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북한이탈주민의 모호한 상실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A Grounded Theory Study on the Ambiguous Loss Experience of North Korean Defector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9, v.38 no.4, pp.699-735
https://doi.org/10.22257/kjp.2019.12.38.4.699
김경아 (성균관대학교)
장혜인 (성균관대학교)
전진용 (국립정신건강센터)
홍진표 (삼성서울병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가족이 생존해있으나 만날 수 없는 모호한 상실 상황 속에서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적 경험을 탐색하고 이를 감내하며 살아가는 적응의 과정을 질적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은 북한이탈주민의 모호한 상실 경험과 적응 과정을 이해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내․외적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재북 가족과 이별한 상황을 경험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 11명과 일대일 심층면담을 수행했다. 수집된 자료는 Strauss와 Corbin(1990;1998)이 제안한 근거이론(grounded theory)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총 128개의 개념을 추출하였고, 이를 다시 39개의 하위범주와 19개의 상위범주로 재구성하였다. 각 범주를 관통하는 핵심 범주는 ‘공존과 상존 자각을 통해 모호한 상실 상황을 감내하며 살아감’으로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주민이 경험하는 모호한 상실 상황 및 적응 과정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모호한 상실 상황에 대처해갈 수 있는 심리사회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keywords
North Korean defectors, ambiguous loss, boundary ambiguity, grounded theory, qualitative study, 북한이탈주민, 모호한 상실, 가족 상실, 근거이론, 질적연구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Ambiguous Loss experience of the North Korean (NK) defectors and its relations to their adjustment to the South Korean society. We also aimed to identify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that may affect this process, and propose a theoretical framework and potential directions to promote NK defectors’ adaptation. An Ambiguous Loss, defined as an unclear loss in view of paradox between physical and psychological presence or absence, is characteristic of NK defectors’ psychological experience because their families are assumed to be alive in North Korea but not for sure, which implies that the loved one may be psychologically present but physically absent. For this study, interviews were administered for 11 participants who have remaining families in NK, and the data gathered from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approach(Strauss and Corbin, 1990; 1999). Findings indicated that the process may be summarized as 128 concepts, 39 subcategories, and 19 categories. We presented ‘Living with Ambiguous Loss by Recognizing Coexistence’ as a core category that may encompass all concepts observed.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discussed.

keywords
North Korean defectors, ambiguous loss, boundary ambiguity, grounded theory, qualitative study, 북한이탈주민, 모호한 상실, 가족 상실, 근거이론, 질적연구

참고문헌

1.

강숙정, 이재창, 이장호 (2010). 새터민 심리적응을 위한 셀프파워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3), 673-706.

2.

강준혁, 엄다원, 이혁구 (2017). 단도박자의 생활고 극복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사회복지연구, 48(4), 121-156.

3.

김다은, 안지현, 이경은, 문승연, 전진용, 장혜인, 홍진표 (2018).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서비스 이용 실태. 대한불안의학회지, 14(1), 28-35.

4.

김대웅, 이순형 (2017). 무연고 북한이탈청소년의 부모 상실에 따른 남한사회 적응의 어려움과 극복과정. 청소년학연구, 24(7), 111-140.

5.

김승현, 최빛내 (2013). 북한이탈주민을 위한PTSD 프로그램 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8(4), 533-548.

6.

김연희, 전우택, 조영아 (2010). 북한이탈주민정신건강 문제 유병율과 영향요인. 통일정책연구, 19(2), 141-174.

7.

김유정 (2011). 북한이탈주민 재결합 가족에 대한 지원 방안-레질리언스 관점을 중심으로. 통일연구, 15(1), 99-129.

8.

김진숙 (2013). 장기실종아동 부모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8(4), 557-577.

9.

김태국, 정은의 (2014). 북한이탈주민의 외상경험 이후 경과시간과 외상 후 성장.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4(1), 257-257.

10.

김현경, 엄진섭, 전우택 (2008).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경험 이후 심리적 성장. 사회복지연구, 39, 29-56.

11.

김희정, 이순형 (2016). 북한이탈가정 아동의 분리경험과 애착양상. 아동학회지, 37(1), 17-36.

12.

노진원, 김현아, 김유정, 박현춘, 우종민 (2016).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북한이탈주민 정신건강 연구 방향 도출. 신경정신의학, 55(3), 185-193.

13.

도승이 (2008). 교실토론상황에서 학생의 감정, 인지, 행동의 상호작용: 근거이론 분석법을 통한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8(1), 198-199.

14.

박은미, 정태연 (2018). 탈북대학생의 대학생활 및 남한사회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7(2), 257-288.

15.

손명아, 김석호 (2017). 북한이탈주민의 가족이주에 관한 연구. 한국인구학, 40(1), 57-81.

16.

윤인진 (2000). 북한이탈주민의 이해와 자원봉사. 북한이탈주민 이해 기본교재, 북한이탈주민 후원회편.

17.

이명순, 박 경 (2011). 북한이탈여성의 외상경험과 우울: 낙관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39.

18.

이민지, 장혜인, 전진용 (2016). 차별지각, 문화적응,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북한이탈주민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여성, 21(3), 459-481.

19.

이혜린, 안지현, 윤세창, 정서현, 장혜인, 홍진표 (2019). 북한이탈주민의 삶의 만족도와 정신 건강 실태 변화에 대한 2 년간추적 연구. 대한불안의학회지, 15(2), 109-114.

20.

임선영 (2013). 외상적 관계상실로부터 성장에 이르는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4), 745-772.

21.

전우택 (2000). 탈북자들의 남한사회 적응과 심리갈등에 대한 이해.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0(1), 67-91.

22.

정유진, 최빛내 (2017). 탈북에서 입국까지의 기간 및 북송경험이 탈북 여성의 심리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2(1), 47-67.

23.

정정애, 손영철, 이정화 (2013). 북한이탈주민의 탈북동기와 남한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편집위원장: 정영태, 215.

24.

정진경, 조정아 (2008). 새터민과 남한주민을 위한 문화통합교육의 과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4(1), 487-518.

25.

조영아 (2011). 북한이탈주민의 차별경험이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2(1), 1-19.

26.

조영아 (2012). 남한에서 자녀와 재결합한 북한이탈여성의 경험.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1), 197-222.

27.

조영아 (2015). 남한 내 북한이탈여성의 차별경험 과정. 여성연구, 37-82.

28.

조영아, 김연희 (2010). 초기 거주 북한이탈여성의 정신건강 고위험군 예측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3), 509-527.

29.

조영아, 김연희, & 유시은. (2009). 남한 내 7년 이상 거주한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예측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1), 329-348.

30.

조영아, 전우택 (2005). 탈북 여성들의 남한 사회 적응 문제: 결혼 경험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0(1), 17-35.

31.

조영아, 전우택, 유정자, 엄진섭 (2005). 북한이탈주민의 우울 예측 요인: 3 년 추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2), 467-484.

32.

조하나, 최연실 (2013). 북한이탈 기혼여성의 심리적 적응을 위한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가족상실로 인한 우울감 및 죄책감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4(2), 1327-1345.

33.

진미정, 김상하 (2018). 북한이탈주민의 가족이주 특성과 유형. 대한가정학회, 56(3), 317-330.

34.

최현옥, 손정락 (2011). 한국형 마음챙김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K-MBSR) 프로그램이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경험회피 및 수치심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3), 469-482.

35.

한 나, 이승연 (2015). 통일 한국을 준비하는 심리학 연구의 방향성. 한국심리학회지:일반, 34(2), 485-512.

36.

한성열, 이종한, 금명자, 채정민, 이영이 (2007).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의 대인관계와 문화적응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3(2), 33-54.

37.

한인영, 이소래 (2002). 북한이탈주민의 이주형태 및 성별에 따른 건강관련 특성 비교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0, 121-142.

38.

Afifi, T. D., & Keith, S. (2004). A risk and resiliency model of ambiguous loss in postdivorce stepfamilies. The Journal of Family Communication, 4(2), 65-98.

39.

Betz, G., & Thorngren, J. M. (2006). Ambiguous Loss and the Family Grieving Process. FAMILY JOURNAL -ALEXANDRIA VA-, 14(4), 359-365.

40.

Boss, P. (1999). Ambiguous loss: Learning to live with unresolved grief. Cambridge, MA, US: Harvard University Press.

41.

Boss, P. (2006). Loss, trauma, and resilience:Therapeutic work with ambiguous loss: WW Norton & Company.

42.

Boss, P. (2007). Ambiguous Loss Theory:Challenges for Scholars and Practitioners. Family Relations: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pplied Family Studies, 56(2), 105-111.

43.

Boss, P. (2016). The Context and Process of Theory Development: The Story of Ambiguous Loss. Journal of Family Theory & Review, 8(3), 269-286.

44.

Boss, P., Beaulieu, L., Wieling, E., Turner, W., & LaCruz, S. (2003). Healing loss, ambiguity, and trauma: A community-based intervention with families of union workers missing after the 9/11 attack in New York City.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29(4), 455-467.

45.

Boss, P., Bryant, C. M., & Mancini, J. A. (2016). Family stress management: A contextual approach:Sage Publications.

46.

Boss, P., & Yeats, J. R. (2014). Ambiguous loss: a complicated type of grief when loved ones disappear. Bereavement Care, 33(2), 63-69.

47.

Chung, R. C.-Y., & Kagawa-Singer, M. (1993). Predictors of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Southeast Asian refugees. Social Science &Medicine, 36(5), 631-639.

48.

Creswell, J. W., & Poth, C. N. (2017).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Sage publications.

49.

Etikan, I., Musa, S. A., & Alkassim, R. S. (2016). Comparison of convenience sampling and purposive sampling. American Journal of Theoretical and Applied Statistics, 5(1), 1-4.

50.

Faber, A. J., Willerton, E., Clymer, S. R., MacDermid, S. M., & Weiss, H. M. (2008). Ambiguous absence, ambiguous presence: a qualitative study of military reserve families in wartime.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2(2), 222-230.

51.

Falicov, C. J. (2002). Ambiguous loss. Latinos:Remaking America, 274-288.

52.

Falicov, C. J. (2005). Ambiguous loss: Risk and resilience in Latino immigrant families. The new immigration: An interdisciplinary reader, 197-206.

53.

Juang, L. P., Simpson, J. A., Lee, R. M., Rothman, A. J., Titzmann, P. F., Schachner, M. K.,... Betsch, C. (2018). Using attachment and relational perspectives to understand adaptation and resilience among immigrant and refugee youth. American psychologist, 73(6), 797.

54.

Lee, R. E., & Whiting, J. B. (2007). Foster children's expressions of ambiguous loss.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35(5), 417-428.

55.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Vol. 75): Sage.

56.

Luster, T., Qin, D., Bates, L., Johnson, D., & Rana, M. (2009). The Lost Boys of Sudan:Coping with ambiguous loss and separation from parent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79(2).

57.

Padgett, D. K. (2016).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 (Vol. 36): Sage Publications.

58.

Pérez, R. M. (2015). Cuba no; Miami sí: Cuban Americans coping with ambiguous loss. Journal of Human Behavior in the Social Environment, 25(1), 50-66.

59.

Robins, S. (2010). Ambiguous loss in a non-Western context: Families of the disappeared in postconflict Nepal. Family Relations: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pplied Family Studies, 59(3), 253-268.

60.

Solheim, C., Zaid, S., & Ballard, J. (2016). Ambiguous loss experienced by transnational Mexican immigrant families. Family Process, 55(2), 338-353.

61.

Solheim, C. A., & Ballard, J. (2016). Ambiguous loss due to separation in voluntary transnational families. Journal of Family Theory & Review, 8(3), 341-359.

62.

Strauss, A., & Corbin, J.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Sage publications.

63.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Procedures and techniqu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In: Thousand Oaks, CA: Sage.

64.

Stroebe, M., & Schut, H. (1999). The dual process model of coping with bereavement: Rationale and description. Death Studies, 23(3), 197-224.

65.

Stroebe, M., & Schut, H. (2015). Family matters in bereavement: Toward an integrative intra-interpersonal coping model.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10(6), 873-879.

66.

Wahlig, J. L. (2015). Losing the child they thought they had: Therapeutic suggestions for an ambiguous loss perspective with parents of a transgender child. Journal of GLBT Family Studies, 11(4), 305-326.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