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고등학생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및 우울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Actual-Ideal Self-discrepancy, Self Efficacy, Social Support and Depressed Mood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4, v.33 no.1, pp.239-261
황민영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방희정 (이화여자대학교)
김영숙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와 우울감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들 변수 간에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위치한 2개 고등학교에서 재학 중인 고등학생 455명을 대상으로 자기질문지, CES-D, 자기효능감 척도(SES), 사회적 지지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우울감과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인 일반적 자기효능감에서 유의미한 성차가 확인되었다. 더불어, 남학생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와 우울감 사이의 관계에서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여학생의 경우,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와 우울감 사이의 관계를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학생 집단에서 각 사회적 지지 하위변인의 주효과는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와 사회적 지지 하위변인들의 상호작용 항에 대한 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아 모든 사회적 지지 하위변인에서 조절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반면, 여학생 집단에서는, 사회적 지지의 네 하위변인의 주효과가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을 뿐 아니라,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와 정서적․평가적․정보적 지지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성별에 따라 우울감과 관련된 연구 변인간 상이한 영향 패턴을 확인하고, 이에 부합하는 정서적 어려움과 관련된 치료적 접근에서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keywords
자기불일치, 우울,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고등학생, self-discrepancy, depressed mood self efficacy, social support, adolescen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actual-ideal self-discrepancy and depressed mood with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efficacy and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455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y were asked to fill out a set of questionnaire which consists of the Actual and Ideal Selves Questionnaire, CES-D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 Depression), SES (Self- Efficacy Scale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5.0.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depressed mood and general self efficacy. Femal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depressed mood than males, while male adolesc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general self efficacy. Also, in regression analysis, general self efficacy completely mediated the effect of actual-ideal self-discrepancy on depressed mood in male, and partially mediated the same effect in female. Moreover, although male group showed a non-significant result, in female group, three of four social support subordinate variables - emotional support, evaluative support and informational support - showe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Especially, evaluative support turned out to have the largest moderating effect in female.

keywords
자기불일치, 우울,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고등학생, self-discrepancy, depressed mood self efficacy, social support, adolescent

참고문헌

1.

김남재 (2001). 대인불안과 우울에서의 자기불일치. 심리과학. 10(1).

2.

김미례 (2006). 기혼 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

박지선 (1999). 자기초점화 주의, 신경증적 경향성 및 자기불일치가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진영, 최승미, 서국희, 조성진, 김장규, 조맹제 (2000) 한국인 우울증상표현의 횡문화적 차이: CES-D의 요인구조분석. 정신병리학. 9(1), 78-87.

5.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6.

박현주, 조긍호 (2003). 고등학생의 자기불일치와 우울, 불안 및 자기효능감간의 관계. 인간이해, 24. 서강대학교 생활상담실.

7.

서수균 (1996). 자기집중적 주의, 실제 자기개념 및 자기안내자 선호성을 고려한 자기불일치와 우울 및 불안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신민희 (2005). 소년원 수용 비행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자기불일치 및 우울수준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2(1), 183-205.

9.

신승철, 김만권, 윤관수, 김진학, 이명선, 문수재, 이민준, 이호영, 유계준 (1991). 한국에서의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CES-D)의 사용-표준화 및 요인구조에 대한 횡문화적 검토. 신경정신의학, 30(4), 752-767.

10.

윤혜정 (1993)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사회관계망지지지각.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1.

이경주 (1997)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및 행동문제.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2.

이상철, 정상원, 김새로미, 이혁준 (2008). 자기불일치가 불안 및 우울을 매개로 부적자아상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5(3), 183-206.

13.

이영자 (1996).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과 우울 및 불안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4.

이은영 (1991). 자기불일치 인지 기제에 따른 우울과 불안의 공존현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5.

임일모, 조용래, 김학렬 (1995). 자기불일치와 심리적 불편감의 관계. 신경정신의학, 34(5), 1416-1431.

16.

임 진 (2008). 청소년의 실제-이상 자기 불일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수치심과 반추적 반응양식을 매개변인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전겸구 권기덕 김상기 (1999). 한국판 CES-D 개정 연구: Ⅰ. 사회과학연구. 6(1), 429-451.

18.

전겸구, 이민규 (1992). 한국판 CES-D 개발 연구 1.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1(1), 65-76.

19.

정은선 (2008). 부모의 양육태도가 주관적 행복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강인성과 완벽주의의 매개역할.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

최미영, 이익섭 (2003). 사회적 낙인이 화상장애인의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홍혜영 (1994). 완벽주의 성향, 자기효능감, 우울과의 관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Bandura, Albert (1993). Perceived Self-Efficacy in Co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28(2), 117-148.

23.

Bandura, A., Linda R., & Nancy E. A. (1982). Microanalysis of action and fear arousal as a function of differential levels of perceived self-effica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3(1), 5-21.

24.

Bandura, A. & Nancy E. Adams (1977). Analysis of self-efficacy theory of behavioral change.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4), 287-310.

25.

Barnett R. C., Brauch G. K.., & Biener L. (1987). Gender and stress. New York: Free. Press

26.

Baron R. M.,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27.

Baumeister, R. F., Sommer, K. L. (1997). What do men want? Gender differences and two spheres of belongingness: Comment on Cross and Madson. Psychological Bulletin, 122(1), 38-44.

28.

Blatt, Sidney J., D'Afflitti, Joseph P., Quinlan, Donald M. (1976). Experiences of depression in normal young adult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85(4), 383-389.

29.

Block, J. H. (1983). Differential premises arising from differential socialization of the sexes: some conjectures. Child Development, 54, 1335- 1354.

30.

Cohen, Sheldon & Hoberman, H. M.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2), 99-125.

31.

Cross, S. E., & Madson, L. (1997). Models of the self: Self-construals and gender. Psychological Bulletin, 122, 5-37.

32.

Fagot, B. (1978). The influence of sex of child on parental reactions to toddler children. Child Development, 49, 459-465.

33.

Hankin, B. I., Abramson, L. Y., & Silver, M. (2001). A prospective test of the hopeless theory of depression in adolescence.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5, 607-632.

34.

Hardin, E. E. & Lakin, J. L. (2009). The integrated self-discrepancy index: A reliable and valid measure of self-discrepancie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91(3), 245-253.

35.

Higgins, T. E. (1987). Self-discrepancy: A theory relating self and affect. Psychological Review, 94(3), 319-340.

36.

Higgins, E. T., Bond, R. N., Klein, R., & Strauman, T. (1986). Self-discre-pancies and emotional vulnerability: How magnitude, accessibility, and type of discrepancy influence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1), 5-15.

37.

Higgins, E. T., Klein, R. & Strauman, T. (1985). Self-concept discrepancy theory: A psychological model for distinguishing among different aspects of depression and anxiety. Social Cognition. Special Issue: Depression, 3(1), 51-76.

38.

Kessler, R. C., Price, R. H., & Wortman, C. B. (1985). Social factors in psychopathology: Stress, social support, and coping processe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36, 531-572.

39.

Lewinsohn, P. M., Hops, H., Roberts, R. E., Seeley, J. R., Andrews, J. A. (1993). Adolescent psychopatho -logy: I. Prevalence and incidence of depression and other DSM-III—R disorders i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2(1), 133- 144.

40.

Moretti, M. M. and Higgins, E. T. (1999). Own versus other standpoints in self-regulation: developmental antecedents and functional consequences.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3(3), 188-223.

41.

Moretti, M. M. & Wiebe, V. J. (1999). Self- discrepancy in adolescence: Own and parental standpoints on the self. Merrill-Palmer Quarterly, 45(4), 624-649.

42.

Peterson, A. C., Compas, B. E., Brooks-Gunn, J., Stemmle, R. M., Eys, Grant, K. E., (1993). Depression in adolescence. American Psychology, 48, 155-168.

43.

Peterson, A. C., Sarigiani, P. A., Kennedy, R. E. (1991). Adolescent depression: Why more girl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0, 247-271.

44.

Rodebaugh, L. Thomas., Donahue, L. Kelly. (2007). Could you be more specific, please: self-discrepancies, affect and variation in specificity and relevanc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3(12), 1193-1207.

45.

Scott, Lane and O'Hara, Michael W. (1993). Self-discrepancies in clinically anxious and depressed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2(2), 282-287.

46.

Schaefer, C. (1982). Shoring up the “buffer”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3(1), 96-98.

47.

Serbin, L. A., O'Leary, K. D., Kent, R. D., & Tonick, I. J. (1973). A comparison of teacher response to the preacademic and problem behavior of boys and girls. Child Development, 44, 796-804.

48.

Sherer, M., Maddux, J.,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 Jacobs, B.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49.

Strauman, T. J., Vookles, J., Berenstein, V., Chaiken, S., Higgins, E. T.. (1991). Self-discrepancies and vulnerability to body dissatisfaction and disordered eat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6), 946- 956.

50.

Strauman, T. J. (1989). Self-discrepancys in clinical depression and social phobia: cognitive structures that underlie emotional disorder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8, 14-22.

51.

Strauman, T. J., & Higgins, E. T. (1987). Automatic activation of self-discrepancies and emotional syndromes: When cognitive structures influence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3, 1004-1014.

52.

Tangney, J. P., Niedenthal, P. M., Covert, M. V., & Barlow, D. H. (1998). Are shame and guilt related to distinct self-discrepancies? A test of Higgins's(1987) hypothes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 256-268.

53.

Weilage, M. & Hope, D. A. (1999). Self- discrepancy in social phobia and dysthymia.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3(6), 637-65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