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착시효과를 통해서 본 심상의 표상특성

Illusions Induced by Imagination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1989, v.8 no.1, pp.34-43
정찬섭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유명현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심상과 시지각 사이의 기능적인 유사성을 검증해 보고, 심상내에 어떤 차원의 자극정보가 표상될 수 있는가를 밝히기 위하여 착시도형을 이용한 실험이 수행되었다. 자극으로 사용된 착시도형은 Ponzo, Gibson 및 Ebbinghaus의 착시도형과 Necker cube를 이용하여 선분길이의 착시효과를 보기 위한 도형 등 모두 다섯가지였다. 선택된 착시도형들은 착시유도 자극과 착시검사 자극의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시차를 두고 피험자에게 제시되었다. 각 도형의 착시유도 자극은 원래의 착시도형에서 모든 선분을 제거한 뒤 도형의 모서리나 꼭지점을 나타내는 몇개의 점만으로 구성되었고 검사자극으로는 착시가 나타나는 부분이 그대로 사용되었다. 피험자에게 먼저 착시유도 자극은 제시하고 제시된 유도자극을 구성하고 있는 점들 가운데 일부를 이용하여 원래의 도형에서 착시를 발생시키는 부분을 심상으로 형성하도록 하였다. 검사자극을 피험자들이 착시유도자극부분을 머리속에 그리고 있는 동안 순간적으로 제시되었으며 피험자는 검사자극의 상대적 길이, 방향, 크기 등을 판단하였다. 실험 결과, 착시도형의 착시유도부분을 심상으로 형성한 경우에도 착시가 발생하여 심상의 착시발생효과가 실제 자극과 유사하다는 것이 관찰됨으로써 심상내에 길이, 방향, 크기, 깊이와 관련된 정보가 시지각에서와 유사한 형태로 표상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keywords

Abstract

An experimen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equivalence between mental imagery and perception and to identify the representational features that could be included in mental imagery. In the experiment, subjects were tested with various types of modified versions of common fllusory figures to examine whether illusion could be induced by imagination. For the purpose of experiment, the illusory figures were separated into two different parts, one for the illusion inducing part and another for the to-be-distorted part. Furthermore. the illusion inducing part was modified in such a way that it included only a limited set of dots corresponding to the end points of the illusion inducing features. While the subject was viewing the inducing part and imagining the missing part, the test figure (the to-be-distorted) was briefly flashed and then the subect was asked to judge the length, orientation, or size of the to-be-distorted test elements. All of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reported their judgements in the direction that might be anticipated with the real illusory figures. Such result was interpreted as an index of a functional equivalence between the imagery and the percept and thus an indication of sharing some common information processing channels by the two structures.

keywords
투고일Submission Date
1989-08-04
수정일Revised Date
1989-10-07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