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The Effects of Differentiation of Self and Marital Adjustment: The Mediator of Conflict-Coping Behavior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09, v.28 no.3, pp.643-65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self-differentiation, conflict-coping behavior and marital adjustment, and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conflict-coping behavior. The participants of the present study were 289 married men and women. The measuring instrument used were a self-differentiation scale, conflict coping behavior scale and dyadic adjustment scal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is, the more rational coping appears in the circumstances of couples conflict and that the lower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is, the more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or physical acting-out and evasion from the conflict mainly comes out as coping strategies. It also shows the result that the better one is self-differentiated, the higher the level of one's marital adjustment is and that the less one is self-differentiated, the lower the level of marital adjustment is. This study verified that conflict-coping behavior has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marital adjustment. In other words, a self-differentiated person increases marital adjustment through rational coping in the situation of couples conflict, on the other hand, a poorly self-differentiated person lowers marital adjustment through dysfunctional conflict coping strategies like the unfiltered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and physical acting-out or the evasion from conflict situ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can offer couples in divorce crisis and future couples suggestions of preventional intervention.

keywords
self-differentiation, conflict-coping behavior, marital adjustment, 자아분화, 갈등대처행동, 결혼적응

Reference

1.

김수연 (2001). 기혼여성의 자아분화와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기독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용태 (2000). 가족치료 이론. 학지사.

3.

김중호 (2008). Bowen의 가족치료와 AMOS 통계를 통한 자아분화 측정. 한국학술정보.

4.

남상철, 유영달 (2007). 부모와 자녀의 양육태도 지각 및 대학생의 자아분화가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2), 51-75.

5.

박영화, 고재홍 (2005). 부부의 자존감, 의사소통방식 및 갈등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한국사회 및 성격심리학회, 19(1), 65-83.

6.

배옥현, 홍상욱 (2008). 대학생의 자아분화 정도가 스트레스 수준 및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7(1), 27-34.

7.

서정선 (2007). 부부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용서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이명옥, 하정희 (2007). 자아분화와 결혼적응의 관계: 우울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4), 519-535.

9.

이민수 (2000). 가족응집력과 자아분화가 공감과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이민식, 김중술 (1995). 부부관계 적응 척도(Dyadic Adjustment Scale)의 표준화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 ‘95 연차대회 학술발표논문집, 291-299.

11.

이선미, 전귀연 (2001). 결혼초기 남편과 아내의 부부갈등과 갈등대처방식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5), 203-220.

12.

이선미, 전귀연 (2005). 결혼초기 남편과 아내가 인지한 갈등대처방식의 상호작용패턴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3(7), 93-107.

13.

이신숙 (2000). 기혼남녀의 자아분화 수준과 생활만족도간의 관계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5(1), 23-43.

14.

이영숙, 박경란 (2006). 부부의 갈등대처방법이 부인의 결혼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5(3), 363-372.

15.

이지현 (2007). 부부의 자아분화에 따른 부부갈등과 갈등대처행동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창만 (1992). 자아분화수준에 따른 부부갈등과 부부적응.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현주 (1996). 부부의 자기분화정도와 갈등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혜숙 (1992).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전춘애, 박성연 (1994). 부부의 자아분화수준과 출생가족에 대한 정서적 건강 지각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2(4), 117-133.

20.

정경연, 심혜숙 (2007). 부모 자아분화와 아동 자아분화 및 세대간 가족관계가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8(6), 1-15.

21.

정은희 (2004). 원가족분화, 자아존중감과 부부 갈등대처방식에 따른 결혼안정성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제석봉 (1989). 자아분화와 역기능적 행동과의 관계-Bowen의 가족체계이론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조상희 (2004). 대학생의 자아분화 정도와 스트레스 수준 및 대처방식과의 관계. 전주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조은경, 정혜정 (2002). 기혼남녀의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갈등대처행동 및 결혼 적응에 관한 연구. 가정관리학회지, 20(1), 1-16.

25.

천혜정, 최혜경, 강인 (2006). 결혼지속년수에 따른 부부갈등 및 갈등대처방법의 차이와 결혼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1), 170-202.

26.

최규련 (1994). 가족체계 유형과 부부간 갈등 및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2), 140-152.

27.

최인재 (2004). 부자유친성정이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관련 정서에 미치는 영향: 자아분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한영숙 (2007). 부부의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6(2), 259-272.

29.

한정아 (2005). 대학생의 자아분화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부정적 기분 조절 기대치를 매개변인으로.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cal conside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31.

Bowen, M. (1976). Theory in the Practice of Psychotherapy. In P. J. Guerin (Ed.), Family Therapy. New York: Gardner Press.

32.

Bowen, M. (1982).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New York: Jason Aronson.

33.

Elieson, M. V. & Rubin, L. J. (2001). Differentiation of self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s: A test of Bowen theory. Family therapy, 28, 125-142.

34.

Friedman, E. H. (1991). Bowen theory and therapy. In A. S. Gurman and D. P. Kniskern(Eds.), Handbook of family therapy. New York; Brunner/ mazel.

35.

Gottman, J. M. (1993). The roles of conflict engagement, escalation, and avoidance in marital interaction: A longitudinal view of five types of coupl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1, 6-15.

36.

Gottman, J. M. (1994). What predict divorce?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precesses and marital outcom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37.

Gottman, J. M. & Levenson, R. W. (2000). The timing of divorce: Predicting when a couple will divorce over a 14-year period.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2, 737-745.

38.

Haber, J. E. (1984).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iation of self, complementary psychological need patterns and marital conflic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ew York University.

39.

Kerr, M. E., & Bowen, M. (1988). Family evaluation. New York: Norton.

40.

Skowron, E. A. (2000). The role of differentiation of self in marital adjustmen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7, 229-237.

41.

Skowron, E. A. & Friedlander, M. I. (1998). The differentiation of self inventory: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 235-246.

42.

Yelsma, P. (1984). Functional conflict management in effective marital adjustment. Communication Quarterly, 32, 56-61.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