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일과 가족 갈등의 통합모형: 선행변인, 결과변인과의 관계

The Integrated Model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elations of Work-Family Conflicts, Antecedents and Outcome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00, v.19 no.2, pp.1-42
이은희 (전남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설정한 일과 가족 갈등의 선행변인들 및 결과변인들과의 관계성과 일과 가족갈등의 유입효과가 맞벌이 남성, 맞벌이 여성, 외벌이 남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맞벌이 남성 205명, 맞벌이 여성 269명, 외벌이 남성 229명을 대상으로 하여 LISREL 8을 활용한 공변량 구조 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모든 집단에서 일과 가족 갈등간의 상호 유입효과가 확인되었으며, 유교적 근로가치가 가족→일 갈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맞벌이 남성들의 가족→일 갈등의 주 갈등원은 부부갈등이며, 일→가족 갈등의 주 갈등원은 직무과부하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 갈등들이 일과 가족 갈등을 매개로 삼아 탈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맞벌이 여성들의 가족→일 갈등의 주 갈등원은 부부갈등이며, 일→가족 갈등의 주 갈등원은 직무과부하와 직무역할 갈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 갈등들이 일과 가족 갈등을 매개로 삼아 탈진을 증가시키고 조직몰입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외벌이 남성들의 가족→일 갈등의 주 갈등원은 부부갈등과 경제적 갈등이며, 일→가족 갈등의 주 갈등원은 직무과부하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 갈등들이 일과 가족 갈등을 매개로 탈진을 증가시키고 조직몰입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직차원의 제반 기혼직장인들의 일↔가족갈등의 예방을 위한 제언을 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방향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keywords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 between antecedents and outcomes of work↔family conflicts of married employees. 205 males from dual employed couples, 269 females from dual employed couples and 229 single male wage earners participated. The differences of spillover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s by males and females of dual employed couples and single male wage earners were examined. Data were analysed via structural equation models using LISREL 8. According to the results, mutual spillover effects existed in every group and Confucian work value decreased the family→work conflicts. Marital conflicts were the main source of family→work conflicts and job overload was the chief source of work→family conflicts in the male group of dual employed couples. These conflicts increased burnout when work-family conflicts were used as a mediator. Marital conflicts were the main source of family→work conflicts and job overload and job ambiguity were the main sources of work→family conflicts in the female group of dual employed couples. These conflicts increased burnout and decrease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en work-family conflicts were used as a mediator. Marital and economic conflicts were important sources of family→work conflicts and job overload was the main source of work→family conflicts in the single male wage earners. These conflicts increased burnout and decrease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en work-family conflicts were used as a mediator. Suggestions were made to decrease work↔family conflicts of married employees in organizational setting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keywords
투고일Submission Date
2000-09-23
수정일Revised Date
2000-11-03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00-11-28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