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참조개념의 특수-보편성과 도구적 추론

Effects of the Specific and General Term Referencing on Instrumental Inference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1989, v.8 no.1, pp.1-16
유창화 (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이정모 (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도구개념이 행위개념속에서 언급되는 명시성과 행위개념을 통해 함의되는 도구개념들의 중다성 그리고 도구개념에 대한 참조유형들이 도구개념 추론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 I에서는 도구개념의 명시성 여부와 도구개념에 대한 참조유형을 조작하였다. 참조문장에 대한 읽기시간은 명시조건이 함의조건보다 빨랐으며, 도구개념이 함의된 경우에서는 특수예 참조조건이 보편범주명 참조조건보다 빨랐다. 재인검사문장에 대한 반응율에서는 명시조건이 함의조건보다 높았으며, 함의조건에서는 참조조건이 무 참조조건보다 높은 재인반응률을 보였다. 실험2에서는 행위개념 맥락을 통해 함의되는 도구개념들의 중다성과 재인검사문장에 포함되는 도구개념의 함의 강도를 조작하였다. 참조문장에 대한 읽기시간은 단일도구 함의조건에서는 참조유형에 상관없이 빨랐으며, 중다도구 함의조건에서는 특수예 참조조건이 보편범주명 참조조건보다 빨랐다. 검증 반응율에서는 재인검사문장이 강한 함의의 도구개념을 포함할 때가 약한 함의의 도구개념을 포함할 때 보다 반응율이 높았다. 실험 3 에서는 재인검사단어를 사용하여 검증반응 특성을 살펴보았다. 검증 반응율에서는 참조조건이 무 참조조건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검증반응시간에서는 특수예 참조조건이 가장 빠르고 그 다음으로 보편 범주명이 참조조건, 무참조조건 순의 참조유형에 따른 차이가 유의했다.

keywords

Abstract

In three experiments, the effects of types of referencing terms and multiplicity of implied instrumental concepts on referential resolution were investigated. Experiment 1 showed that explicit referencing sentences were read faster and recognized better than the implicit ones, and that specific term referencing sentences were read faster than the general term referencing ones. Experiment 2 showed reading time was faster for the specific term referencing sentences than for general term referencing ones under multiple instrumental implication condition(MIIC), while no difference was found under single instrumental implication condition(SIIC). In Experiment 3,it was found that under SIIC target words in general term referencing sentences were recognized slower than in specific term referencing sentences and in explicit referencing ones. With MIIC, there was no difference across different types of referencing. The general results of three experiments were interpreted as suggesting that resolution of referencing relation is effective if instrumental concepts are implied strongly and uniquely in action context.

keywords
투고일Submission Date
1989-07-17
수정일Revised Date
1989-10-04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