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항공교통관제사의 전문성이 상황인식에 미치는 영향
송창선(연세대학교) ; 윤용식(연세대학교) ; 손영우(연세대학교) pp.521-534 https://doi.org/10.24230/ksiop.25.3.201208.52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항공교통관제사의 숙련 정도가 정상 및 비정상 관제상황에 따라 상황인식 수행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관제사들을 전문성의 정도에 따라 초보자와 전문가 집단으로 나누고 상황의 특수성에 따른 상황인식 수행의 차이와 전문가와 초보자의 작업기억이 상황인식 수행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실험 1은 전문가와 초보자 관제사에게 정상적, 비정상적 관제상황을 달리 제시하여 상황인식 과제의 수행 차이를 알아보았고, 추가적으로 작업기억 사용을 방해하는 과제를 제시하여 상황인식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비정상적 상황은 전문가 집단의 상황인식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초보자 집단의 상황인식에는 현저하게 낮은 상황인식 수행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해과제를 부여 했을 때 관제사들의 상황인식 정확도는 전반적으로 떨어졌지만, 전문가 집단은 초보자 집단에 비해 높은 정확성이 유지하였다. 실험 2는 작업기억 용량 과제를 이용하여 상황인식 수행에 영향을 끼친다고 여겨지는 작업기억 용량이 전문가와 초보자 사이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작업기억 용량은 전문가와 초보자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상황인식의 각 단계 수행이 관제사의 전문성에 의해 나아질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있으며, 관제사의 전문성 개발 및 훈련의 필요성을 시사해주고 있다.

Abstract

This research examined air traffic controller performance on situation awareness (SA) tasks for routine and non-routine situations. Additionally, the difference of working memory capacity between novices and experts was analyzed. To assess SA performance, participants were asked to answer the query after the simulation was frozen. We employed 2*2*2 mixed factorial design including the between-subjects variable of air traffic controller expertise (novices, experts) and the within-subjects variables of the normality of situation (routine, non-routine), and the distracter task (yes, no) and then assessed the capacity of working memory. The results suggest that experts' performance significantly remained higher than novices for non-routine situations. When the distracter task was given, experts' SA accurac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novices for both routine and non-routine situations.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 in working memory capacity between experts and novic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erformance on SA task was affected by the expertise of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raining.

개인-직무 부합과 직무탈진 및 직무열의 관계: LMX의 조절효과
허창구(아주대학교) ; 신강현(아주대학교) pp.535-556 https://doi.org/10.24230/ksiop.25.3.201208.53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기업 연구직 및 사무직 종사자 382명을 대상으로 개인-직무간 부합이 직무탈진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러한 영향력이 LMX에 의해 조절되는가를 검증하였다. 먼저 주효과 분석에서 개인-직무간 부합은 직무탈진을 감소시키는 반면 직무열의를 증가시켰으며, 이러한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전 연구들에서 개인-직무간 부합이 보여주었던 다양한 긍정적인 효과가 직무탈진과 직무열의에 대해서도 확인된 것이었다. 다음으로, 개인-직무간 부합이 직무탈진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LMX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LMX는 직무탈진에 대한 개인-직무간 부합의 부적 영향과 직무열의에 대한 개인-직무간 부합의 정적 영향 모두를 강화시켰으며, 이러한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LMX의 질이 높을수록 개인-직무간 부합으로 인한 직무탈진의 감소와 직무열의의 증가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P-J Fit on burnout and work engagement in a sample of 382 employees from major company.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influences of LMX to burnout and engagement and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LMX on the influences. The results showed that P-J Fit reduced level of burnout and elevated level of work engagement and the influ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means that positive influence of P-J Fit which verified in many previous researches was also founded in burnout and engagement. Next, we found that these positive effects of P-J Fit were moderated by LMX. In other words, LMX were enhancing the positive effect of P-J Fit to engagement and negative effect to burnout. It implies that people who have good relation to their superiors feel less burnout due to P-J Unfit and feel more engagement due to P-J Fit. So, the relations between people in company are as important as job characteristic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다양한 개인-환경부합 유형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종단적 연구
탁진국(광운대학교) pp.557-570 https://doi.org/10.24230/ksiop.25.3.201208.55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다양한 개인-환경부합 유형과 종업원들의 정신건강간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1차 조사는 현 회사가 첫 직장이고 근속기간이 6개월 이내인 901명의 신입사원으로부터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2차 조사는 6개월 후 동일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이 중 297명이 응답하였다. 이 가운데 이미 회사를 옮긴 80명을 제외한 217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세 가지 부합 유형 가운데 개인-조직부합이 1, 2차 모두에서 세 가지 정신건강 변인들(정신건강, 생애만족, 심리적 소진)과 가장 크게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상사 부합이 가장 낮게 관련되었다. 또한 세 가지 개인-환경 부합은 전반적으로 2차 시점에서의 정신건강보다는 1차 시점에서의 정신건강 변인들과 더 강하게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 결과에서도 이러한 경향은 유사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그리고 미래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person-environment fit types and employees' mental health with a longitudinal data. I collected an initial survey data from 901 employees who had been with their organizations for 6 months at most and whose current organizations were their first employers. Of these respondents, only 297 responded to the second survey, 6 months after the first. Among these employees, 80 who left their companies were deleted. The results of correlational analyses showed that among three types of fit, person-organization fit correlated more strongly with mental health, life satisfaction, and burnout on the first and second surveys rather than did person-job fit and person-supervisor fit. Results of regression analyses also showed similar results.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운전스트레스와 대처행동 양식이 교통사고 위험에 미치는 영향에서 속도욕구좌절의 조절효과
이순열(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 이순철(충북대학교) pp.571-587 https://doi.org/10.24230/ksiop.25.3.201208.571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riving stress on traffic accident risk. Specifically, the study verified whether a driver's speed desire frustration plays a control role in the relations between driving stress and traffic accident risk. As a result, a driver's speed desire frustration level played a control role in the relation between driving stress and traffic accident risk. This indicates that a driver's speed desire frustration level change driving stress sensitivities, thus changing the effects of selecting coping behavior types and causing differences in total traffic accident risk. The results show that the mere concentration on driving stress management cannot sufficiently lower the traffic accident risks caused by driving stress. This is because driving stress have indirect influences on traffic accident risk. Hence, it will be necessary to seek how to reduce driving stress and control coping behavior types in order to lower the traffic accidents risk by the stress.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심리적 계약 위반의 효과: 기질적 정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지은(한양대학교) ; 오원경(한양대학교 경영대학) ; 김민수(한양대학교) pp.589-606 https://doi.org/10.24230/ksiop.25.3.201208.58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심리적 계약 위반의 효과와 이들 사이에 기질적 정서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실증분석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건설업 종사자 중에서 사무직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응답에 문제점이 없는 31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심리적 계약 위반의 약속과 실제 이행의 수준이 일치할수록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이 증가하였으며, 위반과 조직시민행동 사이에 기질적 정서가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구성원의 긍정적 정서는 심리적 계약 위반이 실제로 이행된 정도와, 부정적 정서는 조직과 구성원이 맺은 약속의 정도와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심리적 계약 위반이 조직구성원들의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재 입증하였을 뿐 아니라, 나아가 기질적 정서의 영향을 입증으로써 조직과 구성원간의 관계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갖는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at the role of dispositional affec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Based on data from 318 employees, we found that when the levels of promised and delivered inducements of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are equal, employees’ OCB increases the absolute levels of two types of inducements increase. Furthermore, we found that dispositional affectivit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and OCB. While positive affectivity strengthe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livered inducements of breach and OCB, negative affectivit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mised inducements of breach and OCB. These results contribute the psychological contract literature and employment relationship.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주도적 성격과 창의적 행동 간의 관계: 학습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와 자기효능감, 조직풍토, 상사지원의 조절효과
은영신(광운대학교) ; 유태용(광운대학교) ; 서학삼(공군 제11전투비행단) pp.607-632 https://doi.org/10.24230/ksiop.25.3.201208.6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주도적 성격이 학습목표지향성과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둘째, 학습목표지향성이 주도적 성격과 창의적 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 셋째, 주도적 성격이 학습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 마지막으로, 학습목표지향성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조직의 창의적 풍토와 창의성에 대한 상사의 지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 기업에 근무하는 종업원 3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주도적 성격, 학습목표지향성, 창의적 자기효능감, 조직의 창의적 풍토, 창의성에 대한 상사의 지원에 대한 자료를 얻었다. 공통방법편파에 의한 결과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하여 창의적 행동은 조사대상자들이 직접 응답하지 않고 그들과 함께 근무하는 타인이 평정하였다. 연구 결과, 주도적 성격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학습목표지향성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적 자기효능감은 주도적 성격과 학습목표지향성의 관계를 조절하였으며, 조직의 창의적 풍토는 학습목표지향성과 창의적 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창의적 행동에 대한 상사의 지원은 학습목표지향성과 창의적 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앞으로의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roactive personality on creative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goal orien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behavior, the moderating effect of creative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learning goal orientat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reative climate and supervisor support for crea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creative behavior. Data were gathered from 330 employees who were working in one organization in Korea. To reduce the effect from the common method bias, the creative behavior was rated by others(three hundred and thirty peers, subordinates, and supervisors). As a result, learning goal orient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behavior. Creative self-efficac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learning goal orientation. Organizational creative climat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creative behavior. Also supervisor support for creativity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creative behavior. Finally, implication of results and future research tasks were discussed with limitation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