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청소년 범법자의 특별지위인정에 대한 심리학적 근거

Psychological analysis of diversion policy for juvenile offender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02, v.21 no.2, pp.1-32
양계민 (중앙대학교)
김의철 (중앙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 범법자의 특별지위 인정에 대한 사회적인 논쟁에 대하여 심리학의 이론적 경험적 연구를 고찰하고 대안을 제안하고자 수행되었다. 형법상 청소년들은 발달이 덜 된 미숙한 존재라는 인식과 아직 인격이 완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교정이 용이하다는 두 가지 이유로 심각한 범죄행위에도 불구하고 성인과 같은 법적 책임을 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청소년 범죄의 양상이 흉폭화 저연령화 됨에 따라 청소년의 심각한 범죄행위에 대해서 연령이 어리다는 이유로 처벌을 하지 않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는 사회적 여론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관련된 문헌을 검토해본 결과 법철학적 입장과 심리학의 이론들은 청소년들의 심리적 미성숙을 가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실증적인 연구 결과는 청소년이 실제로 성인에 비하여 인지적, 사회적으로 미숙하다는 근거를 일관되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교정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전환정책(conversion policy)의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 역시 일관되게 효과적이라거나 비효과적이라는 결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청소년 범법자에 대하여 특별지위를 인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는 단순히 어떤 것 하나를 선택해야 할 문제가 아니고 국가정책 수립과정에서 두 입장 모두를 합리적으로 수렴시킬 필요가 있는 문제이며, 합리적인 문제해결을 위하여 좀 더 심도 깊은 다수의 관련 연구들이 심리학계에서 요구되는 문제라고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의 주요 논쟁에 대한 저자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청소년의 특별지위, 선도정책, 불처벌 원칙

Abstract

This article provides a psychological analysis of the diversion policy, which gives a special status to juvenile offenders under the umbrella of the juvenile justice system. The juvenile justice system was created on the premise that juvenile offenders do not fully grasp the nature and consequence of their actions, that they are much more amenable to rehabilitation, and hence the juvenile justice system focuses on rehabilitation of juvenile offenders than punishment. In recent years, with the increased violence, incidence, and severity of the crimes committed by juvenile offenders and the age in which violent crimes are being committed by adolescents steadily decreasing, many have questioned the validity of the assumption and viability of the juvenile justice system. The critics charge that the arbitrary age definition of a juvenile is no longer tenable since children mature much more quick and the violent nature of their crimes suggests that they may not be amenable to rehabilitation. Review of the existing legal and psychological literature suggests that the previous assumption that juvenile offenders cannot fully grasp the nature and consequence of their action is not fully supported by empirical evidence. The current literature fails to provide conclusive evidence that juveniles are cognitively and socially immature and they are unable to understand the nature and consequence of their actions. The outcome of the conversion policy that focused on rehabilitation of juvenile offenders is inconsistent, show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results. With the mixed results, it is important to re-examine the fundamental premise and viability of the present juvenile justice system. It is necessary to modify the policy based on theoretically grounded, conceptually valid, and empirically supported research. Implications of the developing a rational and scientifically grounded legal system for adolescents that takes into account psychological research will be discussed.

keywords
Juvenile justice system, diversion policy, adolescents crime
투고일Submission Date
2002-09-15
수정일Revised Date
2002-12-03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02-12-06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