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생쥐에 있어서 사회적고립 성장이 성숙후의 정서행동과 사회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cial Isolation on Later Emotionality and Social Behavior in Mice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1979, v.2 no.3, pp.149-158
張鉉甲(Hyoun Kab Chang)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車載浩(Jae-Ho Cha)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A혈통의 생쥐(Mus Musclus) 숫컷에서 어린시절 고립성장이 성숙후의 정서성과 사회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생후 21일째 각 어미에서 숫컷 2마리씩을 무선으로 뽑아 고립사육군과 집단사육군으로 무선적으로 배치하였다. 고립군은 70일간을 다른동료와 접촉없이 고립적으로 자랐으며, 집단사육군은 다른 어미에서 나온 낮선 2 마리와 짝을 지어 동일기간 자랐다. 생후 91째 정서 성과 사회성 실험을 행하였다. 정서성은 사육상자에서 사회성실힘을 위해 Open-field로 동물을 옮기는 동안 잠깐 동안 머물렀던 관찰 상자에서 행하였다. 관찰상자에 있는 동물의 잔등이를 막대기로 찔렀을때와 관찰상자의 동물을 붙잡아 옮길때 보이는 각종 정지반응 출현 유무를 정서성으로 계측했다. 고립사육군은 집단사육군에 비해 공격적 반응 물어뜯기의 반응을 더 많이 보였으며 도망가는 반응은 적게 보였다. 사회성실험장면인 Open-field에서는 고립사육군이 집단사육군에 비해 움직이는 반응을 많이 보인 반면, 가만히 앉아있는 반응을 적게 보였으나 낯선동물에게나 신기한 장난감에 접근하는 행동에는 차이가 이었다. 두 실험장면에서 고립사육군은 집단사육군에 비해 배변반응을 더 많이 보였다. 이 결과는 어린시절 고립성성이 성숙 후의 정서성을 높힌다는 이전 연구결과들과 일치되지만 고립성장 생쥐가 위협적 자극에 도망을 적게 가고 낯선장면에서 더 활동적이란 사실은 이를 동물의 공포가 집단성장한 동물에 비해 적을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암시하기도 한다. 공포가 적기 때문에 군집행동에 차이가 없을 수도 있다는 입장을 논의 하였다.

keywords

Abstract

The effect of rearing in isolation on later emotionality and social behavior was studied using A strain male mice (Mus Musclus). Twenty-four mice were separated from own litters on the 21st day of life and reared in isolation for 70 days before they were tested for emotionality and social behavior. Another group of 24 mice were separated on the 21st day of life and henceforward reared in pairs before they were tested on the 91st day of life. The mice were observed in two situations, while they were in the observation cage in which they were carried to the open-field test apparatus from home cages and while they were released in the open· field test apparatus. In the brief duration in which the m ice were placed in the observation cage, more of the isolation-reared mice responded with tale-rattling and fewer of them showed running away response than the control group when prodded with a rod, and a greater number of the former animals showed defecation response while being held in the cage than the other group. The isolation reared mice also showed fewer escape response, and more biting response to being picked up by hand. In the open-field situation, the isolation-reared group tended to roam more freely than the group-reard group, but the two did not differ from each other in its approach response to another mouse which was kept in a corner of the test apparatus as a possible instigating stimulus of affiliation response from the subjects. The results generally agree with the findings of other studies that being reared in isolation from other animals early in life heighten emotionality in mature animal. But the fact that the isolated mice showed less tendency to escape from the threatening stimulus and a greater tendency to locomote freely in a novel situation seems to imply that in spite of heightened emotionality, in the case of mice, at least fear is somehow inadequately developed. Lack of fear possibly explains why the isolation-reared mice did not show greater affiliative response despite their early social deprivation experience.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