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이병기(공주대학교) pp.5-28 https://doi.org/10.4275/KSLIS.2012.46.2.005
초록보기
초록

‘위대한 저서’는 1952년 브리태니커사에서 서양의 명저를 모아 54권으로 출간한 전집이며, 제2판은 60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대한 저서’의 제2권과 제3권에는 애들러가 고안한 신토피콘이 포함되어 있다. 신토피콘은 ‘토픽의 집합’을 의미하는 신조어로써 전집에 포함되어 있는 저작의 위치를 알려주는 토픽색인이다. 본 연구는 ‘위대한 저서’에 포함되어 있는 신토피콘의 구조와 효용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신토피콘은 102개의 아이디어 단위(장)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은 개요, 토픽 구조, 참조, 상호 참조, 추가 독서자료 목록 등 5개 요소로 구분되어 있다. 이 신토피콘은 참고도서, 교양교육, 탐구 및 연구도구, 다른 자료의 신토피컬 독서 적용, 융복합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도구, 다른 저작의 내용 분석 도구 등의 가치와 효용성이 있다.

Abstract

Great Books of the Western World(GBWW) is a series of books published in 1952 by Encyclopædia Britannica to present the famous works in 54 volumes. The series is now in its second edition and contains 60 volumes. A syntopicon compiled by M. Adler is a two-volume index, published as volumes 2 and 3 of GBWW. The syntopicon was coined specifically for this undertaking, which means a collection of topics. Syntopicon lists, under each idea, is where every occurrence of the concept can be located in the collection’s famous work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ructure and utility of topic index, syntopicon in GBWW. The syntopicon consists of 102 chapters on the 102 ideas. Each chapter is broken down into five distinct sections: the introduction, an outline of topics, references, cross-references, and additional readings. The syntopicon can serve as a reference book, as a selection tool of book to be read, instrument of liberal education, instrument of discovery and research, syntopical reading of other reading material, development tool of convergent education, and analysis tool of works.

권세준(한국방송통신대학교 중앙도서관) pp.29-54 https://doi.org/10.4275/KSLIS.2012.46.2.02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 수준과 기대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이며, 이용자들의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도서관서비스 차원별로 이용자의 인식 수준이 도서관의 이용의사와 만족도에 실제 영항을 미치는가를 조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도서관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국내․외 문헌을 고찰하는 이론적 접근방법과 설문 조사 및 분석의 실증적 접근방법을 병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LibQUAL+모형을 기반으로 연구모형을 설계하였으며, 연구가설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방송대 도서관의 서비스 차원별 이용자의 현재 인식수준은 도서관 전체 만족도와 지속적인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만족도는 도서관의 지속적인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서관 이용행태적 특성에 따른 이용자 만족수준 향상을 위하여 도서관의 시설 개선, 원격 학술정보 제공을 위한 스마트 디지털도서관 시스템의 구축, 인쇄자료 및 전자자료 등 학술정보원의 다양성과 최신성의 확보 등의 요인이 방송대 도서관의 서비스 개선을 위한 핵심 요소로 파악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grasp what factors affect users' recognition level and expectation level for library service, being offered at the library of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Also, this study seeks to conduct a survey and analyze whether users' recognition level by library service dimensions has actually influenced the intention and the satisfaction with using the library. For this, it carried out the theoretical approach, which considers domestic and foreign documents on evaluation of quality of library service, and the empirical approach of questionnaire research and analysis. A research model was designed on the basis of LibQUAL+model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And the group-based difference was confirmed by carrying out verification on research hypothesi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users' current recognition level by library service dimensions of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was indicated to have influence on the whole satisfaction with library and the continuous use intention. The whole satisfaction was indicated to have an effect on continuous use intention. Also, to enhance users'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using library, the core elements for improving the library service of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were cited and these include improving the facility of library, implementing smart digital library system for offering remotely academic information, and securing diversity and currency of academic information sources such as printing materials and electronic materials.

노영희(건국대학교) ; 안인자(동원대학교) ; 최상기(전북대학교) pp.55-82 https://doi.org/10.4275/KSLIS.2012.46.2.05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문헌정보학과의 교과과정 운영모형을 조사하여 국내 현실에 맞는 운영모형을 제안하고자 하며, 운영모형에 기반하여 한국문헌정보학 표준교과목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외 교과과정 분석결과, 국내 교과과정 분석결과, 국내 현장사서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그리고 현장사서를 대상으로 한 관종별 직무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문헌정보학 필수교과목, 핵심교과목, 그리고 선택교과목을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최종 제안된 문헌정보학 필수과목은 6개 과목으로서, 문헌정보학개론, 정보조직학, 정보서비스론, 도서관경영론, 정보검색론, 사서실습이다. 핵심과목은 6개 과목으로서, 정보자료분류목록실습, 주제별정보원(참고정보원), 장서개발론, 디지털도서관론, 서지학개론, 기록관리학개론이다. 선택과목은 총 20개 과목으로서, 문헌정보학 영역 4개 과목(도서및도서관사, 지식정보사회와 도서관, 도서관과저작권, 문헌정보학연구방법론), 정보조직학 영역 2개 과목(메타데이터의 이해, 한국문헌자동화목록실습), 정보조사제공학 영역 3개 과목(정보활용교육론, 독서지도론, 정보이용자연구), 도서관․정보센터경영학 영역 4개 과목(도서관협력론, 관종별도서관운영론, 도서관마케팅, 비도서자료관리론), 정보학 영역 6개 과목(데이터베이스운영론, 색인초록론, 정보학개론, 정보시스템론, 도서관시스템자동화, 도서관정보네트워크), 기록관리학 영역 1개 과목(기록보존론)이다.

Abstract

This study seeks to develop a curriculum operating model for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ased on investigations into LIS curricula at home and abroad. Standard courses that can be applied to this model were also proposed.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contents of domestic and foreign curricula and surveyed current librarians in all types of library fields. As a result, this study proposed required courses, core courses, and elective courses. Six required LIS courses are: Introduction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formation Organization, Information Services, Library and Information Center Management, Information Retrieval, and Field Work. Six core LIS courses are: Classification & Cataloging Practice, Subject Information Resources, Collection Development, Digital Library, Introduction to Bibliography, and Introduction to Archive Management. Twenty selective LIS courses include: the General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rea (Cultural History of Information, Information Society and Library, Library and Copyright, Research Method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Information Organization area (Metadata Fundamentals, KORMARC Practice), the Information Services area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Reading Guidance, Information User Study), the Library and Information Center Management area (Library Management, including management for different kinds of libraries, Library Information Cooperator, Library Marketing, Non-book Material and Multimedia Management (Contents Management), the Information Science area (Database Management, including Web DB Management, Indexing and Abstracting, Introduction to Information Science, Understanding Information Science, Automated System of Library, Library Information Network), and the Archival Science area (Preservation Management).

박옥남(한남대학교) pp.83-113 https://doi.org/10.4275/KSLIS.2012.46.2.08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이 수집하는 디지털정보자원의 효율적인 관리 및 보존을 위하여 장서관리 시스템에서 보존용 메타데이터 입력을 위한 PREMIS 기반 목록규칙을 개발하는 것은 물론 METS를 기반으로 한 목록레코드에 PREMIS를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PREMIS 기반 구현 구현사례를 분석함은 물론,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 자원 수집 현황 및 보존현황, 담당자와의 면담 등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객체(object), 이벤트(event), 행위자(agent), 권한(rights)의 총 4개 분야로 나누어 메타데이터 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현재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 장서관리에서 인코딩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METS를 기반으로 한 PREMIS분석을 통해 도출된 메타데이터를 적용한 후 이에 따른 목록의 예를 제시하여 실무의 적용가능성을 높였다.

Abstract

This research seeks to develop preservation metadata and to provide guidelines to apply PREMIS-METS decisions in a METS profile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The process of developing metadata is divided into three steps, that is, analysis of metadata schema in other digital preservation initiatives, analysis of resources and preservation policies, and interviews with librarians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 metadata schema consists of four main entities - object, event, agent, and rights. The study also provides a cataloging example as well as principles using PREMIS-METS for archiving digital resources. The schema has values to manage digital resources effectively and efficiently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윤정옥(청주대학교) pp.115-132 https://doi.org/10.4275/KSLIS.2012.46.2.11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차세대 도서관 목록에서 이용자 서평 기능의 이용 현황 및 서지레코드에서 연결될 수 있는 외부 정보원의 이용자 서평의 영향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2012년 2월 16일부터 4월 4일 사이에 2010년에 출간된 열권의 책을 대상으로 WorldCat에서 소장도서관, 이용자 서평, 태그 및 독서 리스트의 현황 및 변동 추이, 그리고 서지레코드에 연결된 Amazon.com과 GoodReads.com의 이용자 서평 현황을 살펴보았다. WorldCat에서 아직 이용자 참여 기능의 활용도는 매우 낮았으며, 이용자 서평보다는 태그나 독서 리스트를 통한 참여가 더 많았다. 같은 책들에 대한 아마존과 굿리즈의 이용자 서평 참여도는 매우 높았고, 아마존에서 한 권의 책과 관련된 이용자 서평 사례 분석은 이용자 참여 기능이 왜곡될 수 있는 가능성을 암시하였다. 아직은 초기 단계인 도서관 목록에 대한 이용자 참여 기능의 확산 및 안정화 추이의 지속적 관찰, 그리고 이 기능이 이용자의 자료 선택에 미치는 영향의 심층적, 체계적 분석이 필요하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user-contributed reviews for the Next Generation Library Catalogs, and the potential impact of user reviews available from the external sources, including Amazon.com and GoodReads.com. During the period of February 16th through April 4th, 2012, the number of holding libraries and user-contributed reviews, tags and reading lists of ten selected books were examined from the WorldCat. Also the user-contributed reviews for the same books available from Amazon.com and GoodReads.com were examined, and a case of reviews for one book was analyzed. The result shows that only a few users participated in the WorldCat, and user-contributed reviews were rarely used, when compared with tags or reading lists. Several hundred to thousand user-contributed reviews for the same books were available from Amazon.com and GoodReads.com directly linked with bibliographic records. A case of one book from Amazon.com reveals the possibility of distorting the function of user-contribu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function of user-contribution, it is expected that its growth rate should be carefully observed and its potential impact on users should be thoroughly and systematically analyzed in the near future.

이석형(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곽승진(충남대학교) pp.133-156 https://doi.org/10.4275/KSLIS.2012.46.2.13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술논문 전거데이터 구축시스템을 통해 생성된 전거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학술논문 검색시스템을 구축하고 검색 효율성과 시스템 유용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전거데이터 기반 학술논문 검색시스템은 저자 및 소속기관에 대한 전거데이터를 활용하여 질의어 자동완성, 검색결과 군집화, 저자네트워크 및 주제네트워크와 같은 부가 정보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학술논문 검색시스템에 대하여 연구원, 도서관사서, 대학원생 이용자 집단 60명을 대상으로 검색 효율성과 시스템 유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전거데이터 기반 학술논문 검색시스템이 일반적인 학술논문 검색시스템에 비해 검색 효율성과 시스템 유용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authority data-based academic retrieval system that may provide search tools and additional information for search of academic papers with users.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authority data-based academic paper search system, this work studied 60 subjects who had experienced the academic paper service to measure their satisfaction on both search efficiency and system usability and additionally analyzed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search efficiency and system availability is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search system among user groups. As a result, the authority data-based academic paper search system was analyzed to show a higher search efficiency and user satisfaction than the ordinary system.

강현민(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pp.157-174 https://doi.org/10.4275/KSLIS.2012.46.2.15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접근점을 제어하기 위해, 미국 작가 마크 트웨인을 대상으로 인물과 이름 간의 다양한 관계와 특질을 RDF/OWL의 공리정의를 통해 인명접근점제어 온톨로지를 기술하였다. 적용된 공리정의는 인물․이름클래스 간 서로 소 공리정의, 객체속성의 정의역․치역 공리 정의, 인물․이름클래스의 객체속성 값 출현횟수 제약 공리정의, 인물과 이름 개체 간 역함수 관계 공리정의, 인스턴스와 리터럴 간 데이터속성 공리정의 등이다. 그 결과 온톨로지 기반에서 전거와 표목의 개념을 배제하고 모든 표현형식을 대등하게 다룬 대등형접근점이 기존의 제어기능을 수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다양한 공리정의로 보다 강화된 표현력으로 공유성과 유일성이 광역적으로 확보된 인명접근점제어 온톨로지를 기술할 수 있었다.

Abstract

This study tries to describe personal name access point control ontology for the American novelist Mark Twain using RDF/OWL axiom to control access point based on the ontology. The Axiom used in this study are disjoint with class, domain and range, property cardinality, inverse functional property, individual and literal data property. As a result, in the ontology environment we can accept various access points as equal access points exclusive of authority heading and heading concept. It can successfully describe Mark Twain’s personal name access point control ontology and display using the OntoGraf.

남영준(중앙대학교) ; 이승민(충남대학교) pp.175-197 https://doi.org/10.4275/KSLIS.2012.46.2.175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art museums in South Korea are mostly small-scaled institutions with small amount of art works. Thus, internationally accepted metadata standards such as CDWA and VRA Core may not be efficient to manage their collections. Because of these distinct local characteristics, there is a need to create a set of metadata elements that can be used for the art museum community in the country.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a set of metadata elements customized to fit into the context of small-scaled art museums in South Korea. The construction of the element set was not from scratch but on the basis of existing standards such as CDWA, VRA Core, and Dublin Core. By identifying core elements that are indispensable in describing art works and collecting opinions of experts in art museums, the proposed set of metadata elements is expected to support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art works and satisfy the localized needs of the art museum community.

오의경(상명대학교) pp.199-217 https://doi.org/10.4275/KSLIS.2012.46.2.19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도서관 불안과 성격 유형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49명의 대학 1학년생을 대상으로 도서관 불안(LAS)과 성격 유형(한국형 BFI)을 조사, 측정하였다. 도서관 불안은 2.57점이었고, 하위 영역별로는 기계적인 장벽, 정서적 장벽, 직원으로 인한 장벽, 도서관 지식에 대한 장벽, 도서관 안락함의 순으로 도서관 불안이 높았다. 성격 유형은 친화성이 3.65점으로 가장 높은 경향을 가지고 있었고, 다음으로 신경증, 외향성, 성실성, 개방성의 순서였다. 도서관 불안과 성격 유형의 상관관계 조사 결과, 신경증 성향이 높을수록 도서관 불안 수준도 높고, 특히, 도서관의 안락함 영역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성향이 도서관 불안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연구에서는 다른 개인성향 변인을 사용한 연구, 개인 맞춤형 도서관 불안 해소 프로그램 개발 연구, 도서관 불안의 측면 보다는 정보 불안의 측면에서 측정도구 개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ibrary anxiety and personality traits. The library anxiety (LAS) and personality traits (the Korean BFI) were measured against 49 freshmen in the university. The library anxiety was average 2.57, ‘mechanical barriers’ score was the highest(2.91), subsequently was ‘affective barriers’ 2.72, ‘barriers with staff’ 2.49, ‘knowledge of library’ 2.42, and ‘comfort with the library’ score was the lowest(2.38). The personality traits had the tendency that ‘agreeableness’f actor(3.65) is higher than other 4 factors, ‘neuroticism’(3.48), ‘extraversion’(3.27), ‘openness’(2.85), and ‘conscientiousness’ (3.26). It found that ‘comfort with the library’ and ‘neuroticism’ were correlated statistically and the personality traits have an effect on library anxiety. Based on the finding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improving the measurement tool of information anxiety, using other personality traits variables in similar researches, and developing personalized library anxiety resolution programs.

강미희(전남대학교) ; 홍현진(전남대학교) pp.219-243 https://doi.org/10.4275/KSLIS.2012.46.2.21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도서관의 공간요소를 개발하고 이에 대해 전문가집단 및 이용자집단의 중요도 평가를 실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먼저 국내외 관련단체 및 협회 자료와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공간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구조화하여, 공간요소를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12개의 평가영역과 127개의 세부지표로 구조화된 공간요소에 대해 어린이도서관 사서, 유아교육학 전공자, 초등학교 사서교사, 건축학 전공자 등 네 집단의 전문가와 영유아, 초등학교 저학년, 초등학교 고학년 등 세 집단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집단은 12개의 평가영역 모두와 세부지표 127개 중 120개를 3.0 이상으로 평가하여 지표로서의 중요성을 입증하였다. 둘째, 이용자집단 역시 12개의 평가영역 모두와 127개 세부지표 중 2개를 제외한 125개를 3.0 이상으로 평가하여 지표로서의 중요성을 증명하였다. 셋째, 전문가집단과 이용자집단 간의 중요도 평가결과, 12개 평가영역 중 2개 영역에서 집단 간의 차이가 있었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spatial factors for children's libraries and fulfill the evaluation of importance of expert and user groups for it. So, this study developed spatial evaluation factors by analyzing materials of domestic/international groups and associations and precedent studies, drawing spatial factors and organizing them. Next, for the spatial factors developed to 12 evaluation areas and 127 detailed indexes, an importance was evaluated for 4 expert groups; children's librarians, people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elementary school's librarians, people in charge of architecture, etc. and 3 groups; infants, elementary school's lower grades, elementary school's high grades, etc. The evaluat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t groups approved an importance of indexes by evaluating all of the 12 evaluation areas and 120 indexes of 127 detailed indexes as more than 3.0. Second, the user groups also approved an importance of indexes by evaluating all of 12 evaluation areas and 125 detailed indexes of 127 detailed indexes as more than 3.0. Third, as the result of evaluating an importance between expert groups and user group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2 areas among the 12 evaluation areas.

고영만(성균관대학교) ; 박지영(성균관대학교) pp.245-260 https://doi.org/10.4275/KSLIS.2012.46.2.24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Kor-Factor2의 평가요소인 연평균 논문 수 대신 ‘총 논문 수의 십분위수’를 적용하여 지수 값과 질적․양적 평가요소 사이의 연관성의 변화를 분석하고, 다른 평가지표와 비교하여 등재학술지와 등재후보학술지를 구별해내는 정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지수 값과 질적․양적 평가요소 사이의 연관성의 분석은 지수 값과 평가요소 사이의 상관계수를 구하여 Kor-Factor2의 경우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학술지 등재 상태의 구별 능력에 대한 평가는 Kor-Factor2, IF 및 학술지 h-지수를 비교 대상으로 하여 각 지수 값을 구하고, 등재후보학술지 집단과 등재학술지 집단으로 나누어 두 집단의 지수 값 평균 차이에 대한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본 논문에서 총 논문 수의 십분위수를 적용하여 제안한 지표가 Kor-Factor2와 비교하여 지수 값과 질적 평가요소 사이의 연관성이 양적 평가요소와의 연관성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술지의 등재 상태에 따른 차이 구별 능력에 있어서도 Kor-Factor2, IF, 학술지 h-지수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nge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dex values and qualitative․quantitative evaluation elements by applying 'the decile of total number of articles' instead of the average annual number of articles in Kor-Factor2, and to evaluate the distinction ability between registered journals and register nominee journals of the KCI.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dex values and qualitative․quantitative evaluation elements was analyzed by calculat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index values and the evaluation elements, and then the correlation was compared with that of Kor-Factor2. To evaluate the distinction ability, we carried out independent samples t-test on the mean difference between index values of register nominee journal group and registered journal group and compared the mean difference with that of Kor-Factor2, IF and journal h-index.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modified index applying the decile of total number of articles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balance amo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dex values and qualitative․quantitative evaluation elements compared to Kor-Factor2, and the new index appeared to be superior to other indexes on distinction ability of the journal's registration condition in the KCI.

이미화(공주대학교) pp.261-280 https://doi.org/10.4275/KSLIS.2012.46.2.26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파리원칙을 대체하고, 기계가독형목록환경에서 제정된 국제목록원칙 2009의 분석을 통해 한국목록규칙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국제목록원칙 2009는 국가의 목록규칙 제정시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원칙으로 RDA, ISBD 2010 등의 목록규칙에 이미 반영되고 있다. 반면, 한국목록규칙은 2003년 제정된 이후 개정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서지기술 부분만 있고 접근점의 선정과 형식은 전거에서 처리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개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제목록원칙 2009를 분석하여 한국목록규칙에서 적용할 사항을 파악하고자 한다. 우선 파리원칙과 국제목록원칙 2009를 비교하여 국제목록원칙 2009의 특징을 살펴본 후, 이를 한국목록규칙과 비교하였다. 한국목록규칙과 비교항목은 국제목록원칙 2009의 범위, 원칙, 개체․속성․관계, 목록의 목적과 기능, 서지기술, 접근점, 탐색능력 기반이었다. 그 결과 한국목록규칙의 방향성은 첫째, 기술부분에서 ISBD 2010과 개념모델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국제목록원칙 2009에 근거하여 전거형 접근점의 선정과 형식이 규정되어야 한다. 셋째, 저작/표현형의 식별을 위한 필수 접근점을 서지레코드와 전거레코드에 기술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국제목록원칙 2009의 측면에서 우리나라 목록규칙의 개정의 방향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seeks to replace Paris Principles and find directions of revising KCR4 by analyzing the International Cataloging Principles 2009(ICP 2009) established in the environment of Machine Readable Cataloging. ICP 2009 was reflected in cataloging rules such as RDA and ISBD 2010 as the minimal principles for uniformity in establishing each nation’s cataloging rules. In contrary, KCR4 needs to be revised because it has never been changed after 2003, and has only description rules without any rules for the choice and forms of access poin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grasp requirements that should be reflected in KCR4 through analyzing ICP 2009. In first step, it is to grasp the features of ICP 2009 by comparing Paris Principle and ICP 2009 and to compare KCR4 in aspects of ICP 2009. The detailed elements for comparison between ICP 2009 and KCR4 are scope, general principles, entitles, attributes, and relationships, objectives and functions of the catalogue, bibliographic description, access points, foundations for search capabilities as the contents of ICP 2009.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give some directions of KCR4 in the future. First, ISBD 2010 and conceptual models should be reflected in KCR4 in description. Second, it should regulate the authority access points in KCR4 based on ICP 2009. Third, it will describe essential access points of work and expression attributes in bibliographic records and authority records to find works and express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guide the national cataloging rules.

윤혜영(중부대학교) pp.281-300 https://doi.org/10.4275/KSLIS.2012.46.2.28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공공도서관 관련 자치법규에 대한 현황 및 내용을 분석하여 공공도서관 관련 자치법규의 제정과 개정 시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자치법규의 유형, 성격, 제정절차를 통해 자치법규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살펴보고 둘째 대전지역의 공공도서관을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 교육청 소속으로 세 구분하여 공공도서관 관련 자치법규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공공도서관 행정체계, 도서관장의 직종과 직급, 공공도서관 조직체계 영역에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suggests the basic data of the establishment and revision of local laws and regulations by analyzing the status and content of local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public libraries focusing on Daejeon Metropolitan City. For this purpose,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type, nature, and procedure of establishing local laws and regulations. Secondly,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 of local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public libraries classified into three parts, that is, metropolitan governments, local governments and school districts. Finally, this study points out the problems and solutions in relation to the structure of administration, the rank and position of library directors, and the organizations of public libraries.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