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도서관 불안과 성격 유형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49명의 대학 1학년생을 대상으로 도서관 불안(LAS)과 성격 유형(한국형 BFI)을 조사, 측정하였다. 도서관 불안은 2.57점이었고, 하위 영역별로는 기계적인 장벽, 정서적 장벽, 직원으로 인한 장벽, 도서관 지식에 대한 장벽, 도서관 안락함의 순으로 도서관 불안이 높았다. 성격 유형은 친화성이 3.65점으로 가장 높은 경향을 가지고 있었고, 다음으로 신경증, 외향성, 성실성, 개방성의 순서였다. 도서관 불안과 성격 유형의 상관관계 조사 결과, 신경증 성향이 높을수록 도서관 불안 수준도 높고, 특히, 도서관의 안락함 영역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성향이 도서관 불안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연구에서는 다른 개인성향 변인을 사용한 연구, 개인 맞춤형 도서관 불안 해소 프로그램 개발 연구, 도서관 불안의 측면 보다는 정보 불안의 측면에서 측정도구 개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ibrary anxiety and personality traits. The library anxiety (LAS) and personality traits (the Korean BFI) were measured against 49 freshmen in the university. The library anxiety was average 2.57, ‘mechanical barriers’ score was the highest(2.91), subsequently was ‘affective barriers’ 2.72, ‘barriers with staff’ 2.49, ‘knowledge of library’ 2.42, and ‘comfort with the library’ score was the lowest(2.38). The personality traits had the tendency that ‘agreeableness’f actor(3.65) is higher than other 4 factors, ‘neuroticism’(3.48), ‘extraversion’(3.27), ‘openness’(2.85), and ‘conscientiousness’ (3.26). It found that ‘comfort with the library’ and ‘neuroticism’ were correlated statistically and the personality traits have an effect on library anxiety. Based on the finding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improving the measurement tool of information anxiety, using other personality traits variables in similar researches, and developing personalized library anxiety resolution programs.
권나현. 2005. 디지털 도서관에서의 도서관 불안과 측정도구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2):29-47.
김은정. 2010. 지각된 부모의 양육행동과 청소년 우울증상과의 관계: 역기능적 도식과 회피대처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임상』, 29(2): 407-425.
김주환, 김은주, 홍세희. 2006. 한국 남녀 중학생 집단에서 자기결정성이 학업성취도에 주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0(1): 243-264.
김지현, 김복환, 하문선. 2011. 간편형 한국어 BFI(Big Five Inventory) 타당화 연구. 『인간이해』, 32(1): 47-65.
남태우, 황옥경. 2005. 도서관 불안 이론의 고찰. 『한국정보관리학회지』, 22(3): 71-84.
남태우, 박현영. 2006.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도서관 불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1): 151-168.
박도순, 하대현, 성태제. 2000. 5요인 인성검사 요강(고등학교용). 서울: 대한사립중고등학교장회.
박주범, 정동열. 2010. 디지털도서관 불안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4): 353-371.
안창류, 채준호. 1997. NEO-PI-R의 표준화를 위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상담 및 심리치료』, 9(1): 443-473.
오의경. 2011. 정보활용능력 인지 수준과 도서관 불안 간의 관계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4): 123-137.
유태용. 1998. 성격의 5요인과 학업수행간의 관계. 『한국산업 및 조직심리학회 98년 연차대회 학술발표논문집』, 263-274.
유태용, 민병모. 2001. 다양한 장면에서 수행을 예측하기 위한 5요인 성격모델의 사용가능성과 한계: 국내 연구결과의 통합분석. 『한국심리학회: 산업 및 조직』, 14(2): 115-134.
이경임, 안창규. 1996. NEO-PI-R의 임상적 활용. 『한국심리학회: 상담과 심리치료』, 8(1): 65-79.
장혜란, 오의경. 2006.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도서관 불안 측정과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지』, 23(3): 205-221.
조애리. 1998.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탐색행동과 성격 5요인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Bostick, S. L. 1992.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Library Anxiety Scale. Ph.D. diss., Wayne State University.
Costa, P. T. & McCrae, R. R. 1992. NEO PI-R Professional Manual.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Mellon, C. A. 1986. “Library anxiety: a grounded theory and its development.”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47(2): 160-165.
Jiao, Q. G., Onwuegbuzie, Anthony J., & Lichtenstein, A. 1996. “Library anxiety: Characteristics of ‘at-risk’ college student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18(2): 151-163.
Jiao, Q. G., Onwuegbuzie, Anthony J., & Daley, Christine E. 1997. Factors Associated with Library Anxiety.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16 895.
Jiao Q. G. & Onwuegbuzie, Anthony J. 1997. “Antecedents of library anxiety.” The Library Quarterly, 67(4): 372-389.
Jiao, Q. G. & Onwuegbuzie, Anthony J. 1998. “Perfectionism and library anxiety among graduate students.”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24(5): 365-371.
Jiao, Q. G. & Onwuegbuzie, Anthony J. 1999. “Self-perception and library anxiety: An empirical study.” Library Review, 48(3): 140-147.
Jiao, Q. G. & Onwuegbuzie, Anthony J.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Library Anxiety and Social Interdependence.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62 079.
Jiao, Q. G. & Onwuegbuzie, Anthony J. 2002a. “Dimensions of library anxiety and social interdependence: Implications for library services.” Library Review, 51(2): 71-78.
Jiao, Q. G. & Onwuegbuzie, Anthony J. 2002b. Anxiety Expectation Mediation Model of Library Anxiety.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78 613.
Jiao, Q. G. & Onwuegbuzie, Anthony J. 2004. “The impact of information technology on library anxiety: The role of computer attitudes.” Information Technology and Libraries, 23(4): 138-144.
John, O. P. & Srivastava, S. 1999. “The big five trait taxonomy: History, measurement and theoretical perspectives.” In Pervie, L. A., & John, O. P., eds.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Research, 102-138. New York: Guilford.
Phares, E. J. 1984. Introduction to Personality. Columbus, OH: Charles E. Merrill.
Van Kampen, Doris J. 2004.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ultidimensional library anxiety scale.” College & Research Libraries, 65(1): 28-34.