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주관적 연령지각과 관련요인에 관한 개관

A Review of Subjective Age Perception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00, v.19 no.1, pp.61-78
윤유경 (공군사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연령의 대안적 개념으로서 주관적 연령을 제시하고 있다. 주관적 연령이란 자신의 생활 연령과 관계없이 자신이 스스로 지각하는 연령이다. 주관적 연령은 건강, 가족구조, 사회경제적 지위, 취업상태, 소비자 행동 등을 반영한다. 그러므로 생활 연령보다 개인의 내적 상태를 더 잘 나타내기도 한다. 본 연구의 접근방법은 연령을 자기지각의 차원에서 분석하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인간발달에서 이러한 주관적 연령지각의 양상은 사회적으로는 이상적 연령을 기준으로 그 특성이 나타나며, 개인적으로는 자아 존중감이나 지능 등과 관련되어 심리적 기능을 내포하는 의미이기도 하다.

keywords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attempted to find out mechanisms and correlates of subjective age percep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dividuals in their teen hold older subjective age identity, whereas during the early adult years, individuals maintain same age identities. Across the middle and later adult years, individuals report younger age identities. Discrepancies between subjective and actual age are associated with better psychological functioning. Second, discrepancies between subjective and actual age are associated with personal attitude of aging and ideal age. Third, adults with younger age identities report higher self-esteem and better verbal scores than adults with accurate or older age identity, suggesting that subjective age identity is an important predictor to psychological function. Fourth, self-esteem mediate age segmentation. Assigning positive meaning to age segmentation promotes age identification. Fifth, age perception is associated with traditionality, venturesomeness, homebodiness, and price sensitivity.

keywords
투고일Submission Date
2000-08-03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