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노인과 노화과정에 대한 태도의 요인분석(I) - 중ㆍ상류 30-40대 연령층을 대상으로 -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nd Aging (I)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1988, v.7 no.1, pp.63-73
윤진(Gene Yoon)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는 중년층을 대상으로 노인과 노화과정에 대한 태도를 요인분석방법을 통하여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세응답자 508명(남녀 각 254명씩)은 모두 노화와 관련된 생물학적, 신체적, 사회적, 심리적 변인 둥과 관련된 50개 문항으로 구성된 이 질문지를 지역사회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이들의 자료를 요인분석한 결과 5개의 주요요인인 얻었다 : 1) 자녀 - 가족관계 대한 긍정적 효과, 2) 행동특성의 부정적 변화, 3) 능력감퇴경향, 4) 경직성과 사회적 유리경향, 그리고 5) 일상생활과 관련된 변인들-생활만족 대 소외변인-. 특히 외국의 예에서와는 달리 가족관계에 대한 공정적 효과는 가족의 화목과 응집성을 중요시하는 우리문화의 독특한 측면을 반영하는 것이다.

keywords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at exploring the possible dimensions of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nd the aging processes of the middle-aged Korean people through the factor analysis. Total of 508 respondents, 254 for each sex respectively, ages from 30 to 49(Mdn=38yrs)were recruited in Seoul. The preliminary attitude inventory was consisted of 50 items concerning eleven different aspects as follows: 1) biological aging 2) personality change 3)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mental health 4) sensory and perceptual ability change 5) deterioration of learning abilities and performance 6) generation differences 7) family relations 8) retirement 9) senile / chronic diseases 10) attitude toward death and dying and 11) misellaneous. The principal-component factor analysis with varimax rotation shows the attitude of middle-aged toward the elderly and aging processes can be identified as following five factors: 1) positive aspects of family relations 2) negative changes in behavior characteristics 3) deterioration of abilities 4) rigidity and social disengagement 5) negative aspects of everyday life events. Especially the factor of the positive aspects of family relation was discussed.

keywords
투고일Submission Date
1988-04-20
수정일Revised Date
1988-07-30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