) ; Antony Marsella(University of Hawaii) ; 김주한(서울대학교) pp.97-13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미국 일시거주 한인 아동, 청소년의 미국 내 사회 문화적 적응 및 귀국청소년들의 재적응을 촉진하기 위한 인터넷 상담/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첫 번째 연구는 효과적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사전검사로 미국내 한인 아동 및 청소년의 상담개입을 필요로 하는 영역 및 분야를 평가하는 과정이었고, 두 번째 연구는 파악된 상담개입을 필요로 하는 영역 및 분야를 기초로 개입프로그램을 설계 및 개발하여 실시하는 것이었다. 연구1에서 파악된 조기유학생의 상담개입을 필요로 하는 영역 및 분야를 기초로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온라인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목표명료성, 과제난이도 선호, 자기조절성, 자신감, 자기주장성, 스트레스 등에서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향상된 결과를 보였으며 직접 면대면 프로그램을 받은 집단과도 거의 유사한 정도의 향상도를 보여주었다. 이는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상담프로그램의 효과가 조기유학생들의 적응에 명백히 효과적임을 입증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Abstract

In this research, we developed and tested an internet counseling program for social and cultural adaptation of Korean adolescent international students (KAIS) in U.S. Adaptation needs of those students were assessed in the Study 1. Survey and interview data from the Study 1 showed that Korean adolescent international students in U.S. experience adaptational difficulties mostly in such areas as school, language, culture, law, and family relations. Based on the need assessments from the Study 1, an internet counseling program was developed and its effects were tested in the Study 2. In Study 2, a group of 36 KAISs were assigned into the on-line counseling condition in which the subjects completed 12 sessions of internet counseling program. Another group of 17 KAISs were assigned into the off-line condition in which the same counseling program was administered in the traditional face-to-face sessions. The third group was a control group of 47 KAISs to whom no program was administered. All three groups of the subjects were tested twice (pre-test and post-test) with several psychological instruments to measure goal ambiguity, activeness in challenge seeking, self-regulation, self-competence, assertiveness, and stress control. The on-line group and the off-line group alike showed marked improvements in psychological functioning as measured on the post-tests compared with those on the pre-tests. The control group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tests. It was concluded that the on-line counseling program is as effective as the traditional face-to-face counseling method for the improvement of psychological functioning that is necessary for successful adaptation of KAISs.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박유진(중앙대학교) ; 김재휘(중앙대학교) pp.141-161
초록보기
초록

개인이 여가에 부여하는 의미와 가치는 여가정체성이 개인의 자아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개인의 여가정체성 현출성에 따라 여가경험이 여가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여가활동의 추구인 적극형 여가(serious leisure)로써 여가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여가정체성 현출성에 따라 여가경험이 여가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의 분석 결과, 개인의 여가경험을 구성하는 요소들로 자아확인, 일상탈출, 효능감 지각, 사회적 관계의 네 요인을 확인하였으며, 각각의 여가경험 요소가 여가 및 생활만족에 기여하는 상대적인 영향력은 여가정체성 현출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가정체성 현출성이 낮은 사람들의 경우 여가경험이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단순히 여가시간 및 여가활동의 증가만으로는 개인의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없으며, 여가를 통해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역할 정체성의 형성 및 발달을 수반하는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여가활동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Expectancy and importance of a specific activity depends on identity salience of the activity related role. Thus, leisure identity salience can influence expectancy and importance of leisure activity. Consequently, it is supposed that the effect of leisure experience on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depends on leisure identity salience. To examine this propos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eisure identity salience, leisure experience,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leisure sports participants of serious leisure activities. Serious leisure is defined as the steady pursuit of a specific leisure activity with complexity and numerous challenges. The results of the survey analysis verify that leisure experience consists of four components: self-affirmation, escape from daily routine, perceived self-efficacy, and social relation. Identity salience influences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leisure experience component to leisure satisfaction. This explains that individuals with high leisure identity salience differ from individuals with low leisure identity salience in expectancy of a leisure activity. Also, in low leisure identity salience group, none of the leisure experience components influences life satisfaction. However, in high leisure identity salience group, most leisure experience components show significant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This analysis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positive leisure experience will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individuals with high leisure identity salience, although it does little for the individuals with low leisure identity salience. It also explains that a mere expansion of leisure time or the number of activities would not enhance one's life quality or satisfaction. To achieve this end, systematic and steady pursuit of the leisure activity is required.

정진경(한양대학교) pp.163-177
초록보기
초록

탈북자들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통하여 북한사람들의 성역할 특성과 가치관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14세에서 62세까지의 남녀 탈북자 150명에게 성역할 특성을 측정하는 검사(KSRI)와 남녀평등의식을 측정하는 검사(KGES)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북한사람들은 남한사람들에 비해 성역할 측면에서 더 성전형화된 성격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사람들이 남녀간에 남성성, 여성성 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에 비하여, 북한사람들은 남녀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여, 여성이 여성성이 더 높고 남성이 남성성이 더 높았다. 남녀평등의식의 측면에서는 남한사람에 비하여 더 보수적이고 남성중심적인 가치관을 보였고, 그 중에서도 남성이 여성보다 더 보수적이었다. 가정생활, 직업생활, 사회문화생활의 영역에서 남성이 유의미하게 더 보수적이었고, 교육생활 영역에서만 차이가 유의미 수준에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남한사람과 비교했을 때, 남성들간의 차이보다는 여성들간의 차이가 훨씬 더 컸는데, 이는 남한여성들의 가치관이 진보적으로 변화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하였다. 북한사람들은 사회제도나 공적 조치에 대한 태도의 표명에서는 성평등적인 가치관을 표명하는 한편, 남녀의 바람직한 성격과 행동, 몸가짐이나 개인의 사생활 영역에 대해서는 매우 성차별적인 가치관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 외에도 연령, 학력, 결혼상태 등의 사회인구학적 변인들에 따른 북한사람의 성역할 특성과 남녀평등의식의 차이를 분석하고 앞의로 연구에서 다루어야할 주제들을 논의하였다.

Abstract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are the only available subjects today for an empirical study of gender role characteristics and gender egalitarianism of the North Koreans. One-hundred and fifty North Korean defectors, both female and male, and ages ranging from 14 to 62, answered a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Korean Sex Role Inventory and Korean Gender Egalitarianism Scale. The results revealed that North Koreans are more gender-typed in their gender role characteristics compared to South Koreans. Wome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femininity scores than men, and me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asculinity scores than women, whereas South Korean data do not show much difference between women and men. With regard to gender egalitarianism, North Koreans showed more conservative attitudes compared to South Koreans, and men were more discriminating than women. The difference between North and South, however, were greater for women than men, and it was attributed to the rapid value changes toward gender egalitarianism among South Korean women. A close look at the items that North Koreans strongly agreed to showed a tendency to express progressive attitudes mostly on formal and institutional issues, and to show conservative attitudes on personal and private issues. In addition, the effects of age, education, and marital status on the gender role characteristics and gender egalitarianism of the North Korea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한미정(서울여자대학교) pp.179-198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