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The Relationship Among Ageism, Self-Perception of Physiological & Psycho-social Aging, and Depressive Mood: Comparison between Male Babyboomer, Young-Old & Old-Old Generation Group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8, v.37 no.1, pp.65-103
https://doi.org/10.22257/kjp.2018.03.37.1.6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ageism and depressive mood with examining serial multiple moderating effect of self-perception of physiological and psychosocial aging in three generation groups. Data of the male babyboomer group(N=69), the male young-old group(N=151) and the male old-old group(N=63) were analysed. They were asked to fill out a set of questionnaire which includes Ageism Survey, short form of CES-D, Aging Perceptions Questionnaire, and Self-Perceived Adverse Age-Change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on perception of physiological aging, psychosocial aging and depressive mood. (2) Expect for relationships between generation groups & ageism, and ageism & perception of physiological aging, all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3) In the male babyboomer generation, indirect effect of ‘physiological aging → psycho-social aging → depressive mood’ and direct effect of ‘physiological aging → depressive mood’ were significant. In the male young-old and the old-old generations, indirect effect of ‘ageism → psycho-social aging → depressive mood’ were significant. Also, physiological aging showed tendencies with different patterns in these two generation group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socio-historical generational differences in the face of existential threat.

keywords
공포관리이론(TMT), 연령주의, 노화 인식, 우울감, 사회역사적 세대, Terror Management Theory, Ageism, Aging, Depressive Mood, Socio-historical generation

Reference

1.

고기동, 조영태, 조성일, 성주헌, 조비룡, 손기영, 최호천 (2012). 우리나라 노인에서 건강 위험 행동과 정신 건강과의 연관성: 고령화 연구 패널(KLoSA). 대한노인병학회지, 16(2), 66-73.

2.

고선규, 권정혜 (2007). 지역 사회 노인을 위한다요인 기억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3), 545-572.

3.

고선규, 안상미, 박민규, 최성호, 김연수, 우은경, 김현정, 조인호 (2003). 한국 노인의우울 특성 연구.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3(1), 131-132.

4.

고효정, 송원영 (2014). 중년기 여성의 영성이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모호함에 대한 감내력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4(1), 249-249.

5.

권유경 (1996). 삼세대간 지혜와 지능의 발달비교.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9(2), 1-19.

6.

김고은 (2010). 성인 지적장애인을 돌보는 노년기 어머니의 돌봄만족감. 이화여자대학교박사학위 논문.

7.

김문영, 정현희 (2003). 인지-행동적 집단상담이 노인의 우울과 고독감, 역기능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15(3), 477-490.

8.

김미혜, 정순둘, 박현주 (2014). 베이비부머의 신체적 건강 및 심리사회적 특성: 한국, 미국, 영국 고령화 패널 비교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지, 16(2), 987-1005.

9.

김수진, 이주일 (2016). 주도성 및 개방성과 시간조망 및 프로틴 경력지향이 미래경력설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및 조직, 29(2), 303-326.

10.

김승연, 고선규, 권정혜 (2007). 노인 집단에서 배우자의 사별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3), 573-596.

11.

김영경, 김혜리 (2015). 노년기 인지기능 향상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8(4), 87-108.

12.

김 욱 (2003). 노인차별 실태 및 관련 요인에 관한 탐색적 조사연구. 韓國老年學, 23(2), 21-35.

13.

김원경 (2001). 노년기의 신체적 건강과 우울증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0(1), 49-66.

14.

김일호, 천희란 (2015). 노인차별과 그 유형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도시와 농촌지역 비교. 韓國老年學, 35(2), 433-450.

15.

김재희, 주은선 (2002). 지각된 양육태도의 세대간 연구와 부적응 청소년 집단과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4(4), 1-18.

16.

김정란, 이은희 (2007). 중년 여성의 불안정 애착이 본인의 우울수준 및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 심리치료, 19(2), 297-319.

17.

김주현 (2009). 연령주의(Ageism) 관점을 통한노년의 이해. 사회와 역사, 82, 361-391.

18.

김주현, 한경혜 (2012). 베이비붐 세대의 건강상태에 대한 잠재유형. 한국인구학, 35(3), 57-85.

19.

김주현 (2012). 연령주의(Ageism) 척도의 개발및 타당성 연구. 한국인구학, 35(1), 53-75.

20.

김지연, 김민희, 민경환 (2012). 한국판 노인차별주의 척도의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26(4), 89-106.

21.

김지현, 민경환 (2010). 노년기의 죽음에 대한태도와 죽음 대처 유능감에 영향을 주는변인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성격, 24(1), 11-27.

22.

김진영 (2009). 한국 성인 집단에서 연령과 우울의 관계. 보건과 사회과학, 26, 89-113.

23.

김태완, 이주미, 정진욱 (2015). 노인의 빈곤과우울에 관한 연구: 다차원적 빈곤개념을 적용하여. 보건사회연구, 35(3), 71-102.

24.

김현순, 김병석 (2007). 노인의 자살생각에 대한 경로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3), 801-818.

25.

김혜령 (2015). 일 도시지역 60세 이상 남성의우울과 영향요인. 한국위기관리논집, 11(7), 181-196.

26.

김혜원 (2013). 모녀간 자기분화의 세대 간 전이와 여대생의 자기분화, 세대 간 가족관계가 자아존중감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1), 23-43.

27.

김호영, 최진영, 석정서 (2010). 한국판 치매평가 검사(K-DRS)를 이용한 노인인지기능평가에서 변화유의성 탐지 - 50세 이상 상노년 검사재검사 규준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2), 505-523.

28.

나은영 (2002). 탈물질주의 가치와 이동전화이용 행동 및 태도에서의 세대차.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3(1), 17-32.

29.

남순현, 한성열 (2001). 3 세대 가족의 가족분화수준의 세대간 전수.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0(4), 625-640.

30.

문현공 (2016). 죽음 현저성 (Mortality Salience)의 교육적 함의-죽음에 대한 마음챙김 (死念) 과 관련하여. 종교교육학연구, 51, 153-176.

31.

민경환, 김지현, 황석현, 장승민 (1998). 성․세대· 성격유형에 따른 정서 반응양식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2(2), 119-140.

32.

박미진 (2007). 여성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의관계에서 강점과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2), 197-211.

33.

박선영, 권석만 (2014). 삶의 의미와 주관적 안녕 및 우울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3(3), 549-571.

34.

박수애, 조은경 (2002). 남성 성역할이 우리나라 남성들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8(2), 77-103.

35.

박영숙 (2000). 정신장애자가족의 가족관계 및 특징에서 세대간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4), 713-725.

36.

박영신, 김의철, 박영균 (2010). 세대 차이와 갈등은 삶의 질을 낮추는가?.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3), 533-559.

37.

박영신, 김의철, 김미숙 (2012). 유아 어머니와외할머니 세대의 자녀관련 인식 비교: 이상적 자녀수, 자녀의 성별에 대한 선호도, 노후부양에 대한 기대, 긍정적 자녀가치와 부정적 자녀가치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8(1), 127-152.

38.

박인조, 이주일 (2014). 무엇이 장노년의 주관적 경력 성공에 영향을 미치고 받는가?:시간적 관점에서 조명. 한국심리학회지:산업 및 조직, 27(1), 83-105.

39.

박정열, 김지혜, 김용희, 김민종, 최은수, 허태균 (2007). 인상형성의 능동적 정보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2), 123-143.

40.

박재흥 (2003). 세대 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학, 37(3), 1-23.

41.

박태정 (2013). 베이비부머 세대들의 삶을 통해 본 일과 은퇴의 경험적 의미에 대한 연구. 노동정책연구, 13(3), 29-57.

42.

박혜옥, 육성필 (2013). 부부친밀감에 따른 배우자 사별노인의 사별스트레스가 우울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중재-매개모형.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4), 933-951.

43.

박현식 (2008) 공공부조노인과 일반노인의 노인차별경험과 우울의 관계. 노인복지硏究41, 7-26.

44.

방석찬 (2002). 이완 훈련이 한국인 노년 이민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2), 257-272.

45.

배지연, 김원형 (2005). 노인의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05(1), 446-447.

46.

백지은 (2010).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의 사회적지지 경험이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3), 425-445.

47.

백지은 (2012). 전 생애과정적 관점에서 바라본 한국노인들의 적응유연성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33, 175-199.

48.

보건복지부 (2014). 노인실태조사.

49.

보건복지부 (2015). 국민건강영양조사.

50.

서경현, 김영숙 (2003).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우울.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9(1), 115-137.

51.

서경현, 김태민, 손 솔, 김혜경 (2013). 노년기스트레스와 정신건강 및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자기노출과 하향 사회비교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2), 379-402.

52.

신창환 (2010). 삶의 특성이 노인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韓國老年學, 30(2), 453-469.

53.

신희석 (2002). 생의 의미가 중년 주부의 우울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7(1), 29-45.

54.

심정자 (2015). 노인의 자아통합감 증진을 위한의미치료 프로그램 개발.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55.

안상수, 탁진국, 유태용, 한태영, 한영석 (2006). 중장년층 실직 여성의 정신건강.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6(1), 208-209.

56.

오인근, 오영삼, 김명일 (2009). 여성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구-건강증진행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4(1), 113-136.

57.

오현성, 한은영 (2007). 종합복지관 이용 노인들의 차별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학술대회자료집, 157-172.

58.

옥 정, 방희정 (2012). 아버지 애착의 세대간전이.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5(2), 45-65.

59.

원동성 (2010). 의미치료 관점에서 바라본 그리스도교 영성삼담에 대한 고찰. 대전가톨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60.

원영희 (2005). 노인차별 피해경험이 노인의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정책, 21(4), 319-339.

61.

유 경, 강연욱 (2009). 노년기 정서 경험과 대처 양식의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3), 893-910.

62.

유성은, 권정혜 (1997). 완벽주의적 성향,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식이 중년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6(2), 67-84.

63.

유정헌, 성혜영 (2009). 노년기 우울에 대한 가족관계 만족도의 중재효과. 한국노년학, 29(2), 717-728.

64.

윤성민, 신희천 (2012). 행복증진을 위한 긍정심리활동들의 효과비교.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24(1), 121-148.

65.

윤현숙, 구본미 (2009). 노인의 건강상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학, 61(2), 303-324.

66.

이강호 (2002). 의미치료적 목회상담이 노인의 심리적 문제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67.

이민수, 남종원, 차지현, 곽동일 (1999). 노인우울증의 심각도 미치는 요인. 신경정신의학, 38(5), 1063-1070.

68.

이비에스(EBS) 데스제작팀 (2014). 죽음. 서울:책담.

69.

이수애, 이경미 (2002). 농촌지역 노인의 우울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韓國老年學, 22(1), 209-226.

70.

이승미, 오경자 (2006). 정서인식불능,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감정, 정서표현성이 중년기혼 여성의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1), 113-128.

71.

이은성 (2014). 고령화시대 교회 노인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의 필요성과 당면과제. 기독교교육논총, 40, 387-419.

72.

이인영, 정영숙 (2016). 청년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분리불안, 과보호와 자녀의 분리-개별화 및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9(4), 123-144.

73.

이주일, 강연욱, 김지현, 유 경 (2011). 생산적노화에 대한 세대간 인식차 및 생산적 노화 척도의 타당성 분석. 한국심리학회지:산업 및 조직, 24(1), 1-27.

74.

이주일, 유 경 (2010). 직장-가정 갈등의 세대차이와 직장-가정 갈등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3(3), 471-501.

75.

이혜림, 명재석, 오설아, 최승원 (2016). 사회연결망이 노년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4), 925-942.

76.

임정연, 김호정, 염유식 (2016). 관계유형별 사회적 지지와 갈등이 노인의 우울과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5(3), 645-657.

77.

장휘숙 (2000a). 인간발달. 서울: 박영사.

78.

장휘숙 (2000b). 애착과 죽음불안 및 관련변인들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3(1), 127-143.

79.

장휘숙 (2010). 주관적 연령이 노인의 자기존중감과 주관적 건강, 죽음공포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3(4), 1-15.

80.

전상남, 신학진 (2011). 노인차별경험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고독의 매개효과. 韓國老年學, 31(4), 925-938.

81.

정명숙, 김혜리 (2005). 삶에 대한 가치관과 청소년의 일상행동에 대한 지각에서 세대간차이점과 유사점.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8(1), 115-135.

82.

정순둘 (2005). 시설거주 노인의 우울증 원인에 대한 경로분석. 韓國老年學, 25(3), 75-90.

83.

정순둘, 구미정 (2011). 우울 영향요인: 베이비부머, 예비노인, 현재노인의 비교. 노인복지연구, 52, 305-324.

84.

정순둘, 전혜상, 송아영 (2015). 노인이 인식하는 고령친화도시 조성정도가 노인의 심리사회적 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주민참여환경, 주거환경, 복지 및 의료환경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6(3), 29-46.

85.

정순둘, 김민경, 김은주, 김주현 (2016). 심리사회적 노화와 연령통합 인식: 가족주의 및 가족결속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가족복지학, 54, 187-223.

86.

정순둘, 임정숙, 정세미, 이미우 (2016). 노인의 심리사회적 노화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요인. 사회복지연구, 47(1), 123-149.

87.

정재걸 (2006). 죽음교육에 대한 일 연구. 사회사상과 문화, 13, 205-230.

88.

정태연 (2001). 대학생 자녀와 그 부모가 평가한 세대간 차이점과 유사점.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7(2), 1-18.

89.

조명현, 장재윤, 유 경, 이주일 (2015). 재난 간접 경험 후 노인들의 정서 변화 양상.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1(4), 671-696.

90.

조아라, 정영숙 (2012). 노인의 감사와 성숙한노화 및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5(4), 67-87.

91.

진철숙 (2015). 노인차별이 노인학대에 미치는 영향과 공적기관 상담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10), 193-204

92.

차승은, 한경혜 (2006). 남녀의 가족 역할 점유와 건강 문제. 한국인구학, 29(2), 167-194.

93.

천희란, 김일호 (2013). 노인차별(ageism)의 사회경제적 관련요인과 건강영향. 韓國老年學, 33(3), 601-615.

94.

최명순 (2009). 삶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종교적 대처의 매개역할과 의미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전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95.

최성재 (2009). 수도권 지역 중년기 이후 세대의 노후생활 인식과 노인에 대한 인식. 韓國老年學, 29(1), 329-352.

96.

최성재, 장인협 (2010). (고령화사회의) 노인복지학.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97.

최인수, 원윤선 (2000). 한국 중ㆍ고ㆍ대학생들의 이성친구 선택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3(2), 131-143.

98.

최진영, 이지은, 김명진, 김호영 (2006). 노인용언어 학습 검사의 개발 및 표준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5(1), 141-173.

99.

통계청 (2010a). “통계로 본 베이비붐 세대의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2010년 5월 7일보도자료.

100.

통계청 (2010b). 인구총조사.

101.

홍주연, 윤 미 (2013). 중년여성의 영성이 행복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여성, 18(1), 219-242.

102.

Andersen, E. M., Malmgren, J. A., Carter, W. B., & Patrick, D. L. (1994). Screening for depression in well older adults: Evaluation of a short form of the CES-D.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10(2), 77-84.

103.

Baltes, P. B., Reese, H. W., & Lipsitt, L. P. (1980). Life-span Developmental Psychology. Annual Review of Psychology, 31(1), 65-110.

104.

Baltes, P. B. (1987). Theoretical Propostitions of Life-span Developmental Psychology: On the Dynamics between Growth and Decline. Developmental Psychology, 23(5), 611.

105.

Barker, M., O'Hanlon, A., McGee, H. M., Hickey, A., & Conroy, R. M. (2007). Cross-sectional validation of the Aging Perceptions Questionnaire: a multidimensional instrument for assessing self-perceptions of aging. BMC geriatrics, 7(1), 9.

106.

Bauer, J. J., McAdams, D. P., & Pals, J. L. (2008). Narrative identity and eudaimonic well-being.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9(1), 81-104.

107.

Becker, E. (1971). The Birth and Death of Meaning:An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on the Problem of Man. 2d Ed. New York: Free Press.

108.

Becker, E. (1973). The Denial of Death. New York:Simon & Schuster.

109.

Becker, E. (1975). Escape from evil. New York, NY, US: Free Press.

110.

Becker, E. (2008). 죽음의 부정: 프로이트의 인간이해를 넘어서. [The Denial of Death] (김재영 역). 고양: 도서출판 인간사랑. (원전은1973년에 출판).

111.

Breckler, S. J. (1984). Empirical validation of affect, behavior, and cognition as distinct components of attitud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7(6), 1191.

112.

Bultena, G. L., & Powers, E. A. (1978). Denial of aging: Age identification and reference group orientations. Journal of gerontology, 33(5), 748-754.

113.

Butler, R. N. (1963). The life review: An interpretation of reminiscence in the aged. Psychiatry, 26(1), 65-76.

114.

Butler, R. N. (1969). Age-ism: Another form of bigotry. Gerontologist, 9, 243-246.

115.

Butler, R. N. (1980). Ageism: A Foreword. Journal of Social Issues, 36(2), 8-11.

116.

Butler, R. N. (1987). Ageism. The Encyclopedia of Aging. New York: Springer.

117.

Butler, R. N. (1995). Ageism. In G. Maddox (Ed.), The Encyclopedia of Aging. New York:Springer.

118.

Cherry, K. E., & Palmore, E. (2008). Relating to older people evaluation (ROPE): A measure of self-reported ageism. Educational Gerontology, 34(10), 849-861.

119.

Cox, C. R., Arndt, J., Pyszczynski, T., Greenberg, J., Abdollahi, A., & Solomon, S. (2008). Terror management and adults’ attachment to their parents: the safe haven remai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4(4), 696.

120.

Cuddy, A. J., & Fiske, S. T. (2002). Doddering but dear: Process, content, and function in stereotyping of older persons. Ageism:Stereotyping and prejudice against older persons, 3-26.

121.

d'Aquili, E. G., & Newberg, A. B. (2000). The neuropsychology of aesthetic, spiritual, and mystical states. Zygon®, 35(1), 39-51.

122.

Delgado, M. R., Olsson, A., & Phelps, E. A. (2006). Extending animal models of fear conditioning to humans. Biological psychology, 73(1), 39-48.

123.

Erikson, E. H. (1963). Childhood and society, 2nd. New York: WW.

124.

Feifel, H. E. (1959). The meaning of death. New York: McGraw-Hill Book Company.

125.

Frith, C. D., & Frith, U. (2006). The neural basis of mentalizing. Neuron, 50(4), 531-534.

126.

Fishbain, D. A., Cutler, R., Rosomoff, H. L., &Rosomoff, R. S. (1997). Chronic painassociated depression: antecedent or consequence of chronic pain? A review. The Clinical journal of pain, 13(2), 116-137.

127.

Florian, V., Mikulincer, M., & Hirschberger, G. (2002). The anxiety-buffering function of close relationships: evidence that relation-ship commitment acts as a terror management mechanis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2(4), 527.

128.

Fonagy, P., Gergely, G., & Jurist, E. L. (Eds.). (2004). Affect regulation, menta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self. UK: Karnac books.

129.

Fraboni, M., Saltstone, R., & Hughes, S. (1990). The Fraboni Scale of Ageism (FSA): An attempt at a more precise measure of ageism. Canadian Journal on Aging, 9(1), 56-66.

130.

Fraley, R. C., & Bonanno, G. A. (2004). Attachment and loss: A test of three competing models on the association between attachment-related avoidance and adaptation to bereavement.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0(7), 878-890.

131.

Frankl, V. E. (1959). The spiritual dimension in existential analysis and logotherapy. Journal of Individual Psychology, 15(2), 157.

132.

Frankl, V. E. (1962). Psychiatry and man's quest for meaning. Journal of Religion and Health, 1(2), 93-103.

133.

Gaylin, W. (1968). The meaning of despair. New York: Science House.

134.

Greenberg, J., Pyszczynski, T., & Solomon, S. (1986).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a need for self-esteem: A terror management theory. Public self and private self, 189, 189-212.

135.

Greenberg, J., Schimel, J., & Martens, A. (2002). Ageism: Denying the face of the future. Ageism: Stereotyping and prejudice against older persons, 27-48.

136.

Hanh, T. N. (2013). 오늘도 두려움 없이. [Fear:Essential wisdom for getting through the storm](진우기 역). 김영사. (원전은 2012년에 출판).

137.

Hayes, A. F.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Guilford Press.

138.

Heidegger, M. (1998). 존재와 시간. [SEIN UND ZEIT] (이기상 역). 서울: 까치글방. (원전은 1927년에 출판).

139.

Hölzel, B. K., Lazar, S. W., Gard, T., Schuman-Olivier, Z., Vago, D. R., & Ott, U. (2011). How does mindfulness meditation work? Proposing mechanisms of action from a conceptual and neural perspective.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6(6), 537-559.

140.

Jang, Y., Poon, L. W., Kim, S. Y., & Shin, B. K. (2004). Self-perception of aging and health among older adults in Korea. Journal of Aging Studies, 18(4), 485-496.

141.

Jung, C. G. (1968). Man and his symbols. 1964. New York: Laurel-Dell.

142.

Kaufman, G., & Elder, G. H. (2002). Revisiting age identity: A research note. Journal of Aging Studies, 16(2), 169-176.

143.

Kertzer, D. I. (1983). Generation as a sociological problem. Annual review of sociology, 9(1), 125-149.

144.

Kimble, M. A., & Ellor, J. W. (2001). Logotherapy: An overview. Journal of religious gerontology, 11(3-4), 9-24.

145.

Kleinspehn-Ammerlahn, A., Kotter-Grühn, D., &Smith, J. (2008). Self-perceptions of aging: Do subjective age and satisfaction with aging change during old age?.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3(6), 377-385.

146.

Knutson, K. M., Mah, L., Manly, C. F., &Grafman, J. (2007). Neural correlates of automatic beliefs about gender and race. Human brain mapping, 28(10), 915-930.

147.

Levinson, D. (2003). 남자가 겪는 인생의 사계절. [The Seasons of Man’s Life] (김애순 역). 서울: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원전은 1978년에출판).

148.

Leviton, D. (1977). Death education. New meanings of death, 254-272.

149.

Levy, B. R., & Banaji, M. R. (2002). Implicit ageism. Ageism: Stereotyping and prejudice against older persons, 49-75.

150.

Levy, B. R. (2003). Mind matters: Cognitive and physical effects of aging self-stereotype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58(4), 203-211.

151.

Levy, B. (2009). Stereotype embodiment: A psychosocial approach to aging.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8(6), 332-336.

152.

Lifton, R. J., & Olson, E. (1981). 죽음의 윤리. [Living and dying] (이일철 역). 서울: 文志社. (원전은 1974년에 출판).

153.

Lifton, R. J. (1983). The broken connection: On death and the continuity of life. New York: American Psychiatric Pub.

154.

Lifton, R. J., & Olson, E. (2017). Symbolic Immortality. In Death, mourning, and burial: a cross-cultural reader. NJ: John Wiley & Sons.

155.

Maier, H., & Smith, J. (1999). Psychological predictors of mortality in old age.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54(1), 44-54.

156.

Martens, A., Goldenberg, J. L., & Greenberg, J. (2005). A terror management perspective on ageism. Journal of social issues, 61(2), 223-239.

157.

McAdams, D. P. (2001). The psychology of life stories.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5(2), 100.

158.

McCoy, S. K., Pyszczynski, T., Solomon, S., &Greenberg, J. (2000). Transcending the self: A terror management perspective on successful aging. In A. Tomer (Ed.), Series in death, dying, and bereavement. Death attitudes and the older adult: Theories, concepts, and applications (pp. 37-63). New York: Brunner-Routledge.

159.

Mikulincer, M., & Florian, V. (2000). Explo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reactions to mortality salience: Does attachment style regulate terror management mechanism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9(2), 260.

160.

Musaiger, A. O., & D'Souza, R. (2009). Role of age and gender in the perception of aging: A community-based survey in Kuwait.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48(1), 50-57.

161.

Newberg, A. B., & d'Aquili, E. G. (1998). The neuropsychology of spiritual experience. In Handbook of religion and mental health (pp. 75-94). Academic Press.

162.

Olsson, A., & Phelps, E. A. (2007). Social learning of fear. Nature neuroscience, 10(9), 1095-1102.

163.

Palmore, E. (2001). The ageism survey: First findings. The Gerontologist, 41(5), 572-575.

164.

Peck, R. (1968). Psychological developments in the second half of life. In Middle age and aging: A reader in social psychology. Chicago and London:University of Chicago Press.

165.

Pyszczynski, T., Greenberg, J., & Solomon, S. (1999). A dual-process model of defense against conscious and unconscious death-related thoughts: an extension of terror management theory. Psychological review, 106(4), 835-845.

166.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167.

Rogers, D. (1986). The adult years: An introduction to aging. NJ: Prentice Hall.

168.

Schmeichel, B. J., Gailliot, M. T., Filardo, E. A., McGregor, I., Gitter, S., & Baumeister, R. F. (2009). Terror management theory and self-esteem revisited: the roles of implicit and explicit self-esteem in mortality salience effec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6(5), 1077-1087.

169.

Siegel, D. J. (2010). Mindsight: The new science of personal transformation. New York: Bantam.

170.

Smith, G. C., Tobin, S. S., & Fullmer, E. M. (1995). Elderly mothers caring at home for offspring with mental retardation: A model of permanency planning. American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99(5), 487-499.

171.

Speedlin, S., Milligan, K., Haberstroh, S., &Duffey, T. (2016). Using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to Negotiate Losses and Life Transitions. Ideas and Research You Can Use: VISTAS 2016, Article 12.

172.

Synnes, O. (2015). Narratives of nostalgia in the face of death: the importance of lighter stories of the past in palliative care. Journal of aging studies, 34, 169-176.

173.

Tillich, P. (2000). The courage to be.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174.

Tornstam, L. (1989). Gero-transcendcncc: A reformulation of the disengagement theory. Aging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1(1), 55-63.

175.

Urgesi, C., Aglioti, S. M., Skrap, M., & Fabbro, F. (2010). The spiritual brain: selective cortical lesions modulate human self-transcendence. Neuron, 65(3), 309-319.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