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김기석(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75-86
초록보기
초록

조건화 학설에서 배경(context)의 중요성이 근년에 강조되어 온 바, 본 연구는 배경이란 고정불변적인 것이 아니고 연속변화적인 것으로 개념화 함이 합당할 것이라는 가정에서 잠재적 억제의 배경 특정성을 이용하여 배경의 가변성을 검증하였다. 즉, 토끼의 순막반응을 고전적으로 조건화하는데 있어서, 사전에 조건자극을 제시할 때의 배경과 후에 조건화를 할 때의 배경과를 동일ㆍ약간 차이ㆍ상당히 차이ㆍ완전히 차이 나게 하는데 따라 조건화의 속도가 따라서 변화함을 관찰하였다. 이런 결과는 조건화에 있어서 배경의 구성과 영향의 가변성을 지지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tried to demonstrate that the context specificity of latent inhibition in classical conditioning is a matter of degree rather than all-or-none phenomenon. Rabbit's nictitating membrane response (NMR) was selected for classical conditioning, and the congruence between the context of stimulus pre-exposure period and that of conditioning period was systematically varied in order to assess its effect on the speed of conditioning. Thirty male New Zealand rabbi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five groups: a control, a same context, a one-third different context, a two-third different context and a totally different context group (Context consisted of an olfactory, an auditory, a spatial, a temporal and two visual cues. Thus the one-third different context group, for example, means that the context of the conditioning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pre-exposure by two cues). Each subject except the control was, then, exposed to a randomly presented 1000-Hz tone 100 times under the respective context in each of three stimulus pre-exposure periods, after which 80 trials of conditioning were conducted in each of four conditioning periods. Results show that as the degree of congruence between the context of stimulus pre-exposure and that of conditioning decreased, the speed of conditioning increased accordingly. It is suggested that the results demonstrate a graded nature of context specificity of latent inhibition in particular, and that the structuring and influence of context upon conditioning be conceptualized in terms of graded scale rather than of all-or-none dichotomy in general.

손진훈(효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김기석(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87-95
초록보기
초록

스트레스 대응반응으로서 야기되는 무통(analgesia)은 아편성 체계와 비아편성 체계로 매개되는 바, 본 연구에서는 그런 스트레스인 전기충격의 제시방법에 따라 어느 체계가 개입되었는 지를 규명(naloxone 투여에 따른 무통의 차단 유무로 판정)하는 동시에, 뇌하수체 전엽 내분비계도 이같은 무통에 관여하는 지를 규명(dexamethasone 투여에 따른 무통의 차단 유무로 판정)하려 했다. 이를 위해 실험 I에서는 17분 30초의 간헐적 스트레스 조건에서 4가지 종류의 주사 처치를 각각 달리한 4 개의 집단(n=10)이 비교되었으며, 실험 II에서는 5분 연속 스트레스 조건에서 역시 4가지 종류의 주사 처치를 각각 달리한 4개의 집단(n=10)이 비교되었다. 실험 I, II의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1) 전기 충격의 시간이 길 때 아편성 체계가, 짧을 때는 비아편성 체계가 관여하며, 2)그같은 아편성 체계가 관여할 때는 β-endorphin과 ACTH가 분비됨으로써 내분비계도 스트레스로 유발되는 무통에 관여하며, 3) 스트레스에 반복 노출될 때는 무통에 대한 내성이 생겨 통반응은 정상 수준으로 되돌아 온다는 점이 밝혀졌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duration of electric foot shock is a critical factor to induce analgesia mediated by opiate and/or non-opiate system, whether analgesia by the opiate system is at the same time mediated by the anterior pituitary secreting ACTH and fl-endorphin and whether pain reactivity returns normal when the subjects experience the foot shock repeatedly. In Exp. I, 40 male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groups and intraperitoneally injected with naloxone, dexamethasone or saline, or pricked by the needle only respectively. All the animals were then subjected to footshock for 17.5 min. delivered under a 2-sec-on/5-sec-off paradigm, after which paw-licking latency on a hot plate was measured as an index of pain reactivity. 10 minutes later, the subjects again received the same patterns of the footshock, after which the latency was also measured. In Exp. II, new 40 male rats were employed and subjected to the same treatment as in Exp.I except that this time the footshock was delivered for 5 min. continuously. Results indicate that analgesia is mediated by the opiate system when the duration of footshock is relatively long (17.5 min. intermittent) and by the non-opiate system when it is relatively short (5 min. continuous), that the opiate system-mediated analgesia is simultaneously mediated by the anterior pituitary which is indicated by the fact that only under the same conditions antagonizing effects on analgesia of naloxone and dexamethasone took place, and that when the animal is repeatedly exposed to the footshock pain reactivity returns normal presumably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tolerance to analgesia.

김재일(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김기석(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96-1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같은 동물 種사이에서 미각 혐오학습이 사회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밝혀 보고자 하였다. 32 마리의 흰쥐를 性이 같은 것끼리 두 마리씩 쌍을 지어 16개의 공동 주거장에 한 쌍씩 수용한 후, 각 쌍에서 한 마리씩을 꺼내어 사카린용액을 섭취시킨 다음, 염화리튬을 주사하여 미각혐오를 학습시켰다. 미각혐오를 학습시킨 이 쥐들을 각기 원래의 공동 주거장에 다시 넣어 자기 짝과 일정기간 서로 사회적 접촉을 하도록 하였다. 그 후 미각 혐오학습을 직접 하지않은 그 짝들을 꺼내어 공동주거장과는 다른 검사장에서 사카린용액에 대한 혐오도를 측정하였다. 검사결과 미각 혐오학습을 시킨 쥐와 상호작용을 한 상대 짝들에게서도 그 사카린용액에 대한 혐오반응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전퉁적인 학습기제에 의한 고전적인 해석의 여지를 배제할 수 있는 특수한 실험절차를 통해 얻어진 것이기 때문에, 사회성 동물에 있어서의 종내 교신(種內交信;intraspecific communication)의 일종이라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사카린용액을 경험시킨 후 염화리튬을 주사하여 그 용액에 대해 미각혐오를 학습시킨 쥐는 동료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그 미각에 대해 학습한 정보를 그 동료쥐에게 전달해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at a learned taste aversion can be socially transmitted between conspecifics. Thirty-two albino rats were paired, each pair consisting of same-sex demonstrator and observer. In the experiment, observer rats interacted with conspecific demonstrators immediately after demonstrators consumed a novel tasting solution and were made ill by LiCl injection. Following their interaction with demonstrators, observers were tested for aversion to their ill demonstrator's solution. Analysis of the data showed that the observers as well as the demonstrators can develop aversion to the solution. These results were interpreted in terms of availability of communication between conspecifics in social animals like a rat.

최영주(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정찬섭(연세대학교 심리학과) pp.105-115
초록보기
초록

視覺的 단기기억의 腐蝕 및 試演假說을 검증하기 위하여 탐사재인기법이 도입되었다. 실험에 따라 각각 셋ㆍ다섯ㆍ일곱 개의 視覺的 刺戦이 계열적으로 제시되어 視覺的 記憧의 폭(memory span)의 효과가 조사되었다. 자극들은 세 가지 차원으로 변화되는 열두 개의 서로 다른 얼굴그림군 중에서 임의로 선정된 것이었다. 각 실험에서의 측정치는 탐사자극 직후에 제시된 목표자극에 대한 정확 재인율이었다. 실험결과, 재인율은 자극간격(Inter Stimulus Interval)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시각적 기억이 腐蝕되지 않을 뿐 아니라 試演되지도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간섭항목수의 증가는 재인수행율의 감소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것은 視覺的 短期記憶이 한정된 구조적 용량을 지님을 시사한다. 이같은 제한된 용량 효과는 세 실험들로부터 산출된 평균재인율의 비교를 통해서도 확인되었다. 대체로, 본 실험의 결과는 시각적 단기기억이 한정된 용량을 가지는 구조로서 특징지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 probe recognition technique was used to examine the decay vs. rehearsal hypothesis of the visual short-term memory. In order to test the effect of visual memory span, three experiments were performed, respectively with three, five, and seven serially presented visual stimuli. These stimuli were randomly sampled from a pool of twelve mutually distinguishable schematic faces varing along three stimulus dimensions. Dependent measure of the experiments was the rate of correct recognition for the target stimulus immediately following a probe stimulus. From the experiments, it was found that the rate of stimulus presentation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which implies that neither decay nor rehearsal of the visual memory may occur. Recognition performance became worse as the number of interfering items increased suggesting the effect of the limited structural capacity of the visual short-term memory. This effect of limited structural capacity was also confirmed in the comparison among the recognition performances from the three experiments. In general,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tructure of visual short-term memory can be characterized by its limited capacity.

이정모(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최상섭(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116-127
초록보기
초록

인과관계 문장들이 밀접히 연결된 응집성있는 표상을 형성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두 개의 실험이 실시되었다. 실험 I에서는 인과관계의 문장들이 비인과관계의 문장들보다 점화에 의한 재인 속도가 빨랐다. 실험 II에서는 실험 I에서 사용한 문장들의 인과관계 맥락을 제거하여 제시한 결과 인과관계 문장들과 비인과관계 문장들 사이에 점화량의 차이가 없었다. 이 결과들은 인과정보가 보다 응집성있는 표상으로서 저장된다는 가설을 지지해주었다. 전체적 결과가 처리 깊이(deeper processing)의 입장에서 재해석되었다.

Abstract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causally related sentences are represented in closely connected coherent unit. Experiment I showed that primed recognition of causally related sentences were faster than that of noncausally related sentences. Experiment II showed that this can not be attributed to the associative strength between the causally related sentences that existed prior to the experiment. These results were interpreted as supporting the 'closely connected coherent unit' view of causal information representation. The results were further interpreted in terms of a new 'deeper processing' framework.

Young-Shin Sung(Korea University) pp.128-141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effect of product familiarity on the dynamic aspect of consumer decision making is investigated in terms of Consumer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CIPS). The familiarity of a new product was investigated by actual experiences in a longitudinal study. The existence of various types of multiphase choice process was found in addition to the commonly assumed type of two phase process. An attempt to describe these choice process models and the decision rules in terms of several factors of CIPS was made.

이영애(이화여대 교육심리학과) pp.142-153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정보처리접근하에 문제해결 분야를 주도해 온 영역독립적 문제해결 연구와 새로운 움직임인 영역의존적 문제해결 연구를 비교하고, 특히 후자의 연구들을 방법론적 특징, 주요 결과와 그에 대한 설명, 갈등적 결과들과 쟁점 등에서 고찰한 다음, 그 방법론적 문제점들을 논의하였다. 영역의존적 문제해결 연구들이 아직 탐색단계에 있으므로 영역독립적 문제해결 연구가 사용해 온 방법론을 도입할 필요를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article compares domain-specific problem solving research with domain-independent problem-solving research which has been conducted under information processing approch to cognition. The domain-specific problem-solving research is examined in terms of its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major results and proposed explanations about them, conflicting results and potential issues. In particular, its methodological problems are discussed in detail. It is suggested that since domain-specific problem-solving research is still at the descriptive stage in revealing the nature of expert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the methodology of domain-independent problem-solving research should be utilized in this new resear area.

JUNG-HO KIM(KOREA UNIVERSITY) pp.154-166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Encoding Specificity Principle (ESP) and the related retrieval model (Synergistic Ecphoric Model of Retrieval) and assumption of the distinction between episodic and semantic memory. With the examination some difficulties with ESP and the related retrieval model and assumption are discussed.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