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새로운 문화-자기관 이론의 국가 간 비교연구: 한국, 중국, 일본 대학생들의 자기관

The Application of Culture bounded Self-construal Model: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ree countries in Northeast Asia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09, v.28 no.1, pp.49-66
한민 (Clark University)
이누미야 요시유키 (서정대학교)
김소혜 (고려대학교)
장웨이 (고려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이누미야와 김윤주(2006)가 제안하고 이누미야, 한민, 이주희, 이다인, 김소혜(2007)가 개발한 문화-자기관 척도를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3개국에서 평가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간 비교문화심리학에서 폭넓게 통용되던 Markus와 Kitayama(1991a)의 상호독립적 자기-상호협조적 자기 이론은 서양 vs 동양이라는 과도한 이분법적 전제에서 기인한 것으로 동일 문화권 내의 문화적 편차에 대한 설득력 있는 설명을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녀왔다. 한, 중, 일 3국의 대학생 462명을 대상으로 이누미야 등(2007)이 개발한 자기관 척도 및 자기개념에 대한 설문을 실시한 결과, 자기관의 구성요소인 주체성, 대상성, 자율성의 점수와 비율에서 국가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요약하자면, 자기관 요소들 중에서 한국은 주체성 자기가, 일본은 대상성 자기가, 중국은 자율성 자기가 각각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제까지 동양 집단주의문화권으로 뭉뚱그려 논의되던 한국, 중국, 일본의 자기관이 질적으로 다르게 구성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는 각국의 문화 차이를 연구하는 비교문화심리학 뿐만 아니라 외국에서 개발된 심리학 이론을 자국에 적용시키는 문제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리라 생각된다.

keywords
self-construal, subjective, objective, autonomous, comparison between countries, self-construal, subjective, objective, autonomous, comparison between countries, 문화-자기관, 주체성-대상성-자율성, 국가 간 비교, 비교문화심리학

Abstract

The most powerful model of self-construal, namely independent self and interdependent self seems useful only when it is related to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and is somehow insufficient to illustrate the psychological diversity among countries sharing the same culture. Researchers of current study proposed an alternative model of self-construal (SOA model) to find out a better frame than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model. The current study was designed to distinguish the subtle differences of self-construal among 3 countries within same collectivistic culture, which were hardly explained by the dichotomous model. The data of 462 participants was used for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 and Chinese had similar scores in Subjectivity (S) and were both higher than Japanese students, while in the respect of Objectivity (O), Japanese students’ score was highest, followed by Korean and Chinese students. The pattern related to Autonomy (A) was similar to that of subjectivity. In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three factors of SOA, different patterns occurred among these countries. For Korean, subjectivity and autonom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hile objectivity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Japanes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ity and self-esteem as well 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objectivity and self-esteem.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utonomy and self-esteem on Japanese samples. As to Chinese, the patterns of correlation were similar with those of Korean participants. In the future, studies on the comparison among western countries are required to testify the SOA model one step further.

keywords
self-construal, subjective, objective, autonomous, comparison between countries, self-construal, subjective, objective, autonomous, comparison between countries, 문화-자기관, 주체성-대상성-자율성, 국가 간 비교, 비교문화심리학

참고문헌

1.

정남운 (2005). 대인관계 형용사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3), 583-598.

2.

이누미야 요시유키 (2004). 한일 비교 성격론. 인본연구, 11, 101-124.

3.

이누미야 요시유키, 김윤주 (2006). 긍정적 환상의 한일비교: 주체성 자기와 대상성 자기에 의한 설명.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0(4), 19-34.

4.

이누미야 요시유키, 최일호, 윤덕환, 서동효, 한성열 (1999). 비현실적 낙관성(unrealistic optimism) 경향에 있어서의 비교 문화 연구: 상호독립적-상호협조적 자기관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3(1), 183-201.

5.

이누미야 요시유키, 한민, 이주희, 이다인, 김소혜 (2007). 주체성-대상성-자율성 자기 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2), 17-34

6.

정욱, 한규석 (2005). 자기고양 현상에 대한 조절변인으로서 자존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1), 199-216.

7.

조긍호 (2002). 문화성향과 허구적 독특성 지각 경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6(1), 91-111.

8.

조긍호, 명정완 (2001). 문화성향과 자의식의 유형.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11-139.

9.

조선영, 이누미야 요시유키, 김재신, 최일호 (2005). 한국과 일본에서 상호독립적-상호협조적 자기관이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존중감과 공적자기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4), 49-60.

10.

高田利武(다카타 토시타케)․大本美千惠(오오모토 미치에)․淸家美紀(세이케 미키) (1996). 相互獨立的-相互協調的自己觀尺度(改訂版) の作成. 奈良大學ソ紀要, 24, 157-173.

11.

Baumeister, R, F., Tice, D. M., & Hutton, D. G. (1989). Cognitive processes during deliberate self-presentation: How self-presenters alter and misinterpret the behavior of their interaction partners.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 25(1), 59-78

12.

Cross, S. E., Bacon, P. L., & Morris, M. L. (2000). The relational-interdependent self- construal and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8(4), 791-808.

13.

Devos, G. A. (1973). Socialization for achievement. Berkely: University of Californial Press.

14.

Heine, S. J. & Lehman, D. R. (1995). Cultural variation in unrealistic optimism: Does the west feel more invulnerable than the ea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8, 595-607.

15.

Heine, S. J., & Lehman, D. R. (1997). The cultural construction of self-enhancement: An examination of group-serving biases.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72(6), 1268-1283.

16.

Heine, S. J., Kitayama, S., Lehman, D. R., Takata, T., Ide, E., Leung, C., & Matsumoto, H. (2001). Divergent consesequences of success and failure in Japan and North America. An investigation of self-improving motivations and malleable selv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1, 599-615.

17.

Hsu, F. L. K. (1981). Americans and Chinese: Passage to differences. Honolulu: University Press of Hawaii.

18.

Kwan, V. S. Y., Bond, M. H., & Singelis, T. M. (1997). Pancultural explanations for life satisfaction: Adding relationship harmony to self-estee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 1038-1051.

19.

Levine, T. R., Bresnahan, M. J., Park, H. S., Lapinski, M. K., Wittenbaum, G. M., Shearman, S. M., Lee, S. Y., Chung, D., Ohashi, R. (2003). Self-Construal Scales Lack Validity.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9(2), 210-252.

20.

Markus, H., & Kitayama, S. (1991a). Culture and self: implications for cognition, emotion, and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98, 224-253.

21.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2.

Triandis, H. C., (1988), Collectivism vs. individualism: A reconceptualization of a basic concept in cross-cultural social psychology, in G. K. Verma and C. Bagley(Eds.), Cross-cultural Studies of Personality, Attitudes and Cognition(pp.60-95). London: Macmillan.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