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청소년기 자아중심성 : 이론과 현상의 개관

The Adolescence Egocentrism : A Review of Theories and Phenomena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1995, v.14 no.1, pp.117-136
김인경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윤진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발달심리학 중 청소년 발달에 대한 많은 이론들 가운데 이시기의 전형적 발달적 특성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개념으로 사용된 청소년기 자아중심성(adolescence egocentrism)이 청소년 발달의 제 영역들(인지 및 사회인지발달, 심리역동, 자아개념 및 자아정체감, 적응 및 정신건강 그리고 가족관계 등의 사회체계)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경험적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정리하여 살펴보고, 그 관련성이 시사하는 바를 검토하고자 했다. 청소년기 자아중심성은 청소년기의 각 영역(인지, 심리역동, 성격, 자아개념, 정신건강 등)의 새로운 발달적 도약이 이루어지면서 이를 통합하여 개인의 총체적 능력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생긴 부산물이라 결론짓을 수 있었고 앞으로의 연구의 의문점 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Abstract

The adolescence egocentrism has been a durable and popular source of insights for explaining many typically observed adolescent behaviors. This study reviews various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ce egocentrism and developmental areas (the formal operation and role perspective taking / secondary individuation / self-image and ego-identity formation / adaptation and mental health et al). Thus, results imply that adolescence egocentrism is associated with the global developmental processes that integrate and reconstruct the more expanding abilities of each developmental areas during the adolescence.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