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난독증의 이해 : 난독증의 분류와 평가

Toward Understanding Dyslexia :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of dyslexia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1998, v.17 no.1, pp.1-24
이홍재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김미라 (고려대학교 행동과학 연구소)
남기춘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논문에서는 난독증이 어떻게 분류되며, 각 난독증은 기존의 단어 재인 모형에서 어느 부분의 부적절한 정보처리 때문에 나타나는가를 살펴 보았다. 또한 현대 인지신경심리학에서 어떤 연구 논리 하에 연구가 진행되는 가를 논했다. 난독증은 선천적 장애에 따른 발달성과 사고 전에는 정상이었지만 사고 후 뇌 손상으로 인한 후천성 난독증으로 대분된다. 본고에서는 후천성 난독증을 주로 다룬다. 후천성 난독증은 언어정보처리와 직접적인 관련성이 적은 주변성 난독증과 언어정보처리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중심성 난독증으로 나뉜다. 주변성 난독증은 무시, 주의성, 낱자단위읽기 난독증으로 분류되며, 중심성 난독증은 표충성, 음운성, 심층성 난독증으로 분류된다. 주변성 난독증과 중심성 난독증의 연구 결과는 단어 재인 과정이 물리적 문자열 자극을 인간 언어 정보처리기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언어 표상으로 변환하는 정보처리 과정과 어휘 접근 정보처리 과정으로 분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중심성 난독증이 음운성 난독증, 표충성 난독증, 심층성 난독증으로 분류된다는 것은 어휘 접근을 위한 경로가 어휘 경로와 음운재부호화 경로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인지신경심리학에서는 난독증을 평가하고 난독증의 원인을 세부적으로 분류하기 위해 인지신경심리학적 연구 방법과 신경언어학적인 연구 방법을 사용한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 방법은 정상인의 결과에 근거한 단일 사례 연구, 단원성, 해리와 연합, 신경학적 특정성, 투명성 등의 연구 논리와 개념에 기초한다. 현재까지 개발된 난독증 평가 도구는 주로 읽기 과정의 질적인 차이를 밝히는 것이지만 좀더 세밀하게 난독증의 원인을 찾아내기 위해서 는 현대 인지신경심리학에서 사용하는 연구 방법과 개념에 기초하여 정보처리 과정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Abstract

This paper was designed to classify the symtoms of dyslexia according to the previous word recognition model. Also, research assumptions used in the study of dyslexia within modem cognitive neuropsychology are discussed. Dyslexia is divided into the developmental and acquired dyslexia. The developmental dyslexia comes from genetic disorder, whereas the acquired dyslexia is due to brain injury. The acquired dyslexia is further divided into peripheral, which does not have a direct relationship with linguistic process, and central, which is directly associated with lexical processing. This paper mainly deals with the acquired dyslexia. The peripheral dyslexia involves the neglect, attentional, and letter-by-letter reading dyslexia, whereas the central dyslexia consists of the surface, phonological, deep, reading without meaning dyslexia.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peripheral and central dyslexia show that the word recognition process consists of the early perceptual processing and the central lexical processing. Furthermore, the existence of phonological, surface and deep dyslexia suggests that written words are named through dual routes: the lexical and phonological-recoding routes. In classifying and evaluating dyslexia, the cognitive neuropsychological and neurolinguistic approaches are employed. These approaches are based on the research logic and concepts, such as, single case study, modularity, dissociation and association, neurological specificity or isomorphism, and transparency. The test tools developed to evaluate dyslexia are mainly based on the off-line tasks, such as, BAE, SORT, NART, WART, COWA, BNT, PPVT, and Token Test. However, in order to examine the more detailed processing deficits in dyslexia, the online tasks based on human language information processing should be developed.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