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양극구조에서 이원구조로 : 개인내 태도구조의 발달

From Bipolar Structure to Dual Structure: The Development of Attitude Structure.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1995, v.14 no.1, pp.1-32
이수원 (한양대학교 교육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태도 연구가들은 전통적으로 정적 태도와 부적 태도를 단일차원상에서 양극에 위치하는 것으로 개념화하여 왔다. 그리하여 이 두 태도를 서로 상반된 것으로서 상호 배타적인 것으로 보았다. 그런데 최근에 와서 정적 태도와 부적 태도가 서로 상반된 것이 아니라 독립적이라는 연구결과들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 두 태도의 관계가 양극적인가 또는 이원적인가에 관한 이와같은 논쟁이 태도대상을 바라보는 개인의 조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개인들의 조망이 축소되어 있을 때는 이 두 태도의 관계를 양극구조로서 표상하지만 조망이 확대되어 있을 때는 이원구조로서 표상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렇게 조망의 수준이 달라짐에 따라 태도대상을 지각하는 인식차원도 바뀐다고 가정하였다. 조망이 축소되어 있을 때는 태도대상을 평가적 의미차원에서 인식하지만 조망이 확대될 때는 서술적 의미차원에서 인식한다고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가정을 뒷바침하는 이론적 및 경험적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keywords

Abstract

Traditionally, positive and negative attitudes are conceptualized as falling on the opposite sides of an uni-dimensional evaluation scale. In other words, they are conceived as mutually exclusive aspects of the evaluation processes. Recently, however, a few relevant studies on this issue suggested that positive or negative attitudes are independently determined by the dual-dimensional evaluation processes. In the present paper, I argue that the nature of one's perspective determines whether an individual adopts an uni-dimensional evaluation process or a dual-dimensional one. When one's perspective is narrowly restrained, one's attitude is determined by an uni-dimensional evaluation process. In contrast, when one takes on an expanded perspective, he or she adopts a dual-dimensional evaluation process in determining his/her attitudes. The expansion of perspective also change the focal dimension of the evaluation process: from favorableness judgment to informative description. A critical review of relevant studies supports the argument.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