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포커싱 집단치료가 여대생의 신체화 증상, 부정적 정서 및 감정표현 불능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Group Therapy Using Focusing on Somatization, Negative Affect and Alexithymia of Female College Student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3, v.32 no.4, pp.777-802
주은선 (덕성여자대학교)
최선우 (덕성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포커싱 집단치료가 여대생의 신체화 증상과 신체화 증상의 정서적 요인인 부정적 정서와 감정표현불능증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줄 것인지 검증하고자 한다. 포커싱 활용 집단 프로그램은 포커싱 체험심리치료의 6단계 과정 에 맞춰 구성되었으며 총10회기로 진행되었다. 신체화 증상을 가진 피험자를 대상으로 치료집단 8명, 통제집단 10명으로 최종 18명의 여대생이 주 2회, 120분씩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신체증상 척도, 정적 정서와 부적 정서 척도, 우울 척도(BDI), 불안 척도(BAI), 한국판 감정표현불능증 척도(요인1, 요인3)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통제집단은 10회기 동안 정기적으로 만나서 일상적인 이야기를 하도록 하였다. 대응표본 t검증, 분할구획요인설계를 실시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첫째, 신체화 증상은 통제집단과 비교해서 치료집단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두통 증상과 소화 증상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부정적 정서는 통제집단과 비교해서 치료집단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부정적 정서 중 우울과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우울과 불안 모두에서 치료집단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낮아져 포커싱 집단치료가 우울과 불안을 감소시키는데도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셋째, 감정표현불능증은 통제집단과 비교해서 치료집단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포커싱 집단치료가 여대생의 신체화 증상과 신체화 증상의 정서적 요인인 부정적 정서와 감정표현불능증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준다는 것을 입증하고 포커싱 집단 프로그램의 상담현장에서의 다양한 활용방안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keywords
Focusing-Oriented Group Psychotherapy, somatization, negarive affect, alexithymia, 포커싱 집단상담, 신체화증상, 부정적 정서, 감정표현 불능

Abstract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the impacts of group therapy using focusing on female college students’ somatization, negative affect and alexithymia. The subjects with the symptom of somatization were gathered from D women’s university located in Seoul,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8 subjects in the therapy group and 10 in the control group. The group therapy program of focusing approach was performed on the therapy group twice a week, for 120 minutes per session, and for ten sessions in total. As for the tools to measure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criterion of body symptoms was used to measure somatization, to check negative affect, Form),PANAS(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 BDI(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BAI (Beck Anxiety Inventory) were applied, and to gauge alexithymia, Korean Alexithymia Scale (factor1, factor3) was applied for the preliminary and post tests. The results show that first, the group therapy using focusing was effective for the decline of female college students' symptom of somatization. Somatization decreased meaningfully in the therapy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therapy was efficacious particularly for the reduction of the symptoms of headache and digestive troubles. Second, focusing-applied group therapy worked to decrease female college students' negative affect. They fell meaningfully in the therapy group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on the effect on the decline of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negative Affect proved that the group therapy using focusing had an effect on the reduction of depression and anxiety because the score of the therapy group in relation to depression and anxiety fell in a meaningful way. Third, the group therapy to which focusing was applied was proved to be successful for the decline of female college students' alexithymia. It dropped meaningfully in the therapy group,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has been proved that the group therapy using focusing was effective for the decrease of female college students' somatization, negative affect and alexithymia.

keywords
Focusing-Oriented Group Psychotherapy, somatization, negarive affect, alexithymia, 포커싱 집단상담, 신체화증상, 부정적 정서, 감정표현 불능

참고문헌

1.

강상현 (2003). 사이코드라마가 대학생의 감정표현불능증, 신체화 증상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경봉 (1994). 정신신체장애, 불안장애 및 우울장애 환자들 간의 Alexithymia의 비교. 정신신체의학, 2, 59-68.

3.

권석만 (2003). 현대이상심리학. 서울: 학지사.

4.

김재원 (2011). 포커싱태도가 노인의 주관적인 건강상태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정은 (2009). 마음챙김명상이 만성두통에 미치는 효과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종주, 정용균, 최일균 (1992). 신체화 환자의 호소에 관한 언어학적 연구. 신경정신의학, 31, 924-948.

7.

김호찬, 오동원, 도정수 (1992). 신체화 장애의 임상 양상. 신경정신의학, 31(2), 240-251.

8.

민성길 (1989). 홧병의 개념에 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28, 604-616.

9.

박영남 (1984). 신체증상을 주호소로 하는 정신과 외래 환자의 임상적 고찰. 계명의대논문집, 3(2), 169-174.

10.

방윤경 (2006).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요인과 인지요인의 이론적 과정모델.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박정희, 주은선 (2012). 상담자의 스트레스, 소진(Burnout) 관계에서 포커싱(Focusing)의 효과. 사회과학연구(덕성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8, 19-43.

12.

송언섭, 주은선(2010), 대학생의 포커싱 태도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 행동차이, 인간이해, 31(2), 329-347.

13.

송효양 (2011). 해군간부의 자아탄력성과 포커싱 태도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포커싱 태도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송지영, 김태수, 오동재, 윤도준, 염태호 (1994). 동통을 가진 신체형 장애 환자에서 감정표현능력과 압통역치. 정신신체의학회지, 2, 69-79.

15.

신아영 (2008). 정서 마음챙김이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인지적 정서조절, 신체증상, 스트레스 및 웰빙에 미치는 효과-여대생을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신현균, 원호택 (1997). 한국판 감정표현불능증 척도 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6(2), 219-231.

17.

신현균 (2000a). 신체형 장애. 서울: 학지사.

18.

신현균 (2000b). 부정적 정서, 감정표현불능증, 신체감각 증폭지각 및 신체적 귀인이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매개모델의 검증. 한국심리학회: 임상, 19, 17-32.

19.

신현균 (2006). 우울한 기분상태가 신체화집단의 자기초점적 주의, 신체감각증폭지각, 신체귀인 및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2), 467-488.

20.

육성필, 김중술 (1997). 한국판 Beck Anxiety Inventory의 임상적 연구: 환자군과 비환자군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6, 185-197.

21.

이기연 (1988). 한국인 신체화 장애의 진단기준에 관한 횡문화적 및 우울증과의 상관관계.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이만홍 (1981). Multiple Somatizer에 관한 임상적 연구: Somatoform disorder의 임상적 적용을 위한 연구(Ⅰ). 신경정신의학회, 20, 423-432.

23.

이시형 (1977). 홧병에 대한 연구. 고려병원 잡지, 1, 63-69.

24.

이영호, 송종용 (1991).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1), 98-113.

25.

임여준 (2012). 청소년의 애착이 분노표현에 미치는 포커싱적 태도의 매개효과: 청소년을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주은선 (2002). 포커싱(Focusing) 체험 상담의 이해와 적용. 한국 상담학회지: 상담학연구, 3(2), 517-527.

27.

주은선 (2011). 포커싱 체험심리치료. 서울: 학지사.

28.

주은선, 김주영, 신설애 (2011a). 포커싱 꼴라쥬 작업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예술심리치료연구, 7(3), 85-112.

29.

주은선, 신설애, 김병선, 김주영 (2011b). 한국판 포커싱적 태도 척도의 수정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화지: 일반, 30(4), 1111-1128.

30.

주은선 역 (2012). 상담의 기술 3판. 서울: 학지사.

31.

주은선, 장세은 (2012). 포커싱활용 집단상담이 여대생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효과. 인간이해, 33(2), 139-157.

32.

진보겸 (2005). 무용/동작치료가 여성의 신체화 증상과 정서인식 및 표현성에 미치는 효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한진숙 (2004). 마음챙김이 과민성대장증후군의 환자들의 증상과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한덕웅, 전겸구, 탁진국, 이창호, 이건효 (1993). 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사건과 개인차 변인. 성균관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학생지도연구, 10(1), 1-35.

35.

허통욱, 백주희, 이상연, 송수식 (1993). 내과 입원 중 정신과에 자문의뢰된 신경증 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신경정신의학, 32(5), 679-688.

36.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4th ed). Washington, DC.

37.

Barsky, A. J., Geringer, E., & Wool, C. A. (1988). A cognitive-educational treatment for hypochondriasis. General hospital psychiatry, 10, 322-327.

38.

Barsky, A. J., & Klerman G. L. (1983). Overview: Hypochondriasis, bodily complaints, and somatic styl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0(3), 273-283.

39.

Gendlin, E. T. (1978). Focusing. New York: Bantam Books.

40.

Gendlin, E. T. (1996). Focusing-oriented psychotherapy. New York: The Guilford Press.

41.

Gray, J. A. (1982). The neuropsychology of anxiety: An inquiry into the functions of the septo-hippocampal system.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2.

Joo, E. (1999). A Practical Guide to Focusing. Korean Journal of Psychotherapy. 12(15). 90-99.

43.

Joo, E. (2011). Application of focusing-oriented psychotherapy in dealing with issues of Asian immigrants: A single-case study of Korean immigrant in Japan. Japanese Psychological research, 53(1), 97-102.

44.

Katon, W., Kleinman, A., & Rosen, G. (1982). Depression and somatiz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72, 127-135.

45.

Kroenke, K. (2007). Efficacy of treatment for Somatoform Disorders: A Review of Randomzied Controlled Trials. Psychosomatic Medicine, 69, 881-888.

46.

Lee, S. J., Rim, H. D., Jo, H. Teong, S. H., Lee, Y. H. Chung, U.S. (2009). A comparative study on alexithymia in depressive, somatoform, anxiety, and psychotic disorder among Koreans. European Neuropsychopharmacology, 19(3), 362-363.

47.

Lipowski, Z. J. (1998). Somatization: The concept and its clinical application.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5(11), 1358-1368.

48.

Marsden, C. D. (1986). Hysteria - a neurologist's view.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6, 277-288.

49.

Romano, J. M., & Turner, J. A. (1985). Chronic pain and depression; Does the evidence support a relationship? Psychological Bulletine, 97, 18-34.

50.

Sifneos, P. E. (1972). Short-Term Psychotherapy and Emotional Crisis.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51.

Stern, R., Fernandez, M. (1991). Group cognitive and behavioural treatment for hypochondriasis. BMJ. 303, 1229-1231.

52.

Tellegen, A. (1985). Structures of mood and personality and their relevance to assessing anxiety, with and emphasis on self-report. In A. H. Tuma & J. D. Mase (Eds.), Anxiety and the anxiety disorders. Hillsdale, NJ: Erlbaum.

53.

Tsuyoshi, A. (2008). Research on Mental Health of Undergraduate Students. Kansai University Master's thesis.

54.

Watson, D., Clark, L. A., &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1063-1070.

55.

森川友子. (1997). フォ―カシング的 体験様式の日常化に関する因子分 析的研究、心理臨床学研究、15(1), 58-65.

56.

野田悦子. (1997). フォ―カシングの「間」と企業内ストレスマネージメント.池見 陽編、 フォ―カシングへの誘いー個人的成長と臨床 に生かす「心の実感」.サイエンス社. 2(2).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