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발달심리학의 연구대상에 대한 과학철학적 탐색: 발달현상의 연구와 발달적 맥락의 의미

Developmental context is not an object of thought, but a thought in itself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03, v.22 no.1, pp.1-17
황상민 (연세대학교)
김도환 (중앙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한국사회에서 발달심리학의 주된 연구대상은 무엇일까? 인간발달에 대한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사실의 발견일까, 아니면 한국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행동과 사고의 변화에 대한 심리학적인 탐색일까? 한국사회의 발달심리학은 한국인의 심리와 발달현상을 탐색하기보다는 보편적인 인간의 발달현상을 한국인 피험자를 대상으로 하여 탐색하였다. 이렇듯 일반적인 발달현상을 한국인을 통해 연구하면서, 한국인의 행동과 사고의 변화는 고려하지 않는 상태였다. 이것은 특정 사회 속에서 발달심리학이 자신의 정체성을 어떻게 규정하면서 어떤 연구활동을 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발달심리학의 주된 연구대상이 되는 ‘발달적 변화’나 ‘발달 현상’은 그것이 일어나는 맥락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한국인의 발달 내용과 속성에는 한국사회라는 맥락이 작용한다. 실험실 맥락 만을 고집하였던 한국심리학의 전통적인 연구를 고려해 본다면,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발달 현상을 탐색하려는 노력은 발달심리학 연구 방향의 전환을 의미한다. 이것은 한편으로 전통적인 심리학 연구에서 채택되어 왔던 변인 중심적 접근보다, 각 개인을 조직화된 전체로 보고 그 변화와 적응의 과정을 살펴보려는 개인 중심적 접근의 도입이다. 일반적으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로 구분되는 단순한 이분법을 넘어서 연구문제와 내용이 맥락 속에서 어떤 타당성을 가지는가를 고려하는 발달심리학의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발달심리학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새롭게 재고시킬 것이다. 또한 이런 변화의 과정은 발달심리학 연구가 한국인이 경험하는 구체적인 발달문제를 해결하고 또 발달을 촉진시키거나 변화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발달적 변화, 발달적 맥락, 사회문화적 맥락, Developmental change, Developmental context, Socio-cultural context, Developmental change, Developmental context, Socio-cultural context

Abstract

The Developmental psychology in Korea has limited itself in the area of child studies, so that it could not identify the developmental phenomena in Korean socio-cultural context. This issue is directly related to the identity of developmental psychology in Korean society which seeks to scrutinize the formation and change process of mind in the society. The developmental change means the integrated phenomena of the content and nature of developmental change. The content of developmental change is intrinsic to the context in which the change occurs, so that the developmental research has to deal with the developmental issues in Korean social context. The framework to study the developmental phenomena in context has set up by distinguishing the content and nature of developmental change. It is also to look for the person-centered approach rather than to pursue the variable centered approach. If the developmental psychology has to take its place in Korean society, it will be dependent upon not by the methodological rigidity, but by the social impact validity.

keywords
발달적 변화, 발달적 맥락, 사회문화적 맥락, Developmental change, Developmental context, Socio-cultural context, Developmental change, Developmental context, Socio-cultural context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