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금기어(禁忌語) 분석을 통한 한국인의 심층심리 탐색

An Investigation of Korean's Deep Psychology Reflected in Tabooed 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03, v.22 no.1, pp.45-61
박정열 (중앙대학교)
최상진 (중앙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고는 금기(禁忌)가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 생생하게 살아있는 문화적인 현상이며, 심층적인 한국인의 심리를 이루는 바탕이 된다는 판단 하에, 금기어 분석을 통해 한국인의 심층심리를 파악해보았다. 그 결과를 보면 전체 금기어 중에서 인간생활과 관련된 금기어가 가장 많았으며, 꿈, 동‧식물, 그리고 자연과 관련된 금기어들 순이었다. 전체 금기어의 내용 중에서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했던 인간생활과 관련된 금기어들은 의식주, 가재도구, 통과의례, 시간, 신체부위, 질병, 대인관계, 남녀, 인물 등과 관련된 금기어들이었다. 그러나 이 중에서 특히 의식주와 통과의례에 관련된 금기어들이 단연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금기어의 후반 주절부 분석을 통해 과거 사람들이 인생에서 얻고자했던 가치를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것들로는 무병장수, 풍요로운 삶, 자연과 순리에 따르는 삶, 그리고 화목한 가정과 관련된 것이 주종을 이루었다. 끝으로 이러한 금기가 오늘날 일반인들의 심리 속에 반영된 현상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금기어, 내용분석, 한국인, 심층심리, tabooed words, contents analysis, Korean, deep psychology, tabooed words, contents analysis, Korean, deep psycholog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orean's deep psychology reflected in tabooed words. The materials of this study were 625 Korean tabooed words. Contents analysis was administered and the major categories were extracted. The finding showed that human life, dream, animal/plant, and nature were the main theme of taboo. Especially human life related tabooed words were the most frequent. More specifically, the tabooed words related to human life were mainly about clothes/food/habitation, household effects, rite of passage, time, body, disease, human relationship, sex, and person. The tabooed words related to clothes/food/habitation and rite of passage were found more frequently than any others. In addition, contents analysis was administered on the consequences of breaking the taboo. Finally, all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Korean culture.

keywords
금기어, 내용분석, 한국인, 심층심리, tabooed words, contents analysis, Korean, deep psychology, tabooed words, contents analysis, Korean, deep psychology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