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지각표상(知覺表象)의 형성에 있어 개념주도적(槪念主導的) 처리와 자료주도적(資料主導的) 처리의 상대적 기여

Relative Contributions of Data-vs. Concept-Driven Processing to the Growth of a Percept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1983, v.4 no.2, pp.69-82
김정오(Jung-Oh Kim) (서울大學校 心理學科)
이양(Yang Lee) (서울大學校 心理學科)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多試行 知覺學習課題를 사용한 두 實驗들을 통해서 한글 글자의 정확한 知覺表象의 形成에 기여하는 資料主導的 處理와 槪念主導的 處理의 相對的 效果를 검토하였다. 피험자들은 50~60 % 正確擁購에서 세 세트의 三重글자들을 제시받았다. 각 三重글자의 글자들은 단지 한 細部特徽에서만 區別되는, 즉 그 總體的 水準에서 매우 유사하였다. 세 세트의 三重글자들을 제시하는 방법은 Chastain(1977)이 고안한 두 방법을 사용하였다. 位置세트條件에서는 세 카아드에 걸쳐서 같은 위 치에 세 유사한 글자들이 제시되므로 개념주도적 처리를 조장할 것으로 간주되었다. 水平세트條件에서는 유사한 세 글자들이 한 카아드에 동사에 제시되므로 資料主導的 處理를 조장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Chastain 이 보고한 결과와는 정반대로 水平세트條件이 위치세트에 비해 우세한 수행을 보였다. 이 結果들은 閾水準에서 제시되는 매우 類似한 剌戟들에 대한 再認反應에 피이드백을 주지않는 知覺狀況에서 資料主導的 處理가 우세함을 시사한다.

keywords

Abstract

Using a multi-trial perceptual learning task, two experiments explored relative contributions of data-vs, concept-driven processing to the development of correct percepts for the Korean Geulja which is similar to the syllable in English and consists of consonants and a vowel. Subjects were presented with three sets of triple Geulja at exposure durations for 50-60% accuracy levels. Three Geuljas in each triple were discriminable by one or two features, i.e., they were very similar at the global feature level. Two methods for presenting stimuli, developed by Chastain (1977), were employed: The positional and the horizontal sets. The former set in which three similar Geuljas of a triple were presented at the same position over three successive cards was presumed to encourage subjects to rely on concept-driven processing. The horizontal set in which three similar Geuljas were simultaneously presented in a card .,vas expected to encourage subjects to adopt data-driven processing. Contrary to the results reported by Chastain, the present experiments consistently found the superior performance on the horizontal over the positional set, especially at the third position of a triple as well as at the rate of reduction in recognition errors. These results indicate the dominance of the data-driven processing in the perceptual conditions where no feedback was given to the subject's recognition response to one of very similar stimuli presented at the threshold.

keywords
투고일Submission Date
1983-11-24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