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묵시지 요인추출을 위한 2 단계 방식 : 고등학생 자료에 응용

A two-step approach to extract tacit knowledge factors: Application to high school student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00, v.19 no.2, pp.123-149
이순묵 (성균관대)
김아영 (이화여대)
조영미 (이화여대)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최근에 묵시지 연구가 활기를 띄고 있다. 인지심리학에서는 기초 연구에 많은 기여를 해왔고, 이제 응용분야에서 활용하고 있는 단계이다. 묵시지에 관한 연구는 교육장면에서는 학생의 훈련에, 산업장면에서는 조직관리는 물론이고, 특히 인적자원관리에서 선발, 수행의 예측, 및 인적자원 개발에 중요한 시사를 갖는다. 이러한 묵시지의 범주에 대해서는 그동안 여러 가지 방식으로 제시되어 왔으나, 정작 경험자료에서 구체적으로 요인을 추출해 본 적은 없다. 그것은 묵시지검사들이 여러 개의 시나리오를 사용하고 있고 그 시나리오들 아래에 다수의 행동대안들이 문항으로 주어지는 검사인 것이 큰 이유가 된다. 시나리오 및 그에 딸린 문항들은 하나의 소검사가 된다. 따라서 한 문항의 점수는 시나리오의 효과와 내용효과가 혼재된 상태의 점수이므로 소검사내 구조를 고려함이 없이 전체문항을 동시에 분석하는 것에는 문제가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그런 경우에 도움이 될 2단계 접근법을 제시한다. 즉, 1단계로서 각 소검사에서 시나리오 효과를 제거한 잔차화점수를 사용해서 탐색적으로 묵시지요인을 추출한다. 2단계에서는 원자료로 돌아가서 앞서의 묵시지구조를 잠정적으로 고정하고 방법요인(예: 시나리오 디자인시의 요인들)을 분석한다. 방법요인의 분석이 끝난 후 다시 묵시지구조를 다듬는다. 이 방법을 고등학생 자료에 응용하여 5개의 묵시지와 1개의 방법요인을 추출하였다.

keywords

Abstract

Recently there has been much interest in the research of tacit knowledge. For the field of education, tacit knowledge has implications for training students. For industrial area, tacit knowledge(TK) has a lot of implications for selection, performance, and training as well as organizational development. Although the categories of TK have been presented in many forms, there has never been an attempt of extracting TK factors from the empirical data. That is partially because TK inventories are usually tests constructed of multiple testlets. If a test is constructed of testlets, one must take into account the within-testlet effect before doing statistical operations using the data. We propose a two-step approach for factor-analyzing the data of a test constructed from multiple testlets. We demonstrate 5 TK factors and 1 scenario factor by the application of the approach to high school boys' data.

keywords
투고일Submission Date
2000-06-12
수정일Revised Date
2000-11-13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00-11-28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