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사회적 표상이론에 대한 한 고찰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Theory of Social Representation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1990, v.9 no.1, pp.74-86
최상진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Serge Moscovici에 의해 창안된 社會的 表象理論은 오늘날 유럽의 社會心理學 및 心理學一般에서 새로운 理論的 파라다임으로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표상이 무엇을 뜻하며, 지칭하느냐의 槪念規定의 문제와 관련해서 연구자간에 상당한 異見과 誤解가 있어왔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槪念 및 理論的 問題와 관련된 기존의 사회심리학 논문은 물론 이 개념 및 이론과 관계된 社會學 및 哲學的 理論의 고찰을 통해, 이 개념에 대해 보다 精巧하고 구체적인 槪念化를 시도하였다. 동시에 社會·文化的 側面을 강조하는 이 이론의 특성을 個人心理中心의 미국의 사회심리학과 관련시켜 논하였으며, 끝으로 이 이론에 적합한 방법론적 이슈를 논하였다.

keywords

Abstract

Despite its enormous paradigmatic influence upon social psycholgy arid psychology in general in European context, the concept of Serge Moscovici's social representations suffers from definitional ambiguity. It still remains at the level of debate as to what it is and/or what it is not. The present paper was addressed primarily to this conceptual dispute. In particular, an emphasis was placed upon integrating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as well as conceptual developments of social rep-resentations, on which a more solid and reified conceptualization of the concept was sought. Implications were made in relation to the currently dominant tradition of individualistic American social psychology, particularly focusing upon the area of social cognition. Finally, methodological issues associated with the theory were discussed.

keywords
투고일Submission Date
1990-08-27
수정일Revised Date
1990-10-04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