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The effect of mental war power on adjustment to military life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mental war power on adjusting to military life. The participants were 1327 soldiers from Seoul, Gyeonggi-do, Gangwon-do, Gyeongsang-do, and Chungchong-do. The present study utilized mental war power, subjective well-being, depression, anxiety, suicidal behavior, and social desirability sca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mental war pow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adjustment to military life even after social desirability level was statistically controlled.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keywords
mental war power, adjustment to military life, subjective well-being, suicidal behavior. social desirability, 정신전력, 군 생활 적응, 행복, 자살, 관심병사, 사회적 바람직성, mental war power, adjustment to military life, subjective well-being, suicidal behavior. social desirability

Reference

1.

구승신 (2004). 신세대 병사의 군 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

구승신 (2006). 신세대 병사의 정신건강 실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도 육군○○부대 병사들을 대상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4(단일호), 64-93.

3.

구재선, 서은국 (2011). 한국인, 누가 언제 행복한가?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2), 143~166.

4.

국방대학교 (2010). 장병 정신전력평가도구 개발 용역사업 제안요청서. 서울: 국방대학교.

5.

국방부 (1977). 정신전력의 지도이론과 실제. 서울: 국방부.

6.

국방부 (1983). 정신전력 지도지침서. 서울: 국방부.

7.

국방부 (1998). 정신전력 지도지침서. 서울: 국방부.

8.

김무일 (2002). 장병정신전력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지휘관을 중심으로 한 종교생활을 통하여. 정신전력연구, 30, 125-162.

9.

김영삼 (2009). 군 장병 정신 전력 강화를 위한 군 매체 활성화 방안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오현 (2007). 정신전력과 리더십의 역할정립에 관한 연구. 정신전력논집, 9.

11.

김윤근 (2006). 병사들의 군 적응유연성에 영향을 주는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학옥 (1989). 정신전력의 발전. 서울: 배영사.

13.

남봉균 (2001). 군 정신전력의 이론적 기초 연구. 정신전력연구, 29, 187-216.

14.

노명화, 최병운 (2008). 군 정신교육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국방대학교 연구보고서.

15.

류흥렬 (2010). 장병의 리더십 유형과 정신전력의 관계성에 대한 실증연구-중대급 이하 부대의 NI세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성현, 박휘락, 이명주, 오종권, 양태욱 (2010). 정신전력 평가도구 개발 연구. 서울: 21세기군사연구소.

17.

박화노 (2004). 실무부대에서의 정신교육 발전방향. 정신전력연구, 35.

18.

박현철 (2001). 군인의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원,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서은국, 구재선, 이동귀, 정태연, 최인철 (2010). 특별 심포지엄: 한국인의 행복 및 정신건강 지수: 한국인의 행복 지수와 그 의미.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13-232.

20.

서은국, 구재선 (2011). 단축형 행복 척도(COMOSWE)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 95-113.

21.

서혜석, 김정은 (2009). 육, 해군병사의 진로발달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6(6), 25-43.

22.

손희락 (2001). 신세대 장병의 스트레스가 부대 적응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송유창 (2007). 군 사기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교환이론에 입각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송찬미 (2009). 군병원 퇴원예정병사의 군적응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심재철 (2006). 국군 정신교육실태와 병영커뮤니케이션 패턴 연구. 서울: 고려대 언론연구소.

26.

안현의, 최병순, 손난희, 이문희, 서은경, 이은진 (2006). 2006년도 인권상황실태조사 연구용역보고서: 군복무 부적응자 인권상황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7.

안현의, 손난희, 이문희, 서은경 (2007). 군복무 부적응 실태 및 인권침해 경험과의 관련성. 상담학연구, 8(2), 425-435.

28.

엄덕희 (2009).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육군본부 (1973). 정신전력 강화법(장교교재Ⅶ). 서울: 육군본부, 장교교재Ⅶ, 14-18.

30.

유명덕 (2008). 군에서의 정신교육이 병사들에게 미치는 영향의 실증적 연구. 정신전력연구, 10.

31.

윤민재 (2008). 군인 인권과 사고(자살)예방프로그램 연구. 민주주의와 인권, 8(1), 79-109.

32.

이윤희. (1963). 군대생활의 적응.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종현, 최광현 (1998). 정신전력 평가모형 및 지침 정립. 서울: 한국국방연구원.

34.

이종현, 김환청, 문광건 (2001). 무형전력 평가체계 기반연구-전투요원의 행태적 측면을 중심으로. 서울: 국방연구원.

35.

이주희 (2007). 성격특성,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병사의 군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이해동 (2004). 상관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사병의 스트레스와 우울 및 불안과의 관계.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혜선 (2009). 한국판 자살생각척도(K-BSI)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4), 1155-1173.

38.

임민혁, 미군도 정신건강에 빨간불…특별 프로그램 시작, 전자조선일보, 2011년 7월 6일자.

39.

임우진 (2007). 보호관심병사 지도를 위한 군 상담 활성화 방안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임인재, 김신영, 박현정 (2003). 심리측정의 원리. 서울: 학연사.

41.

장성우 (2001). 정신전력 태도 평가척도에 관한 실증적 고찰: 정신전력 지도지침서의 항목을 중심으로. 정신전력연구, 28, 131-160.

42.

장영주 (2008). 한국전 정훈교육 변화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3.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2001).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59-76.

44.

전병규 (2008). 한국군의 정신전력 결정 요인.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5.

전원근 (2001). 정신전력 요소의 계량화를 위한 방법론 연구. 정신전력연구, 28, 105-129.

46.

정미경, 고기숙 (2009). 군 병사들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이 자살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연구, 40(4), 453-483.

47.

정원철 (2007). 후방복무병사의 군대부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2007 년도 국제학술대회(창립 50 주년기념), 481-487.

48.

정원철, 박영주 (2011). 병사의 군부적응 및 적응력향상 관련 국내 연구동향의 개관. 청소년학연구, 18, 49-71.

49.

제정관 (2004). 장병 정신전력과 신세대 가치관

50.

정원철. (2006). 병사의 군 부적응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2(2), 73-93.

51.

조남국 (1989). 정신전력의 진단도구와 분석 프로그램. 육사 논문집, 36, 241-258.

52.

조영갑 (2004). 제 3회 교육훈련발전세미나-신세대 장병의 사회인식과 군 정신교육의방향.

53.

진석범 (2001). 군 장병들의 스트레스 요인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진양갑 (2007). 국방개혁시대의 정신전력 강화방안. 정신전력연구, 37, 201-238.

55.

최광현 (2004). 사기 측정도구 개발. 국방정책연구, 겨울호.

56.

최보라 (2007).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 타당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

최병운 (2007). 행위이론과 무형전력의 개념체계. 정신전력연구, 38.

58.

최현동 (2005). 군대 조직 구성원의 세대간 심리적 특성 및 정신전력 비교.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9.

최혜란 (2009).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우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

최혜란, 박숙희 (2009).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상담학연구, 10(3), 1743-1756.

61.

최효석 (2008). 정신전력 성과측정 방안 연구. 정신전력논집, 11, 157-193.

62.

한덕웅, 이창호, 탁진국 (1993). Spielberger 상태-특성 불안 검사의 표준화. 학생지도연구, 10, 214-222.

63.

한동원 (2008). 상․하간 공감대 형성을 통한 정신전력 강화 방안. 정신전력연구, 40.

64.

한인영 (1999). 군인의 정신건강문제와 군 사회사업실천의 필요성.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8(단일호), 199-219.

65.

한인영 (2000) 군 사회복지사 도입의 필요성 고찰: 미군의 군 사회복지사활동 내용을 중심으로. 국방정책연구, 가을호, 19-35.

66.

한태근 (2006). 군 사회복지사 제도 도입 필요성 과 제도화 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7.

함봉진, 전흥진, 장성만, 이해우, 이효정, 심은정 (2007). 국방부 연구용역사업보고서-군내 정신질환(급성, 외상후스트레스장애 포함)의 유병율 조사. 서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68.

Casey Jr, G. W. (2011). Comprehensive soldier fitness: A vision for psychological resilience in the US Army. American Psychologist, 66, 1.

69.

Cornum, R., Matthews, M. D., & Seligman, M. E. P. (2011). Comprehensive Soldier Fitness: Building resilience in a challenging institutional context. American Psychologist, 66, 4.

70.

Fravell, M., Nasser, K., & Cornum, R. (2011). The Soldier Fitness Tracker: Global delivery of Comprehensive Soldier Fitness. American Psychologist, 66, 73.

71.

Gal, R., & Manning, F. J. (1987). Moral and its components: A cross-national comparison.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7, 369- 391.

72.

Kimmel, M.. J., & O’Mara, F. E. (1981). The measurement of morale.

73.

Lester, P. B., McBride, S., Bliese, P. D., & Adler, A. B. (2011). Bringing science to bear: An empirical assessment of the Comprehensive Soldier Fitness program. American Psychologist, 66, 77.

74.

Osman, A., Bagge, C. L., Gutierrez, P. M., Konick, L. C., Kopper, B. A., & The suicidal behaviors questionnaire revised (SBQ-R): validation with clinical and nonclinical samples. Assessment, 8, 443-454.

75.

Paulhus, D. L. (1998). Paulhus Deception Scales (PDS): The Balanced Inventory of Desirable Responding. North Tonawanda, NY: Multi- Health Systems.

76.

Peterson, C., Park, N., & Castro, C. A. (2011). Assessment for the US Army Comprehensive Soldier Fitness program: The Global Assessment Tool. American Psychologist, 66, 10.

77.

Ralph, R. O., & Corrigan, P. W. (2005). Recovery in mental illnes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78.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 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85-401.

79.

Scales, R. H. (2009). Clausewitz and world war IV. Military Psychology, 21, 23-35.

80.

Seligman, M. E. P. (2011). Flourish: A visionary new understanding of happiness and well-being: William Heinemann (우문식, 윤상윤 역. 《플로리시》. 서울: 물푸레, 2011.)

81.

Spielberger, C. D. (1970).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82.

Stouffer, S. A., Edward A. S., Leland C. D., Shirley A. S., & Robin M. W. (1949). The American soldier: Adjustment during army lif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