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실험불안과 스트레스가 평가와 관련된 자극의 처리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est Anxiety and Stress on the Processing of Test-related Stimuli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1996, v.15 no.1, pp.205-216
박정희 (경북대학교 심리학과)
김영환 (경북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시험불안과 스트레스가 평가와 관련된 자극의 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시험불안 수준이 높거나 낮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경험을 조작하기 위한 단어짜맞추기 검사와 평가와 관련된 자극의 선택적 처리 경향성을 살펴보기 위한 변형된 Stroop과제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시험불안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전반적으로 변형된 Stroop과제에서 더 많은 간섭을 보였으며, 시험불안이 높은 집단은 중립단어에 비해 평가와 관련된 단어(위협단어, 긍정단어)에 더 큰 색채명명 간섭을 보이는 경향은 있었으나 집단과 단어 유형간에는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시험불안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인지간섭을 더 많이 받음으로써 과제와 무관한 단서들과 반응들을 잘 분류하지 못함을 제안해 준다. 그러나 시험불안자들이 평가와 관련된 자극에 대해 선택적 처리를 한다는 것을 입증해주지는 못했다. 또한 스트레스와 단어 유형간에는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즉 긍정단어와 중립단어에 대한 색채명명의 간섭량은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위협단어에서는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색채명명에 더 많은 간섭을 일으켰다. 이는 시험불안 수준에 관계없이 높은 스트레스가 기억 속의 스트레스와 관련된 정보에 대한 인지적 표상을 활성화시켜 위협자극에 대한 선택적 처리를 일으키는 것으로 설명한다.

keyword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st anxiety and stress on the processing of test-related stimuli.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sixty university students with high or low test anxiety. In order to manipulate stress experience they received success or failure feedback through a anagram task. Subsequently a modified Stroop task was used to assess the selective processing of test-related stimuli in high and low test-anxious subje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High test-anxious subjects were slower in color naming all words than low test-anxious subjects, but anxiety groups x types of words interaction was not significant. Although there was only a nonsignificant tendency of selective processing of test-related stimuli in high test-anxious subjects, these results failed to demonstrate selective processing of test related stimuli in high test-anxious group. And also stress groups x types of words interaction was significant. High stress group subjects were slower in color naming threat words than low stress group subjects: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color naming positive words and neutral words was not significant. This result suggested that a stressful experience directly primed cognitive representations of threat in memory, and this activation then resulted in selective processing of threat stimuli in the environment.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