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정보의 체계성과 제시방법(提示方法)에 따른 청년과 노년의 기억비교

Age-related Memory Differences as a Function of Presentatiori Method, Organization, and Information of Material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1982, v.3 no.3, pp.140-149
金濚埰(Yung Che Kim) (啓明大學校 心理學科)
孫基俊(Gi-Jun Sohn) (啓明大學校 心理學科)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Craik와 Lockhart의 정보처리수준 모델에 기초하여 학습목록내에 관계 활용에 있어 연령과 관련된 기억결손여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재료는 형태어-기본어-의미어의 3중단어 목록을 한 조로 모두 21조이었다. 대학생 120명과 평균 연령이 71세인 노인 36명이 피해자였다. 본 연구는 2(연령) x 2(게시방법) x 2(자료조직) x 2(조직정보)의 4월 요인설계를 사용하였다. 실험재료들은 한조씩 개별적으로, 또는 전체 조가 한꺼번에 제시되었다. 자료 조직 조건에서는 형태어-기본어-의미어의 순서로 체계적으로 조직하거나 각 조 내에서 단어 위치가 무엇으로 변화되었다. 검사지시의 경우 제시한 3중 단어 목록들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정보를 준 조건과 주지 않은 조건, 두 조건을 만들었다. 살험결과, 즉시자유회상, 지연자유회상, 단서자유회상 및 비단서자유회상에서 노인들에 비해 대학생들이 기본어, 형태어 및 의미어를 더 많이 회상하였다. 이 결과는 노인들은 목록내의 의미적 관계뿐 아니라 비의미의 관계도 잘 활용하지 못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연령과 관련된 기억결손효과는 특히 의미적 처리에서 보다 오히려 음성적 처리에서 더 많다. 연령과 관련된 기억결손에 대한 다른 이유로 주의의 완고성 (attenntional rigidity)에 기인하는 한정된 처리능력을 들 수 있다. 인출단계 역시 기억정도상의 차이와 관련되는 것 같다. 개별제시 방법보다 전체제시 방법이 효과적이었는데 이것은 노인집단에서 더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keywords

Abstract

Based on the levels-of-processing model of memory, the study tested the age-related deficits in the utilization of intralist relationships. Materials consisted of the rhyme-base-associate word set, totalling 21 free recall word sets. Subjects were 120 college students and 36 elderly persons with an average age of 71. The study employed a completely randomized factorial design of 2 (age) × 2 (presentation method) × 2 (material oranizational information). Materials were presented either individually by set or wholly with the total sets. Materials were organized either systematically in the order of the rhyme-base-associate word, or randomly by changing the relative word position in each set. Through test instruction, subjects were either informed or not informed on the organizing principle of the word sets. An intentional learning model was used. Young adults recalled more base words, rhymes, and associates than the elderly subjects on immediate, delayed, and cued or uncued free recall. It implied the elderly utilized less semantic as well as non-semantic intralist relationships,. However, the age-related memory deficit was due particularly to physical or rhyme processing rat her than to semantic processing. Another reason for the age-related memory deficit seemed to be the limited breadth of processing capacity which appeared to derive from attentional rigidity. The retrieval stage also seemed to be age-related to memory differences. The whole presentation method was more effective than the individual presentation, with a more differential positive effect for elderly subjects.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