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심리구조이론의 동서비교

COMPARISON OF EAST AND WEST IN PSYCHOLOGICAL CONSTRUCT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1976, v.2 no.2, pp.68-79
鄭良殷(Yang Eun Chung) (서울大學校 心理學科)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人間心性이 여러 次元으로 되어 있다고 前提한다. 觀念으로 構成되어지는 人間의 意識의 次元이 있다. 聯想主義心理學이나 構成主義心理學은 이 次元의 人間心性에 관한 硏究에 注力했다. 그러나 觀念은 對象에서 即刻的으로 주어지는 것은 아니나. 對象에서 얻는 直接經驗에서 構成되어진다. 이 直接經驗에 관한 分析을 形態主義 心理學이나 現象學에서 試圖했다. 人閭心性의 이 두個 次元은 主로 心理構造에 관한 西洋思想의 關心의 焦點이며 그 由來는 認識論의 問題에서 出發했다. 東洋에서는 認識論의 問題는 人間心性의 本質을 把握하는 것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오히려 客觀世界와 關係 없는 純粹한 存在로서의 人間心理의 次元을 追究했다. 즉 自我 또는 Self를 問題삼았다. 이것이 人間心性의 第三의 次元이다. 佛敎는 認識이 虚構일 뿐만 아니라 Self도 虛構임을 主張한다. 그러므로 認謙과 關係되는 모든 人間心性의 次元들 뿐만 아니라 自我의 次元의 人間心性도 否定한다. 그 다음에 남는 人間存在의 次元을 問題 삼았다. 이것을 第四의 人閊心性의 次元이라 하겠다. 西洋에서는 東洋思想을 神秘的이고 主觀的이라 하며 東洋에서는 西洋思想을 客觀的이고 自我異邦的 이라고 한다. 人間理解는 이 모든 次元에서의 人間의 存在를 把握하므로서만 可能하다.

keywords

Abstract

It is postulated that human mind can be viewed as consisting of several facets or layers. One facet of them would be composed of ideas which constitude fundamental units of mind. Interest of gestalt psychologists and phenomenologists was addressed to percept, phenomenon, or gestalt by analysing the organization process of outer stimuli which, they believed, constitute the basis of idear formation. Those two facets seemed to be the main concerns of Western psychology and philosophy with respect to human mind. In the stream of Oriental thoughts, however, outer influences on mind were neglected. Therefore, Oriental schools attempted to directly grasp the core of the whole human affairs which control human activities. In this connection, a third layer of human mind, which might be called the layer of the self, could be postulated. One common concern of confucianism, Hindu psychology and other Oriental tradition is to realize the self through meditation. On the contrary, Buddhism does not accept the validity of human cognition and the self itself. In Buddhism the only reality of human existance is the subjective behavior, which might be viewed as a fourth layer of mind,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