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조직 변화의 평가 : 자기보고 반응과 효용성 분석

Assessing Organizational Change: Analysis of Self-Reported Responses and Utility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1997, v.16 no.1, pp.120-138
서용원 (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논문에서는 조직에서 변화를 꾀하기 위하여 시도한 조직 개발이나 훈련 프로그램들이 과연 긍정적인 변화를 초래하였는지를 평가하는 작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그러한 조직 변화의 평가 방법들에 관한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개관하였다. 먼저 조직 변화 평가에 관한 접근들을 자기보고식 반응치로 변화를 측정하는 경우와 변화의 결과를 금전적 가치로 표현하는 경우의 두 가지로 개념화하여, 각각의 경우에서 의미하는 평가의 개념을 정교화하였으며, 이들을 평가하기 위해 제안된 여러 가지 평가 방법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자기보고 반응을 통해 변화를 측정하는 경우에 변화의 의미는 알파, 베타, 감마 변화로 달라진다는 Golembiewski등 (1976)의 분류에 따라 제안된 요인일치도법, 이상준거법, 과거평정법, 구조식 모델링 분석 방법들을 비교 검토하였으며, 효율성 분석을 위해 제안된 직무수행 차이의 표준편차 단위(Dt) 및 화폐가치로 산출된 직무수행의 표준편차 단위(SDy)의 추정방법들을 비교하였다. 끝으로 각기 다른 방법들에 대한 비판점 및 적용상의 제한점들에 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an attempt to critically review research on various evaluation methods to assess organizational change. It was first emphasized to study whether an organizational change intervention has resulted in positive impact to the organization. Various approach to assess organizational change was categorized into two broad types; analysis of self-reported responses and analysis of intervention utility. Comparative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coefficients of factor congruence method, ideal score method, retrospective measure method,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hich were proposed to measure alpha, beta, and gamma change, as conceptualized by Golembiewski et al. (1976). In addition, various methods to evaluate monetary utility of organizational change were comparatively analyzed. Finally, limitations and applicability of various methods were discussed.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