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권호 목록

한국판 FFMI(Five Factor Machiavellianism Inventory) 타당화 연구
남창형(영남대학교) ; 서종한(영남대학교) pp.119-150 https://doi.org/10.24230/kjiop.v37i3.119-15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마키아벨리즘 평가 도구인 FFMI(Five Factor Machiavellianism Inventory)를 국내에 타당화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마키아벨리즘은 어두운 3요소 성격 중 하나로 목적을 위해 수단을 정당화 한다는 목적지향적 성격 특성을 가진다. 연구 1에서는 FFMI를 국내 정서에 맞게 번역하여 만 19세 이상의 성인 210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 및 부분제약 목표회전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원척도와 동일한 상위 3요인 구조인 주체성, 계획성, 적대감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하위요인의 이동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진 연구 2에서는 연구 1과 다른 만 19세 이상 성인 300명의 표본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FFMI의 일반화가 가능한 도구임을 확인하였으며, Rasch 검정을 통해 FFMI의 5점 리커트 척도가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문항의 적절성을 살펴본 결과 52문항 중 측정의 질에 영향을 크게 미치지 않는 범위의 세 문항을 제외하고 적절한 수준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준거 척도와의 수렴타당도 및 상관분석을 통하여 FFMI가 기존 마키아벨리즘 평가 도구를 대체할 수 있는 도구이며 마키아벨리즘의 이론적 특성들을 잘 나타낸 평가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Five Factor Machiavellianism Inventory (FFMI) in Korea. Machiavellianism, one of the dark triad personality traits, is characterized by a goal-oriented personality that justifies the means for the end. In Study 1, the FFMI was translated to suit the Korean context,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long with partial constraint target rotation, was conducted on a sample of 210 adults aged 19 and above. The results revealed the same three higher-order factor structure as the original scale, identifying Agency, Planfulness, and Antagonism as the factors, with some shifts in sub-factors observed. In Study 2,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on a different sample of 300 adults aged 19 and above, confirming that the FFMI is a generalizable tool. Additionally, a Rasch analysis indicated that the FFMI's 5-point Likert scale is appropriate. Upon examin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items, three out of the 52 items were found to have a minimal impact on the quality of measurement and were excluded, leaving the remaining items at an appropriate level. Finally, convergent validity and correlation analyses with criterion measures demonstrated that the FFMI could serve as a substitute for existing Machiavellianism assessment tools and effectively captures the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Machiavellianism.

가족친화적 상사행동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 일-가정 확충의 조절효과
조은솔(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 박형인(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pp.151-178 https://doi.org/10.24230/kjiop.v37i3.151-17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가족친화적 상사행동과 조직시민행동의 정적 관계를 일-가정 확충이 강화하는지 조사하고, 각 변수의 대상 및 내용에 따라서 조절효과의 빈도와 강도가 달라지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속 상사가 있으면서 맞벌이 가정에 속한 만 19세 이상의 기혼 전일제 직장인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일-가정 확충이 높을수록 가족친화적 상사행동의 하위요인 중 일부인 정서적 지지 및 도구적 지지와 조직시민행동 간의 정적 관계가 강해지는 상승적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조직시민행동의 하위요인에 따라서는, 대인관계적 원천에서 비롯되는 가족친화적 상사행동과 동일한 내용 및 영역을 포함하는 개인지향 조직시민행동에서 더 많은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일-가정 확충의 세 하위요인인 개발, 정서, 그리고 자본에 따라서도 조절효과의 빈도와 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자본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조절효과의 빈도가 가장 높았고, 상호작용하는 예측변수에 따라 더 강한 조절효과가 나타나는 하위요인에 차이가 있었다. 이 결과에 근거하여 이론적 및 실용적 함의를 제시하고,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 방안을 제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work-family enrichment (WFE) would strengthen the positive effects of family supportive supervisor behavior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OCBs), and to examine whether the frequency and the intensity of the moderating effects would differ according to the targets and contents of each variable. Participants were 350 married employees from dual-income families who had an immediate supervisor. Results indicated that WFE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of emotional support and instrumental support, two subtypes of family supportive supervisor behaviors, with OCBs. Regarding the subtypes of OCBs, moderating effects were more observed in the model on OCB directed towards other individuals which stemmed from interpersonal sources, sharing the matching content and domain as family supportive supervisor behaviors. Furthermore, among the three subtypes of WFE (i.e., development, affect, and capital), capital WFE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moderating effects, and the intensity of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also varied depending on the predictor subtypes to interact.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LMX 차별화가 절차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을 통해 지식공유행동에 미치는 영향: 형평성 민감도의 조절효과
송수아(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 박형인(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pp.179-208 https://doi.org/10.24230/kjiop.v37i3.179-20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LMX 차별화가 절차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을 거쳐서 지식공유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이러한 간접경로를 형평성 민감도가 조절하여 민감할수록(즉, 독점형) LMX 차별화와 공정성 간 관계가 강화될 것으로 예상하였다. 가설 검정을 위해 상사 및 동료와 함께 근무하는 전일제 직장인을 대상으로 일회의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총 300명의 응답을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LMX 차별화는 지식공유행동과 유의한 부적 관계가 있었다. 또한 LMX 차별화와 공정성 간 부적 관계는 독점형일수록 강화되는 상승적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나아가 형평성 민감도의 조절효과는 LMX 차별화가 상호작용공정성을 통해 지식공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경로를 강화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로 이어졌다. 반면, LMX 차별화가 절차공정성을 통해 지식공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경로에서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절차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이 동시에 투입된 병렬 매개모형이 아닌 각각 투입한 모형에서는 절차공정성을 통해 지식공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경로에서도 형평성 민감도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연구의 학문적 및 실무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tested a moderated mediation model whether employees with higher equity sensitivity (i.e., the entitled) would strengthen the indirect paths from leader-member exchange differentiation (LMXD) to knowledge sharing (KSB) via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 compared to lower equity sensitivity (i.e., the benevolent). To test our hypotheses, a survey was conducted on 300 South Korean employees working with colleagues under the same direct supervisor. The results implicated that LMXD was negatively related to KSB. Moreover, the relationships of LMXD with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 were stronger for entitled employees than benevolent employees. Furthermore, equity sensitivity strengthened the indirect path from LMXD to KSB via interactional justice in the parallel mediation model where both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 were simultaneously input, whereas equity sensitivity did not change the indirect path from LMXD to KSB via procedural justice. However, when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 were input separately, equity sensitivity also strengthened the indirect path from LMXD to KSB via procedural justice.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