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주체성-대상성 자기와 긍정적 환상의 관계에 관한 한일비교 연구

A Comparison of Positive Illusions in South Koreans and Japanese: Subjective Self and Objective Self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09, v.28 no.1, pp.115-146
이누미야요시유키 (서정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논문에서는 한국인과 일본인 사이에서 폭넓게 드러난 자기평가의 차이를 조명함으로써 자기에 관한 긍정적 환상의 문화차를 상호독립적-상호협조적 자기관에 의해 설명하려는 기존 이론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긍정적 환상의 문화차를 설명하는 대체 모델인 주체성-대상성 자기 이론을 한국대학생과 일본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일본인을 대상으로 주체성-대상성-자율성 자기 척도의 교차타당화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주체성-대상성-자율성 자기 척도는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사용가능한 타당한 척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이론적 예상대로 한국인이 내면화한 문화적 자기관은 주체성 자기이고 일본인이 내면화한 문화적 자기관은 대상성 자기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한국인의 경우도 일본인의 경우도 허구적 독특성, 지각된 통제감, 비현실적 낙관성과 같은 긍정적 환상은 실제로 개인이 내면화한 주체성 자기와 정적 상관이 있고 대상성 자기와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대인관계의 분리-연결 차원뿐만 아니라 대인관계에서 영향력의 방향성 차원을 추가한 주체성-대상성-자율성 자기 이론은, 한국인과 일본인이 보이는 긍정적 환상의 문화차를 일관되게 설명함으로써, 심리적 과정과 사회적 행동의 문화적 다양성을 보다 정확하게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문화적 자기관 이론으로서의 일정한 타당성과 유용성을 구비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한일 비교 성격론의 정교화 및 확장을 시도하기 위해 자기평가 이외의 심리과정에 대해서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한국인의 주체성 자기와 일본인의 대상성 자기 형성의 가정적 및 사회문화적 배경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keywords
긍정적 환상, 주체성-대상성 자기, 허구적 독특성, 지각된 통제감, 비현실적 낙관성, self-construal, subjective self, objective self, positive illusions, self-enhancing biases, self-construal, subjective self, objective self, positive illusions, self-enhancing biase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an alternative model of cultural self-construals which can explain the differences in self-perception between South Koreans and Japanese. Traditionally accurate perception of self has been regarded as essential to mental health, but some researchers argue that positive illusions (or self-enhancing biases) are general characteristics of human thinking. Self-enhancement is one of the most reliable findings in Western cultures. However, many cross-cultural studies have found little or no such biases in Japan. Therefore, it has been argued that the cultural differences in self-perception reflect cross-culturally divergent view of self as independent (in European American cultures) or as interdependent (in Asian cultures). But this perspective cannot explain the positive illusions that South Koreans hav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d an alternative model of cultural self-construals: the subjective self of South Koreans vs. the objective self of Japanese. As required for theoretical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self-construals, we found that subjective self-construals were dominant in South Koreans(n = 158) and that objective self-construals were more pronounced in Japanese(n = 131). Also, as we had anticipated, South Koreans showed significantly more false uniqueness, perceived control, and unrealistic optimism than Japanese, and these positive illusions were related to stronger subjective self-construal and weaker objective self-construal for both South Koreans and Japanese. Therefore, we concluded that South Koreans show positive illusions because of their strong subjective self-construals and weak objective self-construals, whereas Japanese show weak or no positive illusions because of their weak subjective self-construals and strong objective self-construals.

keywords
긍정적 환상, 주체성-대상성 자기, 허구적 독특성, 지각된 통제감, 비현실적 낙관성, self-construal, subjective self, objective self, positive illusions, self-enhancing biases, self-construal, subjective self, objective self, positive illusions, self-enhancing biases

참고문헌

1.

김동직, 한성열 (1998). 개별성-관계성 척도의 제작과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2(1), 71-93.

2.

김혜숙 (1995). 귀인상황의 공개성과 (집단)자아존중이 자기고양 귀인과 집단고양 귀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9(1), 45-63.

3.

박영숙 (1990). 자아방어 진단검사 표준화 예비연구. 이화의대지, 13(3), 233-242.

4.

윤운성 (2001). 에니어그램 성격유형검사의 개발과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15(3), 131-161.

5.

이규태 (1977). 한국인의 의식구조. 서울: 문리사.

6.

이누미야 요시유키 (2004). 한일 비교 성격론. 인본연구, 11, 101-124.

7.

이누미야 요시유키, 김윤주 (2006). 긍정적 환상의 한일비교: 주체성 자기와 대상성 자기에 의한 설명.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0(4), 19-34.

8.

이누미야 요시유키, 최일호, 윤덕환, 서동효, 한성열 (1999). 비현실적 낙관성(unrealistic optimism) 경향에 있어서의 비교 문화 연구: 상호독립적-상호협조적 자기관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3(1), 183-201.

9.

이누미야 요시유키, 한민, 이다인, 이주희, 김소혜 (2007). 주체성-대상성-자율성 자기 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2), 17-34.

10.

이훈구 (1980). 내외통제성: 한국 초, 중, 고등학생의 내외통제 경향성, 학생생활연구, 제5집(충북대학), 41-51.

11.

임희섭 (1994). 한국의 사회변동과 가치관. 서울: 나남.

12.

정남운 (2004). 대인관계 원형모델에 따른 한국판 대인관계 형용사척도의 구성.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1), 37-51.

13.

정욱, 한규석 (2005). 자기고양 현상에 대한 조절변인으로서 자존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1), 199-216.

14.

조긍호 (2002). 문화성향과 허구적 독특성 지각 경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6(1), 91-111.

15.

조긍호, 명정완 (2001). 문화성향과 자의식의 유형.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11-139.

16.

조선영, 이누미야 요시유키, 김재신, 최일호 (2005). 한국과 일본에서 상호독립적-상호협조적 자기관이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공적자기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4), 49-60.

17.

차재호, 정지원 (1993). 현대 한국 사회에서의 집합주의.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7(1), 150 -163.

18.

천수성 (1992). 일본어뱅크 日本語 중급. 서울: 일본어뱅크.

19.

최상진 (2000). 한국인심리학. 서울: 중앙대학교출판부.

20.

한규석 (2002). 사회심리학의 이해. 서울: 학지사.

21.

한규석, 신수진 (1999). 한국인의 선호가치 변화: 수직적 집단주의에서 수평적 개인주의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3(2), 293-310.

22.

伊藤忠弘(이토 타다히로) (1999). 社會的比較における自己高揚傾向: 平均以上効果の檢討. 心理學硏究, 70(5), 367-374.

23.

吳善花 (1992). 新スカートの風: 日韓あわせ鏡の世界. 東京: 三交社

24.

鎌原雅彦(감바라 마사히코), 樋口一辰(히구치 가즈토키) (1987). Locus of Controlの年齡的變化に關する硏究. 敎育心理學硏究, 35(2), 177-183.

25.

北山 忍(기타야마 시노부) (1998). 自己と感情: 文化心理學による問いかけ. 共立出版株式會社.

26.

高田利武(다카타 토시타케), 大本美千惠(오오모토 미치에), 淸家美紀(세이케 미키) (1996). 相互獨立的-相互協調的自己觀尺度(改訂版) の作成. 奈良大學紀要, 24, 157-173.

27.

高野陽太郞(타카노 요우타로우, 纓坂英子(오사카 에이코) (1997). “日本人の集團主義”と“アメリカ人の個人主義”: 通說の再檢討. 心理學硏究, 68(4), 312-327.

28.

土居健郞(도이 타케오) (1971). 甘えの構造. 東京: 弘文堂.

29.

外山美樹(토야마 미키), 櫻井茂男(사쿠라이 시게오) (2001). 日本人のポジティブ․イリュージョン現象. 心理學硏究, 72(4), 329-335.

30.

須永進(스나가 스스무), 青木知史(아오키 사토시), 趙晤衍 (2005). 日韓の子育て觀に關する比較硏究. 秋草學園短期大學紀要, 22, 131-144.

31.

本村汎(모토무라 히로시), 洪上旭 (1983). 日·韓兩國の親子關係をめぐる比較硏究 -親の養育觀·養育態度と子の心理社會的特性を中心として-. 大阪市立大學生活科學部紀要, 31, 345-362.

32.

玄正煥 (1991). 母親による幼兒の社會性敎育の日韓比較硏究. 廣島大學敎育學部紀要, 第1部, 40, 205-212.

33.

Baumeister, R. F. (1991). Meanings of life. Guilford Press.

34.

Gudykunst, W. B., Matsumoto, Y., Ting-Toomey, S., Nishida, T., Kim, K., and Heyman, S. (1996). The influence of cultural individualism-collectivism, self construals, and individual values on communication styles across cultures.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2, 510-543.

35.

Fromm, E. (1947). Man for himself : An inquiry into the psychology of ethics. N. Y.: Holt, Rinehart & Winston.

36.

Heine, S. J., Hamamura, T. (2007). In Search of East Asian Self-Enhancement.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11(1), 4-27.

37.

Heine, S. J., Kitayama, S., Lehman, D. R., Takata, T., Ide, E., Leung, C., & Matsumoto, H. (2001). Divergent consesequences of success and failure in Japan and North America. An investigation of self-improving motivations and malleable selv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1, 599-615.

38.

Heine, S. J. & Lehman, D. R. (1995). Cultural variation in unrealistic optimism: Does the west feel more invulnerable than the ea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8, 595-607.

39.

Heine, S. J., & Lehman, D. R. (1997). The cultural construction of self-enhancement: An examination of group-serving biases.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72(6), 1268-1283.

40.

Heine, S. J., Takata, T., & Lehman, D. R. (2000). Beyond Self-Presentation: Evidence for Self-Criticism among Japanes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6(1), 71-78.

41.

Heine, S. J., & Renshaw, K., (2002). Interjudge Agreement, Self-Enhancement, and Liking: Cross-Cultural Divergenc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8(5), 578-587.

42.

Horney, K. (1945). Our inner conflicts: A constructive theory of neurosis. New York: Norton.

43.

Jahoda, M. (1953).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health. Social Casework 34, 349-354.

44.

Kiesler, D. J. (1996). Contemporary interpersonal theory and research: Personality,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45.

Lackman, M. E. (1986). Locus of control in aging research: a case for multidimensional and domain-specific assessment. Journal of Psychology and Aging, 1, 34-40.

46.

Lao, R. C. (1976). Is internal-external control an agerelated variable? Journal of Psychology, 92, 3-7.

47.

Leung, T., & Kim, M. S. (1997). A revised self construal scale.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48.

Levine, T. R., Bresnahan, M. J., Park, H. S., Lapinski, M. K., Wittenbaum, G. M., Shearman, S. M., Lee, S. Y., Chung, D., Ohashi, R. (2003). Self-Construal Scales Lack Validity.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9(2), 210-252.

49.

Markus, H., & Kitayama, S. (1991a). Culture and self: implications for cognition, emotion, and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98, 224-253.

50.

Markus, H., & Kitayama, S. (1991b). Cultural variation in the self-concept. In J. Strauss & G. R. Goethals (Eds.), The self: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New York: Springer-Verlag.

51.

Matsumoto, D. (1999). Culture and self: An empirical assessment of Markus and Kitayama's theory of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si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2, 289-310.

52.

Matsumoto, D., Kudoh, T., & Takeuchi S. (1996). Changing Patterns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Culture Psychology, 2, 77-107.

53.

Milgram, N. A. (1971). Locus of control in negro and white children at four age level. Psychological Reports, 29, 459-465.

54.

Oyserman, D., Coon, H. M., & Kemmelmeier, M. (2002). Rethinking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Evaluation of theoretical assumptions and meta-analyses. Psychological Bulletin, 128, 3-72.

55.

Penk, W. (1969). Age changes and correlates of internal-external control scale. Psychological Reports, 25, 856.

56.

Singelis, T. M. (1994). The measurement of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self construal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0, 580-591.

57.

Singelis, T. M., Triandis, H. C., Bhawuk, D. P. S., & Gelfand, M. J. (1995). Horizontal and Vertical Dimensions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A theoretical and measurement refinement. Cross-cultural research. 29, 240-275.

58.

Taylor, S, E., & Brown, J. D. (1988). Illusion and well-being: A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on mental health. Psychological Bulletin, 103, 193-210.

59.

Taylor, S, E., & Brown, J. D. (1994). “Illusion” of mental health does not explain positive illusions. American Psychologist, 49, 972-973.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